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달 거리

Search Result 43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tudy on the bottom reflection of underwater explosive charges by using deconvolution method (Deconvolution 방법을 이용한 수중폭발성음원의 해저면반사 연구)

  • 문형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95-498
    • /
    • 1998
  • 수중폭발성음원인 SUS(signal underwater sound)는 수중에서의 폭발과 동시에 충격파와 기포파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는 광범위한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전파거리가 길어지면서 굴절과 반사등의 다중경로 전파효과에 의한 신호의 변형까지 생긴다. (1,2,3). 본 연구에서는 deconvolut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중에서 기포파효과를 최소화시켜 충격파의 수신기 도달시간을 파악하고, 각 충격파들의 전파경로를 추정하여 이 중 직접경로와 해저면 반사경로의 신호를 이용하여 해저면 반사계수를 계산하였다.

  • PDF

A Study on Public Sign System to Promote a City Brand Image -Focused on Nampo-Dong Region- (도시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공공사인 디자인 연구 -남포동 일대를 중심으로-)

  • Oh, soo-min;Kim, bok-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5-96
    • /
    • 2015
  • 공공디자인 중 하나인 공공사인은 방문객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인지시킴은 물론 볼 거리를 제공해야 하며, 더 나아가 관광객을 유치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논문은 공공사인에 필요한 이론적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해외연구를 통해 부산시 중구 남포동 일대의 사인현황의 실태에 대해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38
    • /
    • pp.39-45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lsed discharge for nanopowder production (나노분말 제조를 위한 펄스방전 특성 연구)

  • Jung, Y.H.;Kim, K.S.;Lee, H.S.;Rim, G.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640-164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금속와이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피딩장치와 금속와이어가 전극에 일정거리 도달하면 자발방전에 의하여 나노분말이 제조될 수 있는 챔버, 그리고 충전기 등의 장비 일체를 제작하여 연속적인 전기폭발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분말입도와 공정 중에 나타나는 펄스방전 특성과의 상호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진동이 없는 전류 파형을 갖는 경우에 나노분말을 제조하기가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0-90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

155밀리 항력감소 이중목적 고폭탄 개발 의의 및 성과

  • Jo, Dong-S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68
    • /
    • pp.60-65
    • /
    • 2001
  • 21세기 첨단과학기술의 발전과 불특정 위협 그리고 세계적 무기체계 발전추세를 감안한 화포의 사거리 증가는 한계에 도달하고 화력운용개념 또한 정밀타격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K9 신형 155밀리 자주포를 통하여 종심지역의 적 전차 및 인원표적을 공격하는 능력을 갖추며, 지능형 탄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독자적인 장거리 탄약개발기술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개발의의 및 성과가 매우 크다 하겠다. 따라서 한국의 지정학적인 전략적 요충지로서 항상 주변 강대국 위협에 대비하는 전투력을 구비하도록 방위산업체 주도의 무기개발이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안동 및 임하댐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하천 탁도관리방안 연구

  • Noh, Joon-Woo;Kim, Jeong-Kon;Lee, Bae-S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92-996
    • /
    • 2006
  • 2005년부터 홍수기 유입된 탁수를 조기방류함에 있어서 안동댐과의 연계운영을 통한 탁도저감 대책이 수립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하류하천의 탁도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류하천의 탁도관리를 지원하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안동 및 임하댐의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하천 탁도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시간적인 변동이 심한 댐 방류시나리오를 입력자료로 구성하여 탁도자료와 함께 하류하천의 영향거리를 분석하고 자연흐름에 의한 탁도저감을 평가하고자 함이 연구의 골자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하 및 안동댐의 호내 탁도분포를 조사하고 하류하천의 지점별 탁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동적수질모형인 KoRiv1-win 모형을 사용하여 하류단 탁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댐직하류 구간에 대해서는 2차원 유한요소 흐름해석 모형인 SMS모형을 사용해서 모의를 수행하였다. 2차원 및 1차원 수리해석 및 수질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탁수전파 거리 및 탁도도달 시간을 산정함하고 하류단 탁도저감을 위한 저수지 연계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재난해파 검출을 위한 정밀측위기술 연구

  • Park, Seul-Gi;Jo, Deuk-Jae;Park,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65-67
    • /
    • 2012
  • 2011년 3월 센다이 앞바다 약 130km지점에서 엄청난 지진해일을 동반한 규모 9.0 초대형 지진이 발생하였다. 많은 지역에서 범람고가 10m를 상회하였으며, 큰 피해가 발생한 곳의 경우 지진해일의 처오름 높이가 23.6m에 달한 곳도 있었다. 이 쓰나미는 지진 발생후 30분만에 첫 번째 지진해일이 해안에 도달하였고, 이 후 수차례 반복하여 내습하였다. 이러한 지진해일의 대책중 하나는 지진해일 발생시 5~10분 이내에 기상청에서 경보를 발령하고 대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을 검출하기 위한 기저거리 비종속 정밀측위기술을 제안하였다. 원해에서는 기준국과의 위치가 멀기 때문에 DGNSS의 사용이 힘들다. 그러므로 단독 GPS 측위에 영향을 주는 오차를 제거하고 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한다. 또한 성능 검증을 위한 파랑의 동적특성을 고려한 테스트베드를 개발하였고,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n anti-ARM technique using decoy antennas (디코이 안테나를 이용한 레이다의 ARM 방어 기술)

  • Chae, Gyoo-Soo;Lim, Joong-Soo;Kim, Min-N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0
    • /
    • pp.2646-2650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n anti-ARM technique using multiple decoy antennas. We investigate the radar and decoy antenna signal received at the ARM receiver to verify the effect of decoy antennas. And we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using Matlab for optimum positions of the decoys and the effect of ARM by distance between decoys. We suggest optimum positions and distance between decoys based on our simulation results.

Ocean Acoustic Tomography using by Range-Dependent Canonical Ocean (거리종속 표준해양을 이용한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 한상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6a
    • /
    • pp.41-43
    • /
    • 1996
  • 동해의 경우 강한 극전선이 존재하여 복부해역과 남부해역의 음속구조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해역에서 평균음속구조를 구하여 표준해양을 설정할 경우 음파 전파경로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나 해역에서 해양음향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해양탐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역별로 다른 음속구조를 가지는 표준해양의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근거로 음파의 전파경로 및 음속구조를 표준해양으로 설정하여 수온 및 수중음속의 변동량을 역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극전선을 설정하고 해역별 특징을 갖는 표준해양을 설정하여 음파 도달시간의 기준을 설정하고 음속구조의 역추정을 수행하여 기존의 해양음향 토모그래피에 의한 해양탐사 방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해양음향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역추정에서는 전선의 형태를 재현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음원과 수신기가 필요하였으나 거리종속 표준해양을 이용할 경우 그 수가 줄어도 가능하고 평균오차고 작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