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달 시간 지연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초

LTE 신호의 CRS를 이용한 TOA 기반 거리 측정 방법 (TOA-Based Ranging Method using CRS in LTE Signals)

  • 강태원;이하림;서지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37-44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LTE 기지국 (BS; base station)과 단말기 (UE; user equipment) 간의 거리를 신호 도달 시간 (TOA; time-of-arrival)을 이용해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였다. 먼저, 수신된 신호를 발신한 기지국을 판별하기 위해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와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를 이용하여 셀 아이디를 취득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에서는 상용 LTE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시퀀스인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를 구축된 자원 그리드에서의 2차원 상호 상관을 통해 지연 시간을 계산하였다. 지연 시간의 변화는 신호 도달 시간의 변화로 계산되어 알려진 BS의 위치로부터 UE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 제시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실제 환경에서의 상용 LTE 신호를 이용한 거리 계산 실험에 사용되어 평가되었다.

도착시간지연 특성 행렬을 이용한 음원의 위치 측정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Time Delay of Arrival Feature Matrix)

  • 김진성;김의현;유범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43-144
    • /
    • 2007
  • 최근들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간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갖는 서비스 로봇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인간과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하여, 화자를 바라보고, 깨끗한 음성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음원의 위치 측정은 필연적이다. 본 논문은 마이크로폰에 도달되는 동일 신호의 도착시간지연(Time Delay of Arrival: TDOA) 특성 행렬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원의 위치 측정 시스템을 구현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에 구현된 실제 시스템을 통하여 방향 검지 및 높이 구분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한다.

  • PDF

분산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동시성제어 기법 (An Efficient Concurrency Control Scheme for Distributed Real-time Database Systems)

  • 이종설;신재룡;유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61-6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분산 실시간 환경에서 완료준비 단계에 도달한 트랜잭션의 우선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트랜잭션의 재시작에 의한 낭비를 줄이고, 트랜잭션의 완료를 최대한 보장하며, 잠금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은 우선 순위가 상승된 트랜잭션의 완료를 보장하며 데이터 차용(borrowing)을 통해 다른 트랜잭션의 지연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임의의 네트워크 지연을 갖는 선형 다개체시스템의 일치 (Consensus of Linear Multi-Agent Systems with an Arbitrary Network Delay)

  • 이성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17-522
    • /
    • 2014
  • 본 논문은 임의의 네트워크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선형 다개체 시스템의 일치문제를 다룬다. 다개체 시스템의 상태일치를 위한 충분조건은 선형행렬방정식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또한, 제안한 충분조건아래에서 임의의 크기를 갖는 네트워크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치에 도달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결과의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수치 예제를 제공한다.

반향음과 잡음 환경을 고려한 실시간 소리 추적 시스템 (Real-Time Sound Localization System For Reverberant And Noisy Environment)

  • 기창돈;김강호;이택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8-263
    • /
    • 2010
  • 소리를 이용한 위치 추적은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로 부터 마이크로폰 간의 신호 도달 시간차를 추정한 뒤 추정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소리의 발생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실내 환경에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잡음과 반향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제약이 따른다. 특히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계산의 효율성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 개의 저가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비용적인 측면과 계산량에서의 효율성을 모두 추구하였다. 네 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간의 소리 도달 시간차를 구하는 계산량을 줄였고 GCC-PHAT(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강건성을 높였으며 iterative least square 방식을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지반의 비균질성이 탄성파 전파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계론적 수치해석 연구 (Stochastic numerical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P-Wave in heterogeneous ground)

  • 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24
    • /
    • 2013
  • 현재 다양한 탄성파 기반의 물리탐사 기법들이 지반조사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반의 동적 특성들이 공학적 물성과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반공학적 물성치들의 고유한 비균질성이 탄성파 속도 및 진폭 등의 전파 특성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고려가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고유한 비균질성이 탄성파 전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추계론적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탄성파의 도달 시간 변화와 파두 특성에 주안점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반의 공간적 상관 거리와 파장과의 상관성 및 탄성파 전파거리와 파장과의 상관성이 탄성파의 도달 시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Turning band method를 적용하여 변동계수의 범위가 10 ~ 40%인 다양한 비균질 강도를 갖는 지반을 유한차분 그리드에 생성하였다.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비균질 지반에서 탄성파의 전파를 시뮬레이션하였고, 추계론적 기법으로는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다. 추계론적 수치해석 결과, 지반의 비균질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파의 파두 형상의 일그러짐이 현저하게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탄성파의 도달 시간도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의 공간적 상관 거리와 파장과의 상관성 및 탄성파 전파 거리와 파장과의 상관성은 탄성파의 도달 시간 변화와 긴밀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토양에서의 중금속의 지연효과와 이동성 (Retardation Effect and Mobility of a Heavy Metal in a Sandy Soil)

  • Kim, Dong-Ju;Baek, Doo-Sung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5-161
    • /
    • 1998
  • 토립자 표면에서의 흡착에 의한 토양에서의 중금속의 지연효과는 잘 알려진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시험과 주상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사질 토양에서 Zn의 이동성에 대한 지연효과를 조사하였다. 주상시험은 파과곡선(BTC)으로 알려진 시간에 따른 용액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추적자로는 10 g/L 농도의 NaCl과 ZnCl$_2$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용액을 토양시료의 상부경계에 순간주입한 후 정상류 상태에서 배출구로 빠져나온 용탈수의 농도를 EC-meter와 ICP-A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치시험은 표준절차에 근거하여 이루어졌으며, 토양시료로부터 선별된 미세입자들을 다양한 초기농도의 ZnCl$_2$용액과 반응시켜 평형상태의 Zn 이온의 농도를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상시험의 결과는 i) ICP-AES에 의해 분석된 ZnCl$_2$의 첨두농도는 NaCl이나 총전기전도도로부터 구한 값보다 상당히 낮았고, ii) 두 종류의 추적자 모두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은 상당히 일치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Zn의 농도는 Zn과 다른 양이온들간의 이온교환반응이 일어났고, 용탈수의 pH가 높은 값의 범위(7.0~7.9)에 있는 것으로 보아 Zn(OH)$_2$의 형태로 침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첨두농도의 도달시간이 일치한다는 결과는 토양시료에서 지연효과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Zn 이온의 뚜렷한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CDE 모델에 용액상태에서 Zn 이온의 절대적 감소를 고려하는 감쇄계수(decay or sink coefficient)를 적용하는 것이었다.

  • PDF

중수로원전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공기중 삼중수소 섭취 후 뇨시료 제출 시간이 체내 삼중수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Internal Tritium Concentration Analysis in Urine Samples as a Function of Submission Time after Airborne Tritium Intake at Korean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 김희근;공태영;정우태;김석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184-189
    • /
    • 2009
  • 중수로원전의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선작업 종료 후에 뇨시료를 제출하여 공기중 삼중수소의 섭취에 따른 내부피폭 선량을 평가하고 있다. 이 경우 종사자가 제출한 뇨시료는 삼중수소가 체내에서 평형에 도달한 대표시료(Representative sample)라는 전제를 필요로 한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의 간행물과 삼중수소의 인체평형에 대한 캐나다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체내로 유입된 삼중수소는 약 2-3시간 후에 평형에 도달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원전에서는 계획예방정비기간 동안 일시에 많은 작업이 진행되고 빈번한 종사자의 출입으로, 방사선작업 종료 후 제출하는 뇨시료는 섭취 후 평형에 도달하는 약 2시간 경과 이전에 제출하거나, 지연하여 제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방사선작업 종료 후 종사자가 제출하는 시간대별 뇨시료 중의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체내 삼중수소의 농도에 대한 변화추이와 선량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의 뇨시료는 대부분 삼중수소 섭취 후 2시간 정도에 신체 내에서 평형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키토산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Bacillus sp. P16 배양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Chitosanase-producing Bacillus sp. P16)

  • 정미라;조유영;지연태;박노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193-198
    • /
    • 1999
  • 키토산분해효소를 분비하는 세균 Bacillus sp. P16의 최적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키토산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은 0.5%분말 키토산이었으며, 최적 질소원은 1% tryptone이었다. 최적온도는 $37^{\circ}C$였으며, 최적 초기 pH는 7.0이었다. 이 조건에서 $60{\sim}$72시간 배양하였을 때 효소 생산이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효소활성은 약 30% 증가하였다. 이를 발효조에서 배양하면 $6{\sim}$12시간 배양으로 최대활성에 도달하였으며, 효소 생산은 약 100% 증가하였다.

  • PDF

수문모형을 기반으로 한 식생저류지 물순환 평가 (Water cycle evaluation of Bioretention based on hydrologic model)

  • 김재문;백종석;장영수;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0-290
    • /
    • 2021
  • 급격한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물순환체계가 왜곡됨에 따라 자연수재해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대응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LID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식생저류지는 도시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저류 및 침투하여 우수유출수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오염저감 효과를 지니고 있는 LID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저류지의 우수유출수의 정량적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문해석 프로그램인 K-LIDM(Korea Low Impact Development Model)을 이용하여 유역 내 식생저류지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우시나리오는 부산지점의 10년, 30년 발생빈도에 대하여 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모델링 분석결과 식생저류지 배치에 따라 5 ~ 15 % 이상의 유출저감효과가 산정되었으며, 식생저류지 저류용량에 따라 20 % 이상의 유출저감 효과가 산정되었다. 첨두유출 도달시간은 1.13 ~ 1.86배를 지연하는 결과가 산정되었다. 결과를 통해 식생저류지의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라 유출량 저감효과와 첨두유출 도달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 다른 매개변수인 식생저류지의 저류깊이, 지반의 침투능 및 유출부의 직경 등 여러 매개변수들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식생저류지의 정량적 물순환 평가가 수행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