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덕육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삼육(三育) 개념의 도입과 전개 (A Study o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Meiji Japan)

  • 한용진;최정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49-271
    • /
    • 2014
  • 본 논문은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 서구교육학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삼육(三育)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구의 교육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삼육 관련 용어가 어떻게 번역되고 그 개념이 어떻게 정리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메이지기 삼육 개념의 도입은 일본사회의 내부적 변화에 따른 선택적 번역과 수용의 과정에 따라 1880년대에는 '삼교(三敎)'의 형태에서 '삼육(三育)'의 체계로서 정착된다. 둘째, 일본 메이지기 삼육의 개념은 일본 교육사조의 흐름에 따라 '삼육'의 형태는 유지하되 교육의 목적에 따라 중점을 두는 구성요소와 개념이 변용되어 전개된다.

개화기 사범학교 『교육학』 교재 연구 -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textbook at Normal School in Modern Korea)

  • 한용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45-63
    • /
    • 2012
  • 본 연구는 근대 개화기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육' 과목에 주목하여, 당시 발간된 최초의 서구식 교육학 교재인 "신찬교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성사범학교에서 과목명으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처음 나타난 것은 "한성사범학교규칙"(1895.7.23)이다. 둘째,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은 그 발행일자가 "한성사범학교규칙" 반포와 맞물려 1895년 7월에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성사범학교의 교재로 사용되기 위하여 간행된 것이며, 그는 조선 정부에 고용된 인물로 추정된다. 셋째, "신찬교육학"의 교육학적 성격은 1890년대 중반 이후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교수론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이전의 사조인 스펜서와 페스탈로치 등의 실리적 교육설의 영향을 더 받고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이 책은 서론에서 덕육을 강조하는 삼육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와 상통하지만, 덕체지의 순서가 아니라 덕지체의 순서이며, 또한 본론에서는 지덕체의 순서로 기술하고 있다.

「체육지연구(體育之硏究)」속 청년 모택동(毛泽东) 체육사상에 관하여 (A Study on the Sports Ideas of Mao Ze Dong, a young man in the "Ti-Yu zhi Yan-Jiu")

  • 신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77-28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청년 모택동(毛泽东)이 1917년 『신청년(新靑年)』잡지에 직접 작성 투고한 「체육지연구(體育之硏究)」라는 문장을 직접 해석하고 분석하여, 이후 그의 이 체육에 대한 사유가 이후 그의 체육사상 형성과 현대 중국의 체육 발전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이 무엇이었는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는 원문 「체육지연구(體育之硏究)」중 청년모택동의 특이한 체육에 대한 생각이 담겨있는 서론과 본론 2조항과 6조항을 주로 인용 발췌하였다. 그는 이 문장에서 첫째, 그는 체육교육의 목적이 구국에 있음을 밝히고 당시 체육교육의 폐해를 일부 언급하며, 실질적인 체육교육이 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두 번째, 그는 심신일원론적인 체육사상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그의 체육사상에 따른 실천은 예외적으로 소박하고 실질적이었다. 대표적으로 「체육지연구(體育之硏究)」에서 제시하는 모택동이 고안한 6가지 체력운동실천방법이 중요한 예시가 된다. 결론적으로 이 문장에서 모택동(毛泽东)은 체육을 통해 덕육과 지육의 부족한 부분을 극복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체육활동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앞당기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모택동(毛泽东)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이후 근 30년간 중국 최고 통치자로서 본인이 직접 '장강 수영' 등 체육활동의 적극적인 실천을 강조하였고, 중국 전역에 체육교육과 신체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체육사상은 1960년대 이후 중국의 엘리트 체육이 급속히 성장하고 중국 전역에 사회체육의 기초가 다져지는 기반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