Browse > Article

The Landscape Organization of the Dodong-SeoWon in the Aesthetics of Moderation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Shin, Byung-Chul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0, no.4, 2012 , pp. 44-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terpret how landscap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ation, which is the point of human-oriented neo-confucianism vision, are projected to the landscape organization of a Dodong-SeoWon, known for its overflow to neo-confucianism grounds and standards among domestic SeoWon. The aspects of neo-confucianism discussion in the shape of Dodong-SeoWon with the beauty of from and contents dominating the landscape of Dodong-SeoWon different from constructive completeness as 7 external and internal landscape organization including placement, circulation, setting, vista, fencing, naming, and decoration are as follows. The left direction of Dodong-SeoWon, part of external organization, is the result of landscape organization that emphasized the stage of moderation through the unification of man and nature by naturalizing natural direction to human-oriented directions. Important aspects to rule external orders and standards of Dodong-SeoWon are principles of one classes based on ranks and bilateral symmetry that is the unity of setting and circulation landscape organization from penetrating the spirit of moderation with no bias. By securing territoriality by fencing the unity of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the landscape organization to reach moderation is expressed. Meanwhile, Suwoloo(水月樓) perceived on the floor of central assembly hall, the formation of time frame from roof piles of Hwanjumun(喚主門) as well as pilars of Jungjeongdang(中正堂), and rime link method inducing visual balance and openness through segment, combination, and others are vista organization that show the ideality of unique neo-confucianism building. Also as part of landscape organization contents. semantically, building name including arrangement from Taegukdoseol, ideological naming following the name of Ssanggye-SeoWon, which is the former body, the name of the hall symbolizing the transfer of neo-confucianism enlightenment, impartiality with no bias, as well as Geoinjae(居仁齋) and Geoijae(居義齋) based on olympic, are also results of applying neo-confucianism standards. Additionally. the SeoHoe(瑞花) expressing the change of IleumIlyang(一陰一陽) on the stylobate of Jungjeongdang, Saeho(細虎) which goes up and down, as well as Simul made of four dragons, are artistic expression of the moderation that symbolizes the harmony of ying and yang with no exceeding or insufficiency. Humorous and unique rocks and stones evenly arranged in all spots of Dodong-SeoWon are to promote anti-strict organization by offsetting the image and external order of the lecture hall as strict as it is, and this is very ironic as it is the other landscape organization in different dimension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moderation.
Keywords
Holistic Unity of Man and Nature; Bilateral Symmetry; Hierarchy; Taegukdoseol; Jungjeo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周子全書, 卷1.
2 道東書院院規.
3 김남응(1979). 朝鮮時代書院建築의 配置와 外部空間特性에 關한 硏究: 道東書院을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봉렬(2002). 인간 중심의 형이상학적 공간:성리학담론이 서원건축에 끼친 영향. 문화와 나. 200년 봄호. pp. 55-60.
5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3:이 땅에 새겨진 정신. 돌 베개. pp. 102-147.
6 김영록(2010). 맞배지붕의 구조적 특성과 처마앙곡에 관한 연구. 조선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우영(2004). 예악사상의 조형개념에 관한 고찰:조선시대 병산서원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궁선(2011). 현대디자인 활용을 위한 한국의 전통짜임구조 분석:전통짜임과 디자인요소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노송호(2006). 鄕校와 書院의 立地및 外部空間分析을 통한 韓國的敎 育環境摸索.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노재현, 신상섭(2009). 치(置)와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한국조경학회지 37(4):72-85.
11 도민재(2003). 寒岡鄭逑의 學{問과 禮學{思想. 한국사상과 문화 18: 199-228.
12 도용호, 이재헌(1995). 儒學{思想의 思惟體系에 의한 鄕校․書院建築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지 82:95-107.
13 문화재관리국(1989). 도동서원 실측조사보고서. pp. 41-71.
14 문화재청 천연기념물센터(2010). 사적지 조경정비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pp. 469-529.
15 문화재청(2010). 서원 보존․정비 관리방안연구보고서. pp. 13-16.
16 민족문화추진회(1977). 국역 율곡집 II. 서울. p. 23.
17 박상구(2007). 조선시대 서원건축 터잡기 및 건물배치의 풍수지리적 해석:영남지방 전통서원중 국가지정 문화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정해(2012). 朝鮮儒敎建築의 風水的特徵에 關한 硏究:書院과 鄕校 建築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정해, 한동수(2010). 書院建築의 主山과 案山의 風水的特徵에 關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19(4):21-34.
20 박현숙(2011). 誠과 中을 통해 본 中庸 의 天人合一사상:朱熹의 中庸章句 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손윤희(2002). 무성서원의 건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楊水龍(1981). 韓國書院造景에 關한 硏究. 晋州農林專門大學論文集 19:269-278.
23 유인호(2005). 朝鮮時代書院建築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유준영(1984). 조형예술과 성리학. 한국미술사논문집. 정신문화연구원. p. 13.
25 이상해(1987). 宋代理學{思想을 통해 본 傳統建築의 構成方法및 空間 的特質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자연과학편 38집:386.
26 유홍준(2011). 도가 마침내 동쪽으로 오기까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주)창비. pp. 205-231.
27 이상선(2009). 한국 서원건축의 조영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상성(2007). 寒暄堂金宏弼의 道學思想. 동양고전연구 26:283-319.
29 이상해(2002). 서원. 열화당. p. 7.
30 이승희(2005). 전통조경공간에 나타나는 美意識에 관한 연구:서원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황, 민족문화추진회역(1976). 國譯退溪集. p. 135.
32 임광빈(2006). 風水의 理氣論的觀點에서 본 書院建築의 立地및 配置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광순(2011). 한국 전통건축美의 표현요소와 아트퍼니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전해종(1979). 한국과 중국. 지식산업사. p. 67.
35 정인재(2006). 중용철학에 대한 연구. 서강인문논총 20:89-115.
36 주남철(1983). 한국건축미. 일지사. pp. 412-415.
37 최부득(2001). 건축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현대인이 알아야 할 건축이야기 2. 미술문화.
38 최영진(1989). 易學{思想의 哲學{的探究: 周易의 陰陽對待的構造와 中正思想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완기(1989). 韓國性理學의 脈. 느티나무. p. 268.
40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대가. pp. 350-366.
41 함성호(2012). 함성호의 옛집 읽기. 56:'중용의 집'도동서원. 동아일보. 2012년 4월 18일자. A30면 2단.
42 황영주, 김정재(2003)空間知覺에 따라 나타나는 道東書院의 現象的透 明性表現에 관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12(3):117-130.
43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1201/h2012011016454086330.htm
44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65&docId=730844&mobile& categoryId=1065
4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12&mobile&categoryId =200000488
46 http://www.ugyo.net
47 http://www.koreastory.co.kr/daegustory/dodong/dodog-017.htmhttp:// 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12&mobile&categoryId=20000 0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