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

Search Result 15,114,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Kim, Hea-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2 no.1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

An Architecture of Modeler Supporting 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를 지원하는 모델러의 구조)

  • 김영진;김대헌;유철중;장옥배;정효택;양영종;이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75-477
    • /
    • 1999
  • 기존의 개발 방법이 절차지향 방법에서 객체지향 방법으로 변화해감에 따라 구현시의 중요성보다는 분석 및 설계 단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를 지원하는 여러 가지 모델링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는 사용자를 위한 기능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 도구 자체를 구조적으로 정확한 객체지향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넷/인트라넷 환경에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도구 중에서 모델러에 관한 모듈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도구 자체를 MVC 기반의 객체지향 개념을 적용하여 개발하고 있고, 플랫폼에 독립적인 Java 언어를 이용하여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OMT 에디터(Java version)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UML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 모델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델러를 개발하기 이전의 도구의 구조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위임형 이벤트 모델을 사용한 컨트롤러의 독립성을 이용한 이벤트 처리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여러 개의 뷰(폼)사이의 메시지 전달을 위하여 Agent 패턴이라는 자체 설계 패턴을 개발함으로써 도구 자체를 객체지향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러한 객체지향적 설계 및 구현은 사용자의 요구가 변경되고 도구 자체의 기능 확장이 요구될 경우에 빠르고 쉽게 이를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An Analysis on Software Reliability Evaluation Tools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 분석)

  • Kim, Gookhyun;Baik, J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40-243
    • /
    • 2010
  • 소프트웨어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장을 위한 많은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는 핵심이 되는 작업 중 하나이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 정확하고 효율적인 신뢰성 평가를 돕고 있다.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는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와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구들은 적시적소에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CASRE, SMERFS, SREPT, GERT, SRTPRO 와 같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의 분석을 통해 각 도구들의 특징, 목적, 적용단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도구 중 어떤 도구를 선택해야 하는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utomatic Generation System of Mathematical Learning Tools Using Pretrained Models (사전학습모델을 활용한 수학학습 도구 자동 생성 시스템)

  • Myong-Sung 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713-71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사전학습모델을 활용한 수학학습 도구 자동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사전학습모델을 활용하여 수학학습 도구를 교과과정 및 단원, 유형별로 다각화하여 자동 생성하고 사전학습모델을 자체 구축한 Dataset을 이용해 Fine-tuning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한 학습 도구와 적절치 않은 학습 도구를 분류하여 학습 도구의 품질을 높이었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학학습 도구를 많은 양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초석을 다지었으며, 추후 AI 교과서와의 융합연구의 가능성도 열게 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 Kim, Hwa-Young;Ryu, Se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207-2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and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it.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cesses and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900 nurses at 28 hospitals selected by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with 331 general hospitals nationwide. The final scale was a 4-point scale, consisting of 72 items in 10 domains. The construc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70.3%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ale and over .74 of factor loading.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ale and patient safety culture (r=.52, p<.001) and Cronbach's ${\alpha}$ was .99. This scale developed to measur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and will be a useful tool in practical field.

A Systematic Review on Measurement Instruments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양측 상지 기능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Lee, Joo-Hyun;Lee, Ye-Jin;Park, Ji-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1
    • /
    • pp.7-22
    • /
    • 2016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about instrument for bilateral upper extremity assessment. Methods : We searched published papers in Medline database. The keywords used in the search were 'upper extremity' and 'motor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ssessment', 'instrument', 'disability evaluations'. In total of 68 papers, 44 assessment instruments was extracted. We analyzed about numbers, subjects, methods, reliability, validity, responsiveness of assessment instruments about bilateral upper limb function comparing unilateral, combined bilateral and unilateral instruments. Results : The numbers of bilateral measurement tool were 2 in a total of upper extremity measurement tools. Also, subjects were patients with stroke and measurement was based on performanc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ools were high. Conclusions : Futher study will be needed to development and research about instrument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Tuberculosis Interview Instrument(K-TII)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영유아 교사에 대한 한국어판 수정된 결핵예방 행동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Son, Jihee;Choi,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520-53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uberculosis Interview Instrument (K-TII). The instrument was first translated into Korean, back-translated to English, and reviewed. After the translation process, the instrument was revised from 52 items to 37 items by researchers and an expert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 In addition, these items were reduced to 32 items after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done by 9 experts. As a result of pilot study conducted in 20 early childhood teachers, 3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instrument. Data collected from 289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us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liminary instrument.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instrument categorized into 7 factors explaining 71% of the total variance and 27 items were retained for the final instrument. The result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88. In conclusion, the K-TII may be a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tuberculosis prevention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Analysis on Graphic authoring tool according to Design work frame -Focused on Interface design- (디자인 업무 유형에 따른 그래픽 저작도구의 사용 현황과 발전 방향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 Jung, Da-young;Kim, Seung-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1
    • /
    • pp.233-240
    • /
    • 2017
  • In recent years, graphics authoring tools have evolved into a variety of formats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design field. However, in the field of interface design, screen shape and size depending on the user's environment, it needs more flexible and scalable authoring tool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variety of new tools, work processes are also changing.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kinds of graphic authoring tools are currently used by designers and compared the result to the case of overseas and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of graphic authoring tool. This study looked at criteria and satisfaction of designers choosing authoring tools and how the choice depends on the type of company we are working in and the type of project we are involved in. Research shows that the choice of authoring tools depends on the type and efficiency of the project. Based on this, a reference is provided to establish the standard and working environment for designers and companies to select graphic authoring tools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graphic authoring tool environments.

Develop and Evaluate the Short Form Biomedical Ethics Tool for Medical Workers In Convergence Era (융합 시대의 의료종사자를 위한 단축형 생명의료윤리 도구 개발 및 평가)

  • Je, Nam-Joo;Park, Mee-R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
    • /
    • pp.219-22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biomedical ethics tool for healthcare workers, compare it with pre-existing tool, and increase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11 healthcare workers working in G-d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Varimax rotation extraction method in IBM SPSS WIN/21.0. Convergent validity of the tool was verified by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original tool score. Reliabilit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The short, reduced 21 questions tool reflected 84% of pre-existing tool's biomedical ethics. Its reliability was higher than the 29 question tool for nursing studen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subdomain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Additional development of questio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rviews are needed to increase reliability of the subdomains. Measurement of biomedical ethics dilemma with the tool that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is needed, followed by replication studies.

A Target Manager for Remote Developments of Q+ Embedded Applications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원격 개발을 위한 Q+용 타겟관리자의 개발)

  • Lim, Chae-Deok;Lee, Woo-Jin;Son, Seung-Woo;Kim, H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835-841
    • /
    • 2000
  • 호스트와 타겟 간의 통신 부담과 타겟 자원이 제한적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호스트 중심 원격 개발 환경(Remote Development Environment: RDE)을 구성하였다. 이 원격 개발 환경은 여러 개발 도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도구가 타겟시스템에 접속하여 내장형 응용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공통 기능, 공통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런데 이들을 각각 유지시키는 것은 타겟시스템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개발 도구를 추가/구현하는 것도 매우 어렵게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개발 도구들의 공통 요소들을 모아 도구와 타겟시스템 사이에 중개자 역할을 하는 타겟관리자를 둔다. 타겟관리자는 미들웨어로서 호스트와 타겟 간의 통신 채널을 하나로 유지하면서 도구와 타겟 간의 통신을 중재하고, 도구들이 심볼 테이블을 공유할 수 있도록 심볼 테이블을 관리한다. 또한, 타겟에 있는 도구 전용 메모리를 관리하며, 호스트 상에서 개발한 내장형 소프트웨어를 타겟에 로딩하는 일을 처리한다. 이러한 타겟관리자를 사용하는 원격 개발 환경은 도구들에게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통신 방식 등의 하부 구조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새로운 도구를 추가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ETRI 에서 개발 중인 실시간 운영 체제인 Q+용 타겟관리자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타겟관리자가 동작하게 될 내장형 실시간 응용 개발 환경에 대하여 소개하고, 구현 결과를 도구들과 연계하여 보여주며, 타겟 관리자를 둔 원격 개발 환경이 타겟 관리자를 두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호스트와 타겟 간의 통신 횟수가 얼마나 감소하는지 시험 결과를 통해 보여준다. 현재 타겟 관리자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도구들과 통합 시험을 하였는데 기본 기능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