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 논문

검색결과 41,151건 처리시간 0.067초

소형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mall Size Sensor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 임중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36-141
    • /
    • 2019
  • 본 논문은 Cortex-M4 기반 소형 데이터수집, 융합 및 고속 전송시스템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서버 컴퓨터로 직접 자료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간단한 필드-프레임을 개발해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 시켰다. 또한 각종 센서에서 수집된 여러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장치로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 입력부와 아나로그 신호 입력부, 디지털 신호 출력부와 아나로그 신호 출력부가 별도로 구성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소형 데이터수집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각종 데이터의 수집 및 고속 데이터 전송이 실시되어 산업현장에서 정밀한 제품들의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벡터 기반 데이터 증강과 인공신경망 기반 특징 전달을 이용한 효율적인 균열 데이터 수집 기법 (Efficient Collecting Scheme the Crack Data via Vector based Data Augmentation and Style Transfer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윤주영;김동희;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67-66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벡터 기반 데이터 증강 기법(Data augmentation)을 제안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으로 실제 균열과 가까운 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건축물의 균열은 인명 피해를 가져오는 건물 붕괴와 낙하 사고를 비롯한 큰 사고의 원인이다. 이를 인공지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실제 균열 이미지는 복잡한 패턴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문제점은 인위적으로 특정 부분에 변형을 주어 데이터양을 늘리는 탄성왜곡(Elastic distortion)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보다 향상된 균열 패턴 결과를 CNN을 활용하여 보여준다. 탄성왜곡 기법보다 CNN을 이용했을 때, 실제 균열 패턴과 유사하게 추출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픽셀 기반 데이터가 아닌 벡터 기반으로 데이터 증강을 설계함으로써 균열의 변화량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개수의 균열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균열의 방향 및 패턴을 다양하게 생성하여 쉽게 균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에 이바지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분산 메모리 구조를 갖는 병렬 컴퓨터 상에서의 압축 기반 볼륨 렌더링 (Compression-Based Volume Rendering on Distributed Memory Parallel Computers)

  • 구기범;박상훈;송동섭;임인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5호
    • /
    • pp.457-4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산 메모리 구조를 갖는 병렬 컴퓨터 상에서 방대한 크기를 갖는 볼륨 데이터의 효과적인 가시화를 위한 병렬 광선 투사법을 제안한다. 데이터의 압축을 기반으로 하는 본 기법은 다른 프로세서의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기보다는 자신의 지역 메모리에 존재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빠르게 복원함으로써 병렬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기법은 객체-순서와 영상-순서 탐색 알고리즘 모두의 정점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즉, 블록 단위의 최대-최소 팔진트리의 탐색과 각 픽셀의 불투명도 값을 동적으로 유지하는 실시간 사진트리를 응용함으로써 객체-공간과 영상-공간 각각의 응집성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압축 기반 병렬 볼륨 렌더링 방법은 렌더링 수행 중 발생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프로세서 사이의 상당히 높은 데이터 통신 비용을 감수하여야 하는 PC 및 워크스테이션의 클러스터와 같은 더욱 실용적인 분산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Cray T3E 병렬 컴퓨터 상에서 Visible Man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VOD 스트리밍 데이터를 위한 Consistency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 Consistency Algorithm for VOD Streaming Data)

  • 장승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14-142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VOD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Consistency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우선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스트라이핑하여 각 호스트의 저장 노드에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계산 용도로 사용되는 barrier 메커니즘을 미디어 플레이 최소 단위인 (SH, GOP) 미디어 데이터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데이타 처리 방식은 하나의 호스트에 한 프래그먼트 크기의 공유메모리를 할당한다. 이 공유메모리 는 barrier 메커니즘을 통하여 RTP패킷 전송 단위로 결정될 프래그먼트 데이터의 조합을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VOD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시그니처를 이용한 XML 질의 최적화 (XML Query Optimization based on Signature)

  • 박상원;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1호
    • /
    • pp.104-114
    • /
    • 2001
  • XML은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표준으로 새로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잘 처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도움은 필연적이다. XML을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는 트리 형태로 저장되며 질의어는 정규 경로식(regular path expression)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질의 처리는 트리의 각 노드 탐색을 통하여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그니처를 이용한 저장 방법 및 질의 처리를 통하여 질의 수행 시 각 노드의 탐색 횟수를 줄여 질의 수행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반 구조적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반구조적 데이터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인덱스 노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데이터 객체와 인덱스 객체의 탐색을 줄임으로서 XML 질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 PDF

계층적 군집화를 통한 이스트(Yeast) 단백질의 고차 상호작용 추출 (Extraction of higher yeast protein-protein interaction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from textual data)

  • 엄재홍;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364-36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형태로 구성된 특정 생물에 대한 문헌 데이터에서 해당 생물의 주요 단백질간의 이진(binary) 관계를 추출하여 이들을 특징별로 계층적으로 군집화 함으로써 특정 현상을 나타내는 단백질간의 주요 관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텍스트 데이터에서 단백질간의 이진관계는 기본적인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의 형태로 추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위해 PUBMED에서 추출한 Yeast의 주요 단백질간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논문 데이터인 MEDLINE Abstract와 몇몇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SH3와 같이 기존에 알려진 단백질간의 단일 관계를 추출하는 것 이외에 이러한 관계들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행한 결과 공통 현상에 작용하는 주요 단백질간의 관계들이 서로 군집화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이진관계가 아닌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보다 상위 단계에서 단순 규칙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단백질간의 이진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한 문헌 데이터에 나타나 있지 않은 1차 이상의 관계를 고찰 해 볼 수 있었다. 논문에서는 규칙 추출의 전체 과정과 함께 사용된 추출 시스템의 각 부와 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다룬다.

  • PDF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hority Data based Academic Paper Retrieval System)

  • 이석형;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3-15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 전거데이터 구축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전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은 저자 및 소속기관에 대한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질의어 자동완성, 검색결과 군집화, 저자네트워크 및 주제네트워크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연구원, 도서관사서, 대학원생 이용자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거데이터 기반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이 일반적인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에 비해 검색 효율성과 시스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메타데이터 기반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ion of an Article Union Cataloging System Based on Metadata)

  • 최한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7-76
    • /
    • 2001
  • 인터넷 및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도서관은 원문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 데이터 기반 논문 종합목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접합은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요소 중 12개를 선택하고 소장요소를 추가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 구현한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및 Z39.50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온라인 공동 목록 시스템과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시스템 그리고 학술지 논문 통합 검색 서비스로 구성된다. 또한 학술지논문에 대한 통합 검색 또는 기사 색인 검색 결과에 따라 초록보기, 목차보기, 원문보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복사/팩스 서비스 시스템과 연계된다.

  • PDF

학술논문 통합 DB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tadata Schema for Academic Paper Integrated DB)

  • 최원준;황혜경;김정환;이강산다정;임석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89-699
    • /
    • 2020
  • 국내외 학술논문을 서비스하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분산적으로 수집, 구축 및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된 학술논문 DB를 분석하여 논문데이터를 고부가가치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DB 스키마 도출을 위하여 현재 구축되고 관리되는 학술논문 DB 스키마 및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Web of Science와 SCOPUS 스키마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을 통한 최종 학술정보 데이터 항목을 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되고 서비스되는 학술정보 데이터 항목이 논문, 저자, 초록, 기관, 주제, 저널, 참고문헌 7가지로 요약 도출되었으며 구축중인 핵심콘텐츠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 DB 스키마가 만들어졌으며, 향후 이 연구 결과는 고품질의 학술논문 통합 DB 컬렉션 구성과 시스템 최적화 설계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디지털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 시스템 설계 (Transmission system design for synchronized data service on digital data broadcasting environment)

  • 이용주;박민식;최지훈;최진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01-20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에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부가 데이터는 그 특징에 따라 비동기, 동기, 동기화 데이터로 구분된다. 이들 중 동기화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재생되는 비동기 데이터와는 달리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특정 장면에 통기되어 재생될 수 있는 데이터고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데이터가 재생되어야 하는 시전의 시간 정보인 재생시각이 함께 전송되는 특징이 있다. 동기화 데이터의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 방송에 사용되고 있는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전송 시스템은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에는 부적합하며,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새로운 전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방송을 동해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비동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MPEG-2 오디오/비디오 TS(Transport Stream)를 출력하는 장치와 동기화 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장치를 추가한 새로운 동기화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동기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