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논문

Search Result 41,149, Processing Time 0.07 seconds

A Design of Small Size Sensor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소형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스템 설계)

  • Lim, Joong-So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
    • /
    • pp.136-141
    • /
    • 201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of a small size data acquisition system with STM32 processor based on Cortex-M4. The system is used for the sensor devices to collect raw data on production lines at factory and send them to the server computer in real time. Also the system is designed to easily acquisite various kinds of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with the digital signal input unit, the analog signal input unit, the digital signal output unit and the analog signal output unit This small data acquisi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recision products in the industrial field by collecting various data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data at high speed.

Efficient Collecting Scheme the Crack Data via Vector based Data Augmentation and Style Transfer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벡터 기반 데이터 증강과 인공신경망 기반 특징 전달을 이용한 효율적인 균열 데이터 수집 기법)

  • Yun, Ju-Young;Kim, Donghui;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67-66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벡터 기반 데이터 증강 기법(Data augmentation)을 제안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으로 실제 균열과 가까운 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건축물의 균열은 인명 피해를 가져오는 건물 붕괴와 낙하 사고를 비롯한 큰 사고의 원인이다. 이를 인공지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실제 균열 이미지는 복잡한 패턴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문제점은 인위적으로 특정 부분에 변형을 주어 데이터양을 늘리는 탄성왜곡(Elastic distortion)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보다 향상된 균열 패턴 결과를 CNN을 활용하여 보여준다. 탄성왜곡 기법보다 CNN을 이용했을 때, 실제 균열 패턴과 유사하게 추출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픽셀 기반 데이터가 아닌 벡터 기반으로 데이터 증강을 설계함으로써 균열의 변화량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개수의 균열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균열의 방향 및 패턴을 다양하게 생성하여 쉽게 균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에 이바지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ression-Based Volume Rendering on Distributed Memory Parallel Computers (분산 메모리 구조를 갖는 병렬 컴퓨터 상에서의 압축 기반 볼륨 렌더링)

  • Koo, Gee-Bum;Park, Sang-Hun;Song, Dong-Sub;Ihm, In-S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5
    • /
    • pp.457-4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산 메모리 구조를 갖는 병렬 컴퓨터 상에서 방대한 크기를 갖는 볼륨 데이터의 효과적인 가시화를 위한 병렬 광선 투사법을 제안한다. 데이터의 압축을 기반으로 하는 본 기법은 다른 프로세서의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기보다는 자신의 지역 메모리에 존재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빠르게 복원함으로써 병렬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기법은 객체-순서와 영상-순서 탐색 알고리즘 모두의 정점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즉, 블록 단위의 최대-최소 팔진트리의 탐색과 각 픽셀의 불투명도 값을 동적으로 유지하는 실시간 사진트리를 응용함으로써 객체-공간과 영상-공간 각각의 응집성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압축 기반 병렬 볼륨 렌더링 방법은 렌더링 수행 중 발생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프로세서 사이의 상당히 높은 데이터 통신 비용을 감수하여야 하는 PC 및 워크스테이션의 클러스터와 같은 더욱 실용적인 분산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Cray T3E 병렬 컴퓨터 상에서 Visible Man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Design of a Consistency Algorithm for VOD Streaming Data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위한 Consistency 알고리즘 설계)

  • Jang Seung-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8
    • /
    • pp.1414-1421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consistency algorithm that is able to serve streaming data efficiently in VOD system. The media data is stripping into several pieces of data by the Round Robin method in order to media data service. The barrier mechanism is changed into the minimum data factor(SH. GOP) in this paper. The shared memory is allocated at one host with one fragment size. Data is combined with RTP packet transmission data format using barrier mechanism. I experiment and program the suggested algorithm on the VOD system.

XML Query Optimization based on Signature (시그니처를 이용한 XML 질의 최적화)

  • Park, Sang-Won;Kim, Hyeong-Ju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1
    • /
    • pp.104-114
    • /
    • 2001
  • XML은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표준으로 새로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잘 처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도움은 필연적이다. XML을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는 트리 형태로 저장되며 질의어는 정규 경로식(regular path expression)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질의 처리는 트리의 각 노드 탐색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그니처를 이용한 저장 방법 및 질의 처리를 통하여 질의 수행 시 각 노드의 탐색 횟수를 줄여 질의 수행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반 구조적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반구조적 데이터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인덱스 노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데이터 객체와 인덱스 객체의 탐색을 줄임으로서 XML 질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 PDF

Extraction of higher yeast protein-protein interaction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from textual data (계층적 군집화를 통한 이스트(Yeast) 단백질의 고차 상호작용 추출)

  • 엄재홍;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64-36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형태로 구성된 특정 생물에 대한 문헌 데이터에서 해당 생물의 주요 단백질간의 이진(binary) 관계를 추출하여 이들을 특징별로 계층적으로 군집화 함으로써 특정 현상을 나타내는 단백질간의 주요 관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텍스트 데이터에서 단백질간의 이진관계는 기본적인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의 형태로 추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위해 PUBMED에서 추출한 Yeast의 주요 단백질간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논문 데이터인 MEDLINE Abstract와 몇몇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SH3와 같이 기존에 알려진 단백질간의 단일 관계를 추출하는 것 이외에 이러한 관계들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행한 결과 공통 현상에 작용하는 주요 단백질간의 관계들이 서로 군집화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이진관계가 아닌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보다 상위 단계에서 단순 규칙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단백질간의 이진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한 문헌 데이터에 나타나 있지 않은 1차 이상의 관계를 고찰 해 볼 수 있었다. 논문에서는 규칙 추출의 전체 과정과 함께 사용된 추출 시스템의 각 부와 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다룬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hority Data based Academic Paper Retrieval System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Seok-Hyoung;Kwak, Se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2
    • /
    • pp.133-15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retrieval system that may provide search tool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search of academic papers with user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this work studied 60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the academic paper service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on both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usability and additionall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search efficiency and system availability i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search system among user groups. As a result, the authority data-based academic paper search system was analyzed to show a higher search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than the ordinary system.

A Design and Implemention of an Article Union Cataloging System Based on Metadata (메타데이터 기반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최한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2
    • /
    • pp.57-76
    • /
    • 2001
  • As the rapid develoment of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traditional library has been altered to the digital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world wide web.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rtcle Union Catalog System(AUCS) based on metadata. The metadata set for the AUCS consists of twelve Dublin Core elements and one holdings element. The qualifiers of the proposed metadata elements are also represented. The AUCS system has an online cooperated cataloging system using the web interface or the 239.50 protocol, an union cataloging management system, and an integrated information retrieved system service. The integrated search and retrieval service of the AUCS displays not only the summary and detailed bibliographic information, but also the abstract, the table of contents, the digital content, and the copylfax service.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tadata Schema for Academic Paper Integrated DB (학술논문 통합 DB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비교 분석)

  • Choi, Wonjun;Hwang, Hyekyong;Kim, Jeonghwan;Lee, Kangsandajeong;Lim, Seok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689-699
    • /
    • 2020
  •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NDSL) database, which provides academic papers at home and abroad, collects, builds, and manages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B paper schema and DB metadata that are currently constructed and managed to derive an integrated DB schema that can manage the high-value-added papers and manage them efficiently by analyzing distributed DB papers. Also, the final academic information data items were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using the Web of Science and SCOPUS schemas that are currently purchased and possessed. The academic information data items constructed and serviced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to seven papers, authors, abstracts, institutions, themes, journals, and references, and defined as core contents under construction. The integrated DB schema was creat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constructing the integrated DB collection of high quality academic papers and designing the integrated system.

Transmission system design for synchronized data service on digital data broadcasting environment (디지털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 시스템 설계)

  • Lee Yong Ju;Park Min Sik;Choi Ji Hoon;Choi J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1-20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부가 데이터는 그 특징에 따라 비동기, 동기, 동기화 데이터로 구분된다. 이들 중 동기화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되는 비동기 데이터와는 달리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특정 장면에 통기되어 재생될 수 있는 데이터고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데이터가 재생되어야 하는 시전의 시간 정보인 재생시각이 함께 전송되는 특징이 있다. 동기화 데이터의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 방송에 사용되고 있는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 시스템은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에는 부적합하며,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새로운 전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방송을 동해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MPEG-2 오디오/비디오 TS(Transport Stream)를 출력하는 장치와 동기화 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장치를 추가한 새로운 동기화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