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재이용 행위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Investigation on Data Needs and Data Reuse Behavio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데이터요구와 데이터 재이용 행위에 관한 연구)

  • Kim, NaYon;Chung, E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4
    • /
    • pp.1-26
    • /
    • 2020
  • In today's increasingly data-intensive academic environment, data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academic communication as a research outcome rather than a research by-produc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uaranteeing actual data reuse only by expanding the data supply or securing accessibil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ata reuse behavior and data needs in-dept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ajor data reuse behavior and data needs among researchers. To this end, the authors of KCI papers among the data reuse documents of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for the past 3 years were target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researchers who accepted the interview. As a result, factors considered when reusing data were personal, economic, technical, and social aspects, and it was found that the data itself was used or contextual information of the data was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data reuse. The path to acquiring data is a web-based source of information, and a path through informal communication can also be found. In terms of the data needs,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English, the United States, and institutional producers. Also they have a clear preference for quantitative data from an interviewer-filled interpersonal interview survey method, rich metadata along with raw data, and data that con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 value, it is negative for the use of data with controlled access and use,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a clear preference because there is no similar data available for selection in terms of size and freshness.

A Study on User Behavior Analysis Tool for Convergence of Smart Appliances (스마트 기기의 컨버전스를 위한 사용자 행위 분석도구에 관한 연구)

  • Son, Hyun-Seung;Kim, Woo-Yeol;Kim,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59-562
    • /
    • 2006
  • 스마트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의 다양화, 고도화라는 키워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한 재조합적 혁신인 컨버전스가 효과적인 방안이다[1]. 사용자의 요구상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를 관측, 설문을 통한 행위 분석 방법도 있다. 이때 정제되지 않는 관측, 설문, 행위 데이터는 방대한 양이므로 분석하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사용자의 데이터 영역을 제한으로 데이터를 줄일 수도 있겠지만 필요한 데이터의 손실 위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컨버전스에 필효한 요구사항 ��루을 위한 분석도구를 제안한다. 적용 사례로 사용자 데이터를 도구를 이용하여 핵심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향후에는 핵심데이터를 가지고 컨버전스된 스마트 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려 한다.

  • PDF

Cyberclass Avatar System using Behavior Description Language (행위 표현 언어를 이용한 Cyberclass 아바타 시스템의 $구현^1$)

  • 김정희;김재경;최윤철;임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50-553
    • /
    • 2004
  • 최근 웹과 가상환경에서는 사실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아바타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바타 동작의 제어를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하위 동작과 관련된 복잡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하기에는 난해한 점이 많았고, 다양한 작업 도메인에 적용할 때에는 해당 도메인에 맞게 언어를 재 작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작성하기 쉬운 형태로 정의된 작업수준의 행위 표현 언어와 작성된 행위의 세부 동작들을 위한 동작 표현 언어를 각각 정의하고, 행위 표현 언어를 동작 표현 언어로 변환시키기 위해 Interpreter를 구현하였으며, 아바타의 모션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Cyberclass 아바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제안된 행위 표현 언어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행위 표현 언어가 아바타의 행위에 대해 좀 더 간단하게 작성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Us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Input Pattern Analysis (사용자 입력 패턴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판별 방법 연구)

  • Park, Minsoo;Park, Jumin;Kim, Kyungheon;Won, Yoo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13-21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입력패턴 분석을 통한 행위 기반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기기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정보를 받아오고, 받아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만의 고유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후, 사용자에 대한 인증요청이 들어오면 입력 정보들과 저장된 입력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을 허용할지 결정한다.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고유한 행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인증을 진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하게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모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안하는 인증 방법이 실질적으로 사용자 인증에 적용 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n Examination of Theories of Health Behaviors for Guiding Research on Mammogram Screening Practices for Korean Immigrant Women (건강행위이론의 사회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논의;한인여성의 유방암 방사선 검사 행위와 관련하여)

  • Suh, Eun-Young
    • Asian Oncology Nursing
    • /
    • v.7 no.1
    • /
    • pp.79-89
    • /
    • 2007
  • 연구 목적: 1980년대 이후 미국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진율은 급속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색 인종의 여성들은 여전히 조기 검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유색인종 여성들의 낮은 검진율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건강행위이론을 이용한 관련 요인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국 보건 의료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섯 건강행위 이론을 유색 인종 여성, 특히 한국 이민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검진 이행에 적용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네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CINAHL, MEDLINE, PsycINFO, Sociological Abstracts)를 이용한 심층적 문헌 고찰을 통해 각각의 이론으로 유방암 조기 검진을 설명한 연구들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론들의 배경, 주요 요인, 그리고 유색인종의 유방암 조기 검진에서의 적용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 서양 문화권 속에서 개발된 각 이론들이 한국적 정서와 행동을 설명하는데 명확한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면밀하게 재분석하여 한국적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도출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ourist satisfaction of the Daegu City Tour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대구시티투어 관광객의 만족도 연구)

  • Song, Mi-Jung;Lee, Ji-Ye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6
    • /
    • pp.1075-1087
    • /
    • 2011
  • We analyze the tourist satisfaction of the Daegu City Tour which plays a big role in the local tourism boosting through '2011 Visit Daegu Year'. To analyze a causal relation among factors, we propo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isting of four latent variables of the tour: motivation,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future behaviors. Using data from the actual tourists of the Daegu City Tour, we found out that tourists' motivation before the tour does not affect tourists' satisfaction after the tour. However those who have higher motivation have positive future behavior and those who have the higher expectation are more satisfied with the tour. Meanwhile, the expectation before the tour does not lead the future behavior but the satisfaction after the tour influences the positive future behavior.

CyberClass Avatar System using Task-Level Behavior Description Language (작업 수준의 행위 표현 언어를 이용한 사이버강의용 아바타 시스템)

  • Kim, Jung-Hee;Lim, Soon-Bum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5
    • /
    • pp.597-602
    • /
    • 2004
  • In spite of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avatar systems in Web and Virtual Reality, there has not been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control directly the avatar behavior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havior control languages required a lot of complicat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behaviors, so that users had difficulty using them. To apply written languages to a different task domain, moreover, it was necessary to modify or rewrite the languages. In this paper, for the avatar behavior control more simply define, “Task-Level Behavior Description Language,” which allows description the avatar behaviors in each task domain and “Motion Representation Language,” which enables writing detailed data for motion control.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included an Interpreter,” which automatically creates the Motion Representation Language, allowing users to easily control the avatar behaviors simply with the Behavior Description Language. The system was also applied to cyber classes, and the Task-level Behavior Description Language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languages to see how it was more effective in behavior description.

An Empirical Study of Customer's Repeat Visit Frequency on the Internet (인터넷 이용자들의 웹사이트 재방문 빈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Lee, Suke-Kyu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1
    • /
    • pp.129-146
    • /
    • 2003
  • This study explores whether a NBD type of model can be applied to characterize the underlying frequency distribution of online consumer's visit behavio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1) How can we characterize the underlying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number of repeat i i visits to a site? (2) How can consumer's Internet usages and his/her demographics affect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to the site? Through the empir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found that NBD models are directly applicable to characterize the underlying distribution of visit frequency on the Internet.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ow site visits are determined. Especi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repeated visits and the visitors' Internet Usages and demographics. The proposed models are estimated and validated by online panel data that covers more than 1000 different sites and has 800,000 observations.

  • PDF

Promotion plan of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project in the basin unit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유역단위의 물 안심공간 사업 추진방안)

  • Min Woo Lee;Sang Whoing Lee;Jin W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3-253
    • /
    • 2023
  • 유역의 수량, 수질, 수생태, 지하수, 하천환경, 기후변화, 오염원, 하천 친수공간, 농업경작지 등 수자원 관점의 물순환의 범위를 넘어서 환경, 기후변화 적응, 경제성,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 통합적인 유역의 물관리 이슈와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물순환 관리의 개념은 국토개발과 도시화에 따라 파생된 물순환 왜곡 및 그에 따른 제반 물문제(홍수량 증가에 따른 침수피해, 직접 유출량 증가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한 물관리 행위 전체로 볼 수 있다. 물순환 관리의 범위는 홍수량 감소를 위한 홍수관리, 가용 수자원의 증대를 위한 물 확보 등 물관리 전반을 포함해야 한다. 기존의 물순환 사업은 비점오염 관리에 중점을 두고 LID를 활용한 빗물 침투율 증대와 빗물 재이용 등의 관련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물순환 체계 전반을 다루고 있지 못하고 수질 개선에그 효과가 집중되었다. 따라서, 수량·수질·수생태·재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물순환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개별적이고 시설물 중심인 기존 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건전성을 기반으로 유역의 안심공간 조성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전반을 연계한 통합적인 물관리를 통하여 물 안심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토대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관련 데이터 수집, 유역별 물순환 수준의 진단 및 평가를 통하여 시범사업 모델을 마련하고, 사업에 따른 효과분석을 기반으로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을 통한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patial Analysis to Capture Person Environment Interactions through Spatio-Temporally Extended Topology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토폴로지를 이용한 개인 환경간 상호작용 파악 공간 분석)

  • Lee, B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3
    • /
    • pp.426-439
    • /
    • 2012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capture the qualitative person spatial behavior. Beyond tracking or indexing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a person,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person and its environment are considered as the main source for the formal model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ement behavior of a person near the boundary of a region. To capture the behavior of person near the boundary of regions, a new formal approach for integrating an object's scope of influence is described. Such an object, a spatio-temporally extended point (STEP), is considered here by addressing its scope of influence as potential events or interactions area in conjunction with its location. The formalism presented is based on a topological data model and introduces a 12-intersection model to represent the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a region and the STEP in 2-dimension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TEP concept, a prototype analysis results are provided by using GPS tracking data in real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