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모델링

Search Result 3,08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 모델링

  • Cho, Hong-Beom;Cho, Woo-Sug;Park, Jun-Ky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01-108
    • /
    • 2008
  • 건물의 3차원 모델링은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3차원 건물 모델링은 대부분 입체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도화사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항공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연구는 항공라이다 점 데이터를 보간 과정을 통하여 픽셀구조로 변환하거나 수치지도, 항공영상 등의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 건물 모델링 기법에서 사용되었던 점 데이터의 픽셀구조로의 변환 및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 등의 방법을 배제하고 항공라이다 데이터만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지붕에 대한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서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패치(patch)를 구성하고, 동일한 속성을 갖는 패치들을 병합하여 건물의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건물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모델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한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 PDF

3D Modeling of Terrain Objects according to the Point Density of Lidar Data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른 지물의 3D모델링)

  • 한동엽;김용일;유기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50-555
    • /
    • 2003
  • 최근에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정보와 지표면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높은 위치 정확도, 3차원 데이터 동시 취득, 기존 측정 방식에 비하여 점 데이터 취득의 자동화, 데이터 정확도의 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지형 및 인공구조물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Lidar 데이터의 응용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건물 모델링에서 반자동 방식의 디지털 사진측량에 비하여 자동 모델링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ar 데이터의 점밀도는 1점/㎡이내이며, 촬영된 스트립을 중복시켜 점밀도를 높이기도 한다. 건물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델링에 필요한 점밀도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5점 내외에서 모델링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물이외에 다른 지형지물에 대한 모델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라 지물의 모델링 가능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취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Transaction Modeling in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보안 객체-관련성 모델에서 응용 트랜잭션 모델링)

  • 심갑식;조일래;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2.11a
    • /
    • pp.257-266
    • /
    • 1992
  • 지금까지는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트랜잭션 모델링은 데이터의 무결성 성질만을 언급하였고 보안 성질은 표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동적 성질을 모델링하는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완전히 보장하기 어려웠다. 응용영역의 효과적인 분석과 설계를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링에서 객체, 속성, 관련성 등과 같은 정적 성질 반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동적 성질의 모텔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 정보를 표현하는 보안 객체 관련성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SOREM)에서 보안성이 첨가되어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연산을 바탕으로 응용 트랜잭션을 모델링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과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보안 트랜잭션 정의언어(Secure Transaction Definition Language : STDL)를 사용하여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자동화 도구를 X 윈도우 환경에서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tity-Based 3D Artwork Data Modeling for Digital Twin Exhibition Content Development (디지털트윈 전시형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엔티티 기반 3차원 예술작품 데이터모델링 개선방안 연구)

  • So Jin Kim;Chan Hui Kim;An Na Kim;Hyun Jung Park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1
    • /
    • pp.86-100
    • /
    • 2024
  •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cultural policy-based public companies. However, it is by no means easy to accumulate 3D works of art as data.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metadata in public institutions, there was no digitalization of resources when developing digital twins because it was built based on old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ata modeling evolution is inevitable to connect multidimensional data at a capacity and speed that exceeds the functions of existing systems. Therefore,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data modeling design were first considered among previous studies. When developing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it is designed for the migration of 3D modeling data, the previously created metadata was analyzed to improve the upper elements that must be added to 3D modeling.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by directly implementing the process of using newly creat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modeling process. If this study is gradually developed in the future, metadata-based data modeling can become more meaningful in the use of public data than it is today.

콘텐츠라인-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 핵심 기법 30題세미나

  • Kim, Hye-Jeong
    • Digital Contents
    • /
    • no.4 s.143
    • /
    • pp.101-101
    • /
    • 2005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는 제니시스 기술과 공동 주관, 한국CA 후원으로 3월 17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강당에서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 핵심 기법 30題세미나’를 개최했다. 데이터 모델링 및 DB설계를 주제로 한 이 세미나에서는 EA도구의 이해 및 전략적 적용, 데이터 모델링 도구를 통한 활용사례 등 다양한 DB 실무 기법을 다뤘다.

  • PDF

Static Load Modeling using PMU data of University Load (교내 부하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정적 부하모델링)

  • Han, Sang-Wook;Lee, Byong-Jun;Song, Hwa-Chang;Kim, Hong-R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36-237
    • /
    • 2011
  • 최근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측정기반의 부하모델링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내에 설치된 PMU를 이용하여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적 부하모델링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다. 정적부하모델링에는 ZIP모델링이 사용되었으며, 고려대학교 주배전실의 22.9kV 부하단 취득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파라미터 추정기법은 최소제곱법(Least Square Method)을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Basic Modeling 3D Data for Product Design (제품디자인 기초모델링 3D데이터 생성에 관한 연구)

  • Lee, Junsang;Park, Ju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652-654
    • /
    • 2018
  • The process of generating basic modeling data in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design is very important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produce.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3D scanning technology is emerging that can easily acquire modeling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o convert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to the modeling data after shooting the objects in the space, and generate the basic modeling data applicable to the product design. It also suggests ways to redirect and utilize the basic modeling data of the product.

  • PDF

A Feasibility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Data Modeling Methodology to Nuclear Power Plant Systems (국제 표준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의 원자력 발전소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 Kim, Hyoung-Jean;Park, Ho-B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47-549
    • /
    • 2007
  •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냉각 시스템을 대상으로 국제 표준 데이터 모델링 방법과 기존의 현업에서 사용되는 Project Numbering System 기반의 데이터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비교 분석하였다. 국제 표준 중심의 시스템 모델을 채택하여 활용한다면 향후 전력 분야 정보 시스템 및 데이터간의 상호 운영성과 데이터 공유 및 교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막대한 경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Status and Prospects of the Data Modeling Tools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현황과 전망)

  • Song, Mee-Young;Im, Il-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81-83
    • /
    • 2012
  • IT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데이터베이스를 업무 요건에 맞게 구축하기 위해서 모든 프로젝트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관점의 분석/설계 단계는 물론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1)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현황과 2)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최근 활용 트렌드 및 3)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본다.

A Study on 3D modeling data acquisition method for sculpture scan (조형물 스캔에 대한 3D 모델링데이터 획득 방법연구)

  • Park, Junhong;Lee, J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612-614
    • /
    • 2018
  • Today, technologies that can acquire modeling data by using image are emerging. That 3D modeling production method, which is frequently utilized in contents industries, creates modeling data by using creator's intuitive sense, with drawings sketched without accurate measurement tools is also true. Recently, technologies that can facilitate modification and amendment of existing design by producing and reorganizing three-dimensional data of a sculpture through combination of image information are developing. This thesis gives suggestion of how to utilize and study the way to produce accurate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by utilizing multiple image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