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

Search Result 15,12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nking Cups in Spring (약수터 음용도구의 Bacillus cereus 분포 및 독소 특성)

  • Jo, Ah-Hyeon;Choi, Ha-Na;Heo, Dan-Bi;Kwon, Sun-Mok;Kim, Jung-Beom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2 no.1
    • /
    • pp.50-5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water and drinking cups in springs and to estimate the toxin gene, enterotoxin production abil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Ten spring water and 34 drinking cups were teste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in spring water were 1.8 log CFU/mL and 1.2 log CFU/mL, and in drinking cups were $4.7log\;CFU/100cm^2$ and $1.7log\;CFU/100cm^2$.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were not isolated from all of samples but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5 (14.7%) of 34 drinking cups. The nheA and entFM genes were major enterotoxin genes in B. cereus isolated from drinking cups. All of B. cereus tested in this study produce non-heamolytic enterotoxin but only 2 isolates possessed heamolysin BL enterotoxin producing ability. B. cereus was resistant to ${\beta}-lactam$ antibiotic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nitary conditions of drinking cups in spring should be improved promptly. The substitution carrying a personal drinking cup for the public drinking cups equipped in springs is suggested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A Systematic Review of Praxis Function With Children: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아동의 실행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감각통합기반중심으로)

  • Shin, Ye-Na;Park, Ji-Hyuck;Ahn, Si-Na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5 no.1
    • /
    • pp.46-59
    • /
    • 2017
  • Objective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the subject and method of assessments used in praxis function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rough the PubMed, Proquest, and Google database, research articles from January of 1985 through April of 2016 were searched. The keywords used for this search were "praxis AND (validity OR reliability) AND (assessment OR test) AND (preschooler OR child)". Additionally, the name for the assessments from the previous review studies of praxis function assessments was searched. In the end, 14 papers were chosen and 8 assessments that were used in these papers were analyzed. Results : Among the final 14 papers, 10 studies (71.4%) were level III (non-randomized one group)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in this review, followed by 4 studies (28.6%) with level II (non-randomized two groups). There was no RCT study which is the level of evidence of the level I research. The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age of the final 8 assessments that were chosen showed that most of the praxis function assessments were developed for children. There were 6 assessments of which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and other 2 assessments of which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not both verified. Conclusion : This study proposes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 of praxis function assessments. The study's significance is that it provides a research evidence when choosing and utilizing assessments for the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of Tongue Movement and Measurement Tools for Dysphagia (연하장애 환자의 혀 운동 및 측정 도구에 대한 고찰)

  • Kim, Jin-Yeong;Son, Yeong-Soo;Hong, Deok-Gi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1 no.4
    • /
    • pp.55-68
    • /
    • 2022
  • Objective : This review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by confirming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ool through a review of tongue movement and measurement tools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Results : We identified 15 tools used as tongue exercises and measurement tools in the field of dysphagia. According to principle, the tools were classified as either a bulb sensor, resistive sensor sheet, mouthpiece with sensor, or other techniques. The bulb sensor was easy to use but had limitations in fixing the position when measuring tongue pressure. The resistive sensor sheet could be measured at a more stable position than the bulb sensor. A mouthpiece with a sensor could be used in an individual's oral cavity such that the position was fixed when measuring the tongue pressure. Other techniques had the advantage of being wireless and capable of sensing light. Conclusion :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the best tool for quantitative tongue measurement in dysphagia. The review can also be used to develop a Korean tongue movement tool model that can be used in hospitals and community centers.

Ava Lab Algorithm Education usi ng an Avatar Robot (아바타 로봇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 : AvaLab)

  • Park, Sun-Hwa;Kang, Ki-Jun;Seo, Y대ng-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13-116
    • /
    • 2009
  • 현재 우리의 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의 보조 도구로써 교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별로 많지 않다. 그래서 AvaLab은 이 시점에서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AvaLab은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을 위한 GUI 프로그래밍 도구이며, 현재의 교육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을 키우기 위한 한 도구로써 교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하려면, 먼저 학습자는 프로그래밍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아이콘 기반의 AvaLab을 통하여 프로그래밍한다. 프로그래밍 후에 학습자는 로봇의 결과를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다. 만약 그 결과가 정확화지 않다면, 로봇은 피드백을 보일 젓이다. 그러므로, AvaLab은 초보자를 위한 도구이며, 7차 교육과정에 적합한 도구이다. AvaLab의 특징 중 하나는 아이콘 기반의 흐름도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학습자는 입력과 출력 센스를 갖는 로봇을 이용해 실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VRML Parser based on Virtual Exhibition Applet Tool (VRML Parser기반의 가상전시관 애플릿 도구 구현)

  • 김대흠;김분희;김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54-456
    • /
    • 2002
  • 근래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는 좀 더 다이나믹한 환경과 함께 색다른 정보를 추구하게 되면서 점차 가상의 현실감을 제공하는 3차원 정보의 요구가 늘고 있다.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은 이러한 3차원 정보를 가시화 해주는 언어로써 인터넷 기반 각종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그 구현 예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VRML 기반의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 저작도구의 설계를 바탕으로 XML파일인 전시물의 카탈로그 정보를 가시화하는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본 저작도구는 기존 저작도구에서 나타나는 데이터베이스 코드 삽입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VRML 객체를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가상전시관 저작도구는 실시간으로 객체 생성 및 수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하게 VRML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 PDF

Monitoring Tools for Efficient Overload Measurements in Apache Kafka (Apache Kafka에서 효율적인 과부하 측정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 Bang, Jiwon;Son, Siwoon;Moon, Yang-Sae;Choi, M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2-54
    • /
    • 2017
  • 실시간으로 빠르게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Apache Storm, Apache Spark 등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대부분의 실시간 처리 기술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데이터 스트림의 입출력을 위해 메시징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pache Kafka는 대표적인 분산 메시징 시스템으로써,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특화된 시스템이다. 현재 Kafka를 위한 다양한 성능 모니터링 도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도구들은 Kafka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 이외에도 유입 데이터의 크기, 수집 속도, 처리 속도 등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Kafka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여러 개의 도구들을 비교하여, 향후 Kafka의 로드 쉐딩에 대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모니터링 도구를 선별하고자 한다.

Tool of file Production from AVI to MPEG-4 (AVI to MPEG-4 파일 생성 도구)

  • 김선태;마평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403-405
    • /
    • 2001
  • MPEG-4 미디어 파일은 저비트율에서 고비트율까지 다양한 응용범위에서 이용 가능하므로, 요즘들어서 MPEG-4의 미디어 파일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를 다루는 전문가 외에는 MPEG-4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여 서비스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MPEG-4파일 생성 도구를 만들었다. 본 파일 생성도구는 일반 PC에 보편화된 미디어 포맷인 AVI과일을 입력으로 오디오와 비디오를 포함한 MPEG-4 파일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이 도구에는 비디오의 화면 크기 변환, 오디오의 채널변환 및 샘플링 주파수 변환 등의 전처기와 비디오/오디오 압축을 위한 각각의 MPEG-4 비디오/오디오 부호기 및 생성된 두개의 미디어 파일을 하나로 묶어 표준에 맞은 파일을 생성하는 포맷터를 포함한다. 본 파일 생성도구는 응용 비트율에 따른 파일 생성뿐 만 아니라 각각의 미디어 파일의 조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간단한 입력으로 원하는 응용에 맞는 다양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Vectoring Tool (자동 벡터링 도구의 설계 및 구현)

  • 이상훈;임은정;허봉식;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72-277
    • /
    • 1998
  • 자동 벡터링 도구는 스캐닝된 도면 영상으로부터 벡터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벡터링 도구에서는 벡터링 작업도중 과다한 사용자 개입을 요구하고 있어 생산성 및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스캐닝 된 도면영상에서 자동화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과 벡터링 대상물의 기하학적 특성을 잘 반영해 줄 수 있는 자동 선추적 방법, 사용자 편의 우주의 벡터 데이터 편집 수정 작업을 위한 후처리 방법을 이용해 자동 벡터링 도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입력되는 도면 영상 중 과도한 전처리가 요구되는 영상은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보면서 디지타이징할 수 있는 화면 디지타이징 방법도 포함시켰다. 실험을 통해 구현된 자동 벡터링 도구가 기존의 반자동 벡터링 도구에 비해 효율성 및 정확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test tool implementation of LDAP interoperability test (LDAP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시험도구 구현)

  • Kim, Youn-Su;Lee, S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71-874
    • /
    • 2003
  • 본 논문은 LDAP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서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시험도구 구현에 대한 것이다. 여러 벤더에 의해 구현된 LDAP 제품들을 업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접속 운용이 가능한지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표준적합성 시험과 함께 상호운용성 시험이 선행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험을 위한 시험도구로 이미 구현된 것이 있으나, 이들은 OS 에 따른 설치 시 제약조건이 많으며, 시험 실행방법의 어려움과, 시험 시 시험항목 및 LDAP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한정되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BLITS를 기반으로 한 OS의 제약이 적고, 사용자가 시험 항목을 수정 가능한 시험도구를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험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두 개의 LDAP 서버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상호운용성 시험을 수행 하였다. 시험 결과 203.241.249.185 의 주소를 가지는 서버는 선정된 시험항목과 사용자가 정의한 시험에 대해 모두 정상적인 시험결과를 출력하였으며 www.openldap.com 주소를 가지는 서버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치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시험결과를 출력하여 구현한 시험도구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Design of DML Based Network Modeling Component for Optical Internet Simulation Tool (광인터넷 시뮬레이션 도구를 위한 DML 기반 네트워크 모델링 컴포넌트 설계)

  • Yun, Sung-Hyun;Kim, Young-B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333-1336
    • /
    • 2003
  • 최근의 인터넷은 기하급수적으로 폭증하는 트래픽을 원활히 수용하기 위하여 광인터넷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롭게 제시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설계 단계에서 구축단계까지 새로운 운용관리 체계를 필요로 한다. 광인터넷 시뮬레이션 도구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도구로서 네트워크 요소시스템의 기능성 검증 및 네트워크 운용성 검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인터넷 시뮬레이션 도구에 있어서 광인터넷의 표현 및 모델링은 주요한 요구사항 중의 하나이며 이는 DML(Domain Modeling Language)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링 컴포넌트를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DML 은 간단하면서 고급의 모델 정의 기능을 제공하고 인터넷과 같은 대규모 모델로의 확장이 용이하며 이종 엔진과의 시뮬레이션 모델교환 형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광인터넷 시뮬레이션 도구에서 시뮬레이션 모델의 표현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광인터넷 시뮬레이션 도구에 적용 가능한 DML 기반 네트워크 모델링 컴포넌트를 설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