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모델링

검색결과 3,086건 처리시간 0.035초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 모델링

  • 조홍범;조우석;박준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8
    • /
    • 2008
  • 건물의 3차원 모델링은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3차원 건물 모델링은 대부분 입체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도화사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항공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연구는 항공라이다 점 데이터를 보간 과정을 통하여 픽셀구조로 변환하거나 수치지도, 항공영상 등의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건물 모델링 기법에서 사용되었던 점 데이터의 픽셀구조로의 변환 및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 등의 방법을 배제하고 항공라이다 데이터만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지붕에 대한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서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패치(patch)를 구성하고, 동일한 속성을 갖는 패치들을 병합하여 건물의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건물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모델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한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 PDF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른 지물의 3D모델링 (3D Modeling of Terrain Objects according to the Point Density of Lidar Data)

  • 한동엽;김용일;유기윤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0-555
    • /
    • 2003
  • 최근에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정보와 지표면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높은 위치 정확도, 3차원 데이터 동시 취득, 기존 측정 방식에 비하여 점 데이터 취득의 자동화, 데이터 정확도의 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지형 및 인공구조물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Lidar 데이터의 응용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건물 모델링에서 반자동 방식의 디지털 사진측량에 비하여 자동 모델링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ar 데이터의 점밀도는 1점/㎡이내이며, 촬영된 스트립을 중복시켜 점밀도를 높이기도 한다. 건물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델링에 필요한 점밀도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5점 내외에서 모델링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물이외에 다른 지형지물에 대한 모델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라 지물의 모델링 가능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취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보안 객체-관련성 모델에서 응용 트랜잭션 모델링 (Application Transaction Modeling in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 심갑식;조일래;노봉남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2년도 정기총회및학술발표회
    • /
    • pp.257-266
    • /
    • 1992
  • 지금까지는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트랜잭션 모델링은 데이터의 무결성 성질만을 언급하였고 보안 성질은 표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동적 성질을 모델링하는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완전히 보장하기 어려웠다. 응용영역의 효과적인 분석과 설계를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링에서 객체, 속성, 관련성 등과 같은 정적 성질 반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동적 성질의 모텔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 정보를 표현하는 보안 객체 관련성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SOREM)에서 보안성이 첨가되어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연산을 바탕으로 응용 트랜잭션을 모델링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과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보안 트랜잭션 정의언어(Secure Transaction Definition Language : STDL)를 사용하여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자동화 도구를 X 윈도우 환경에서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디지털트윈 전시형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엔티티 기반 3차원 예술작품 데이터모델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tity-Based 3D Artwork Data Modeling for Digital Twin Exhibition Content Development)

  • 김소진;김찬희;김안나;박현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86-100
    • /
    • 2024
  • 최근 문화정책 기반 연구과제 및 공공기업들의 홍보수단으로 가상현실 전시형 콘텐츠 서비스가 적지 않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시각, 예술, 기록 등 문화자원을 기초로 하는 대부분의 아카이브 자료들이 엔티티 기반 데이터모델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3차원 예술작품을 데이터화하여 축적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공공기관 메타데이터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오래된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디지털트윈을 개발할 때 자원 디지털화의 부재가 있었다.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뛰어넘는 용량과 속도로 다차원 데이터들을 연결함에 데이터모델링 진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우선 선행연구 중에 데이터모델링 설계의 요소들과 개념들을 고찰하였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할 때 3차원 모델링 데이터들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설계되는 경우 기존에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모델링에서 추가되어야만 하는 상위요소들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모델링 프로세스에 맞게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직접 구현하여 가능성을 실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가상현실 전시콘텐츠 제작에서 시소러스를 어떻게 데이터로 연결하는 과정을 검증하였고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사용자에게는 디지털 요소로 추가되어야 하는 필수요소들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데이터 방식으로 시각예술기록 및 3차원 모델링 데이터모델링 구조를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메타데이터 기반 데이터모델링이 현재보다 유의미해지고 개발자들의 공공데이터 활용성에 대해 더욱 향상할 것을 기대해 본다.

콘텐츠라인-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 핵심 기법 30題세미나

  • 김혜정
    • 디지털콘텐츠
    • /
    • 4호통권143호
    • /
    • pp.101-101
    • /
    • 2005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 제니시스 기술과 공동 주관, 한국CA 후원으로 3월 17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강당에서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 핵심 기법 30題세미나’를 개최했다.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를 주제로 한 이 세미나에서는 EA도구의 이해 및 전략적 적용, 데이터 모델링 도구를 통한 활용사례 등 다양한 DB 실무 기법을 다뤘다.

  • PDF

교내 부하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정적 부하모델링 (Static Load Modeling using PMU data of University Load)

  • 한상욱;이병준;송화창;김홍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36-237
    • /
    • 2011
  • 최근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측정기반의 부하모델링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내에 설치된 PMU를 이용하여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적 부하모델링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다. 정적부하모델링에는 ZIP모델링이 사용되었으며, 고려대학교 주배전실의 22.9kV 부하단 취득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파라미터 추정기법은 최소제곱법(Least Square Method)을 적용하였다.

  • PDF

제품디자인 기초모델링 3D데이터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Basic Modeling 3D Data for Product Design)

  • 이준상;박준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2-654
    • /
    • 2018
  • 제품디자인 제작 설계에서 기초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제작시간 또한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델링데이터를 쉽게 획득 할 수 있는 3D 스캐닝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간상의 사물을 촬영한 후 영상데이터에서 모델링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제품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품의 기초모델링 데이터를 리디자인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국제 표준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의 원자력 발전소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Data Modeling Methodology to Nuclear Power Plant Systems)

  • 김형진;박호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7-549
    • /
    • 2007
  •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냉각 시스템을 대상으로 국제 표준 데이터 모델링 방법과 기존의 현업에서 사용되는 Project Numbering System 기반의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비교 분석하였다. 국제 표준 중심의 시스템 모델을 채택하여 활용한다면 향후 전력 분야 정보 시스템 및 데이터간의 상호 운영성과 데이터 공유 및 교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막대한 경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현황과 전망 (Status and Prospects of the Data Modeling Tools)

  • 송미영;임일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81-83
    • /
    • 2012
  • IT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데이터베이스를 업무 요건에 맞게 구축하기 위해서 모든 프로젝트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관점의 분석/설계 단계는 물론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1)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현황과 2)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최근 활용 트렌드 및 3)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본다.

조형물 스캔에 대한 3D 모델링데이터 획득 방법연구 (A Study on 3D modeling data acquisition method for sculpture scan)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2-614
    • /
    • 2018
  • 현재 사진으로 모델링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조형물, 건축 및 캐릭터에 대한 3D 모델링 제작은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제작되고 있다. 콘텐츠산업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3D 모델링 제작방식은 정확한 측정 도구 없이 스케치된 도면을 중심으로 제작자의 직감적 감각을 이용하여 모델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에는 사진정보의 조합으로 조형물의 정확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구성하여 기존 디자인의 변형이나 수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대상물에 대한 여러 장의 사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밀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