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ucation textbook at Normal School in Modern Korea

개화기 사범학교 『교육학』 교재 연구 -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traits of Sinchan Kyoyukhak(新撰敎育學) which was the first western education textbook of Hansung Normal School(漢城師範學校) since 189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the subject of education was firstly regulated by the Act of Hansung Normal School(漢城師範學校規則:1895.7.23). Second, even though this book was authored by the Japanese, Kimura Tomoji(木村知治), it is published for the textbook of Hansung Normal School and I presume that he is one of the employed foreigner by the Joseon Dynasty. Third, this textbook was effected more by the trend of utilitarianism of Spencer and Pestalozzi than that of Herbart's theory which is concerned to the teaching method. Fourth, the theory of three fostering of Sinchan Kyoyukhak(fostering the virtue, wisdom, and physical body) is connected with the Royal Doctrine for Building State(敎育立國詔書) by Kojong(fostering the virtue, physical body and wisdom) in 1895, but the order of those are not the same.

본 연구는 근대 개화기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육' 과목에 주목하여, 당시 발간된 최초의 서구식 교육학 교재인 "신찬교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성사범학교에서 과목명으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처음 나타난 것은 "한성사범학교규칙"(1895.7.23)이다. 둘째,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 "신찬교육학"은 그 발행일자가 "한성사범학교규칙" 반포와 맞물려 1895년 7월에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성사범학교의 교재로 사용되기 위하여 간행된 것이며, 그는 조선 정부에 고용된 인물로 추정된다. 셋째, "신찬교육학"의 교육학적 성격은 1890년대 중반 이후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교수론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이전의 사조인 스펜서와 페스탈로치 등의 실리적 교육설의 영향을 더 받고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이 책은 서론에서 덕육을 강조하는 삼육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와 상통하지만, 덕체지의 순서가 아니라 덕지체의 순서이며, 또한 본론에서는 지덕체의 순서로 기술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