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덱스트란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뇌경색 환자에게 사용된 덱스트란 40의 부작용 분석 (Adverse Drug Reactions of Dextran 40 Treated to th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 김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73-481
    • /
    • 2016
  • 뇌경색으로 입원하여 덱스트란 40을 투여받고 약물유해반응이 발생하여 의약품 부작용 보고서에 의해 보고된 전주예수병원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경색으로 덱스트란 40을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과 부작용을 조사 및 보고함으로써 약물유해반응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덱스트란의 부작용은 저혈압, 오심, 호흡곤란, 전신적인 두드러기, 열이고 과량 투여 시 폐부종을 유발한다. 평균 입원 기간은 20일로 입원환자의 26.8%가 입원기간의 연장을 경험하였고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 발생률은 12.4%였고, 9명(28.1%)이 itching, rash는 7명(21.9%)이었다. 주입초기에, 초회 주사에서 덱스트란 아나필락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투여 후 4일째에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가 4명으로 18.2%에 이른다. 우리나라에는 덱스트란 1이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미국 FAD에서는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덱스트란 1의 사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효모 추출물 농도에 따른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에 의해 생산된 dextran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물성개량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xtran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Yeast Extract and its Modul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 김지은;황기;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6-223
    • /
    • 2012
  • 당근주스에서 분리된 $Ln.$ $mesenteroides$ SM 균주와 효모 추출물 첨가 농도에 따라 생산된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평가하였으며, 식이섬유 HPMC 첨가에 따른 발효물의 물성을 조절하였다. Sucrose를 포함한 제한배지에 효모 추출물을 0.5% 이상 첨가 시 sucrose 전환율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3% 농도증가에 따라 전환율이 90%까지 증가하였으며 점조도 값은 $37.6\;Pa{\cdot}s^n$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물의 산생성은 발효온도 25, $30^{\circ}C$에서 24시간 이후 최고 산도 값 1.4% 이상을 나타냈으며, 낮은 발효온도에서는 1.0% 수준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기본 제한배지에 효모 추출물을 3% 수준으로 첨가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했을 때, 발효물의 점성과 탄성 값이 각각 약 40과 50 P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덱스트란과 전체 덱스트란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식이섬유 HPMC의 점도가 400, 4,000 cp인 경우에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은 높은 점탄성 값을 보였으며,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탄성 값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HPMC가 강화된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견고성을 포함한 firmness는 HPMC 첨가 농도 증가 및 점도가 높을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점탄성이 높은 겔을 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젖산균 $Ln.$ $mesenteroides$ SM 균주를 이용하여 효모 추출물을 고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발효를 통해서 점조성이 높고, 산도가 적절한 겔 형태의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식이섬유인 HPMC의 혼합에 따라 덱스트란 함유 발효물의 견고성, firmness등의 조절이 가능하며 점탄성이 급격하게 증가된 겔을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덱스트란 함유 젖산균 발효물은 수용성 식이섬유 HPMC의 강화에 따라 probiotic 및 prebiotic을 포함하면서 점조도 및 점탄성이 증진되어 식품의 물성개량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ysozyme의 기능성 개선 (Modification of Functionality for Lysozyme)

  • 김현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56-462
    • /
    • 1994
  • 라이소자임-덱스트란 hybrids는 상대 습도 80%와 $60^{\circ}C$에서 16일간 유지시켜 만들었다. 라이소자임-덱스트란 hybrids의 유화성은 라이소자임보다 약 14배 정도, 시판유화제보다는 약3배 정도 높았다. 그 hybrids의 효소 활성도는 기질로 Micrococcus lysodeiticus 세포벽을 사용한 결과 라이소자임의 약 83% 정도였다. 그 hybrids의 뛰어난 유화성은 pH 3에서도 유지되었고 pH 10에서는 더욱 개선되었다. $100^{\circ}C$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유화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라이소자임-덱스트란 hybrids 이 그람음성세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들은 라이소자임-덱스트란 hybrids가 식품에서 보존료와 유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Dextran 생성균 및 탁주 효모를 이용한 식혜 발효음료 제조 (Production of Sikhae Fermented Beverage using a Dextran Producing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 황승환;정장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7
    • /
    • 2011
  • 김치 원료로부터 덱스트란 생성균과 탁주 효모균이 식혜에 첨가된 설탕을 이용하여 올리고당과 알코올을 생산하는 것을 바탕으로 기능성 알코올 발효 음료 제조를 연구하였다. 식혜 제조를 위한 최대 당화 시간은 가용성 고형물의 변화가 증가한 후 완만하게 되어지는 5시간 내외가 차후 알코올성 발효음료 제조를 위해 적당하였다. 알코올 발효 시 탁주 효모만 사용하였을 경우 약 3%(w/v)가 생성되었으며, 덱스트란 생성균만 접종하였을 경우 알코올 발효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덱스트란생성균과 탁주 효모를 혼합 접종하였을 경우 약 4%(w/v)의 에탄올이 생성되었다. TLC 분석 결과, 탁주 효모만 접종했을 경우 올리고당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탁주 효모와 덱스트란 생성균의 혼합 접종시 설탕을 48시간 안에 사용하였으며, 발효 과정 중 올리고당으로 추정되는 점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덱스트란 생성균과 탁주 효모를 이용한다면 기능성 올리고당과 알코올을 생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알코올 발효 음료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세포외 덱스트란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Flavobacterium multivorum의 분리 (Isolation of Flavobacterium multivorum Producing Exo-dextranase)

  • 정재호;이형환;김영희;이희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6-352
    • /
    • 1987
  • 텍스트란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균을 조사한 결과 117개의 콜로니중에 10개의 덱스트란 분해효소 생산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에서이 효소의 생산능이 가장 높은 균을 선택하여 동정한 결과 Flavobacterium multivorum로 나타났다. 이 균주의 생장과 특성 그리고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을 검사하였고 또한 이 균이 배지에 분비한 세포의 텍스트란 분해효소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F.multivorum 균은 rhamnose, xylose, glucosedh lactose 분해에서 산을 생산하였고, 또한 urease, catalase와 oxidase를 생산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이 균의 세대 시간은 LB 배지에서는 52분, LB-1% 덱스트란 배지에서는 38분이었고, 덱스트란이 함유한 최소배지에서는 660분이었다. 배지에 함유된 덱스트란 분해효소의 활성은 $35^{\circ}C$에서 반응했을 때 pH5과 9사이에서 그리고 pH8인 반응액에서는 $45^{\circ}C$$55^{\circ}C$사이에서 비교적 높았다. 항생물질은 ampicillin, cephalothin, tetracycline, amikacin과 tobramycin에는 내성을, chloramphenicol, cefamandole과 cefotaxine에는 중간 감수성을 그리고 gentamicin, cotrimozaloe와 cefoperazone에는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 균주에서는 플라스미드가 추출되지 않았다.

  • PDF

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한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 제조 (Fabrication of PLGA/Dextran Double-Layered Microspheres by Oil-in-Water Solvent Evaporation Method)

  • 고종태;이재호;이창래;신형식;육순홍;김문석;강길선;이종문;이해방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43-548
    • /
    • 2005
  • 이중층 미립구는 단일층 미립구에 비해서 낮은 초기 방출량과 국소 지항성, 및 약물 방출량 제어 등의 장점 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접 방식이 까다롭고 2단계 이상의 제조 과정이 필요하며 특히 미립구 제조 시 크기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와 덱스트란의 서로 다른 고분자를 초고주파 분쇄 유무에 따른 수중유형(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이중층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또한 PLGA의 농도에 따라 미립구 크기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중층 미립구는 전자주사현미경, 동초점 형광 레이저현미경(CFLM), 캠스코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의 외부층이 매끄러운 구형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시 내부층과 외부층의 형태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이에 외부층과 내부층의 구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플루오르신-5-이소시아네이트-덱스트란(FITC-덱스트란)을 이용해 CFLM을 관찰한 결과 형광을 띠는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내부층과 형광을 띠지 않는 PLGA 외부층을 관찰하였다. 또한 PLGA의 함량에 따른 미립구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수중유형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덱스트란과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를 이용한 이중층 나노미립구 제조 (Preparation of Double Layered Nanosphere Using Dextran and Poly(L-lactide- co-glycolide))

  • 홍금덕;안용산;고종태;김문석;육순홍;신형식;이종문;강기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260-265
    • /
    • 2005
  • 약물의 서방화에 있어서 독성이 특히 강하거나 유효 치료영역이 좁은 약물일수록 초기 버스트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약물의 전달을 위한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나노미립구의 이용은 표면에 존재하는 약물 때문에 초기 버스트가 커서 서방화에 적절치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덱스트란과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CA)를 이용한 이중층 나노미립구를 제조하여 서방성 방출 거동을 보이는 약물 전달체 제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덱스트란과 PLCA의 나노미립구는 W/O/W법을 이용하여 이중 에멀젼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고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사용하였다. 덱스트란의 생체외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동결 건조된 시료를 직경 $3{\times}1mm$ 몰드를 이용하여 웨이퍼를 제조하여 증류수에서 7일간 방출 거동을 확인하였다. 이중층 나노미립구는 각각의 단일고분자로 이루어진 나노미립구에 비해 다른 방출거동을 보였다. 특히 유화제인 PVA농도가 $0.2\%$인 것이 0차 방출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대조군인 물리적인 혼합 모델, 덱스트란 또는 PLGA로만 이루어진 웨이퍼 및 단일층 미립구에 비해 이중층 나노미립구의 내부물질인 덱스트란의 방출 거동이 서방형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VA의 함량에 따라 방출 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한 플루란의 변형 및 특성조사 (Modification of Pullulan Using Dextransucras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dified Pullulan.)

  • 이진하;김도만;류화자;허수진;전덕영;한남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4-268
    • /
    • 1998
  • 덱스트란수크라제는 Sucrose를 이용하여 덱스트란의 합성을 촉진하는데 sucrose이외에 다른 탄수화물이 효소 반응기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Sucrose의 glucose를 이 탄수화물에 전달하는 반응을 촉진하여 새로운 구조의 산물을 생산한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CB로 부터 얻은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하여 플루란을 변형하고 그 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했다. 수용성 변형 플루란은 이론적 수율의 57%(<$\pm$5)를 얻었다. 플루란 변형의 최적 조건으로는 pH 5.2, 28$^{\circ}C$ 에서 기질 0.37%(w/v)와 반응한 효소의 농도와 Sucrose농도가 각각 0.1 U/$m\ell$과 48mM일 때였다. 변형 플루란을 pullulanase, endodextranase로 처리하여 변형 전의 플루란과가수분해 상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변형전의 산물에 비해 이들 가수 분해 효소에 대해 더 저항성을 보였다. 변형 플루란을 methylation과 산가수분해 후 TLC한 결과 sucrose의 glucose가 플루란 glucose의 C3, C4, C6 위치의 free-OH group에 수식된 새로운 구조의 변형 플루란임을 확인하였다.

  • PDF

덱스트란 필름의 제조 및 개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Dextran Film and Its Modification)

  • 김성현;김병훈;김도만;조동련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778-784
    • /
    • 2002
  • 덱스트란 용액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여러 가지 특성들을 살펴보았으며, 가소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거나 저온 플라스마로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특성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덱스트란 필름은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였으나 부스러지기 쉽고 수분에 대단히 약한 특성을 보였다 가소제를 첨가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크게 개선되는 대신에 기계적 강도가 크게 약화되었다. 하지만, 가소제를 첨가한 다음 가교제로 가교시키거나 함께 첨가할 경우에는 비교적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함께 유연성을 지닌 필름이 제조되었으며, 수분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아세틸렌 플라스마로 처리할 경우 필름 자체의 특성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친수성인 표면이 소수성으로 바뀌었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Leuconostoc sp. strain YSK 균주에 의한 덱스트란 생산 조건의 최적화 (Process Optimization of Dextran Production by Leuconostoc sp. strain YSK. Isolated from Fermented Kimchi)

  • 황승균;홍준택;정경환;장병철;황경숙;신정희;임성팔;유선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77-1383
    • /
    • 2008
  • 본 연구는 발효 김치 액으로부터 덱스트란 생산 균주를 분리하고 생산 최적 생산 조건을 정하기 위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발효 조건의 독립변수들은 배양 온도,pH, 효모 추출물의 농도, 온도, 기질의 농도로 정하고 Box- Benken 디자인를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최종 분리된 균주는 Leuconostoc sp. strain SKY로 잠정적으로 명하였다. 연구 결과 덱스트란 생산은 3.90 - 22.40 g/l이고, 균체량 생산은 0.69-2.85 g/l, 수율은 0.10-0.64, 생산 속도 0.16-0.85 g/l-hr의 범위에서 분석이 되었다. 표면반응분석 결과 덱스트란 생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배양 pH이고 다음에 효모 추출물의 농도 그리고 온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균체량 생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배양 pH이고 다음에 효모 추출물의 농도 그리고 온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 수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배양 pH 이고 다음에 효모 추출물의 농도 그리고 온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덱스트란 생산 속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배양 pH이고 다음에 효모 추출물의 농도 그리고 온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적 생산 조건은 온도는 $27-28^{\circ}C$이고, pH는 7.0이며, 효묘 추출물은 6-7%의 범위에서 결정이 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생산된 덱스트란 양은 22g/l이고, 생산 수율은 약 60%정도이며, 생산 속도는 0.8g/l/hr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