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더미 모델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A Systematic Analysis on Default Risk Based on Delinquency Probability

  • 김경선;신승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주택담보대출 이행이력에 대한 연구는 중도상환 위험과 분리하여 채무불이행 위험의 작용을 연구할 필요성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한다. 본 연구는 미국 연방주택모기지회사(Freddie Mac)의 유동화된 주택담보 대출 자료를 이용하여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의사결정을 다룬다. 자료는 2011년 1월에서 2013년 9월이다. 추정 모델은 Cox의 비례적 위험 모델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연체 모형을 내포한 채무불이행 모델을 제안한다. 하나는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이고, 다른 모형은 연체확률 모델이다. 본 연구는 Vuong (1989) 논문의 예에 따라, 설명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내포모델과 중첩모델로 나누어 두 차례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체확률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보다 우월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Shumway (2001)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론에 따라 예측력 테스트를 수행한바, 연체확률 모델이 연체와 이행 더미변수 모델보다 우월함을 보였다.

드론 영상 분석과 자료 증가 방법을 통한 건설 자재 수량 측정 (Measur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Quantity through Analyzing Images Acquired by Drone And Data Augmentation)

  • 문지환;송누리;최재갑;박진호;김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1호
    • /
    • pp.33-3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건축자재의 수량을 측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드론 및 카메라 정보가 담겨있는 드론 로그와 영상 내 건축자재더미 종류와 영역을 예측하는 RCNN, 실제적인 수량 계산을 위한 사진측량법을 사용한다. 기존 연구에선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자재 종류 및 건축자재더미 영역 예측 정확도의 오류 범위가 컸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 범위를 줄이고 예측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자료 증가 방법으로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킨다. 자료 증가는 학습 모델의 과적합을 막기 위해 회전에 의한 증가 방법만 사용한다. 수량 계산 방법으로는 Yaw, FOV 등의 드론 및 카메라 정보가 담겨있는 드론 로그와 영상 내 건축자재더미 영역을 찾고, 종류를 예측해 줄 RCNN 모델을 사용하고, 이 모든 정보를 종합해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식에 적용하여 자재더미의 실제적인 수량을 계산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머리전달함수의 계산 및 음장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and Sound Fields)

  • 최성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4-103
    • /
    • 2001
  •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으로 구한 머리전달함수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대치하고, 청취자의 머리 주변에서의 음장을 가시화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경계요소법 (Boundary Element Method)과 무한요소법 (Infinite-Finite Element Method)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한다. 지금까지는 더미헤드 (Dummy-Head)등을 이용한 실험으로 머리전달함수를 구하였는데 이 실험에는 상당한 시간과 장비가 필요하다. 3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KEMAR 더미헤드의 형상을 측정하고 이것을 여러 다른 요소 수를 가지는 경계요소모델 및 무한요소모델로 변환하여 머리전달함수를 계산하고 모델의 요소 크기와 적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측정을 통해 구한 머리전달함수와 비교하여 모델을 검증하고 음향학의 상반원리를 적용하여 머리전달함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한다. 또한 몇 가지 가상음향 시스템에 대한 음장해석을 통해 주파수 및 시간영역에서의 음장을 가시화한다.

  • PDF

개인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효율적인 더미 생성 (Efficient Dummy Generation for Protecting Location Privacy)

  • 채천원;송두희;윤지혜;이원규;김용갑;박광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26-533
    • /
    • 2016
  •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보호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특히 k-익명화(k-anonymity)를 이용한 연구가 가장 인기 있는 사생활 보호 기법이다. k-익명화란 k-1개의 다른 더미(dummy) 또는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클로킹 영역을 계산하는 기법을 말한다. 질의자는 신뢰할 수 없는 서버 또는 공격자에게 1/k의 확률로 자신의 위치 노출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더미가 사용자 주변에 밀집되어 있거나 질의자가 존재할 수 없는 곳에 더미가 생성된다면 질의자의 위치가 공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실제 도로환경을 고려해서 더미를 생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위치보호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모델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정성변수를 고려한 공공아파트 기획단계 공사비 예측모델 (Cost Prediction Model using Qualitative Variables focused on Planning Phase for Public Multi-Housing Projects)

  • 지성민;현창택;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1-101
    • /
    • 2012
  • 공공아파트 프로젝트의 기획단계에서 수행되는 적정 공사비 예측은 기획부터 유지관리까지 전(全) 단계에 걸쳐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명확한 예측기준 및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다양한 다중회귀모델을 활용한 공사비 예측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정성변수를 포함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획단계 활용을 위한 정성변수를 포함하는 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사비 영향요인을 분석 및 추출하고, 회귀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정성변수를 포함하는 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며 사례적용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공사비 예측모델과 "RESAMPLING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형식별 공사비 가산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더미회귀모델과 가산비율을 활용하면, 일반적인 공사비 예측과 함께 동일한 평형, 세대수, 연면적에서 평면형식과 구조형식을 변경시켰을 때의 공사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인 더미모델을 이용한 시트진동 시뮬레이션과 실차시험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Vehicle Experiment and Computer Simulation of Seat Vibration using Korean Dummy Model)

  • 유완석;김정훈;박동운;이순영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45-152
    • /
    • 2004
  • This paper compares seat vibrations of a small passenger car and a SUV. The results also include the comparison of the human body accelerations and the ride values, such as the component ride values, and SEAT values of 12 axis accelerations obtained at the human body and seat track. The ride comfort evaluation is usually carried out by experiments of real cars which are expensive and sometimes may contain errors by passenger's postures. Simulations by computer, on the other hand, enable to solve these problems when the accuracy is proven. This paper, thus, also shows the correlation of human body vibration between experiments and computer simulations. For the computer simulation, korean dummy models are developed from the Hybrid III models by scaling the body data of Hybrid III to those of Korean men and wom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st data and simulation data, a nice correlation in trends was shown.

정보기술(情報技術) 유출 예방을 위한 기업내(內) 컴퓨팅 환경 최적화 방안 연구

  • 송성근;박지숙;우재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3-57
    • /
    • 2008
  • 기업 내 정보기술 유출의 대부분은 내부 근무자에서 비롯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 내부 근무자들의 사무환경에서 정보기술 유출 예방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기술적 사례들을 4개의 측면(PC내 정보가 PC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외부로 나가는 방법을 통제, 네트워크를 통해 사외로 나가는 방법을 통제, PC내 정보를 암호화 저장, 개인 PC를 더미 터미널로 사용하고 실 정보는 서버로 저장하는 네트워크 컴퓨팅)으로 고찰하고 그에 따른 최적화 방안으로 복합형 모델을 제시하면서 이를 적용한 사례와 정책적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딥러닝과 드론을 이용한 동일 모양 건축 자재 수량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for counting same shaped building material quantity using UAV and deep learning)

  • 문지환;송누리;최재갑;박진호;김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9-652
    • /
    • 2019
  • 최근에 카메라를 사용하여 물체를 인식하고 수량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 자재와 같이 인접한 동일 물체의 경우, 인식과 측정이 어려우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과 드론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자재 더미의 윗면과 측면의 촬영, 드론 로그를 사용하한 드론 높이와 Yaw값 획득, 영상 내 자재 종류와 영역 정보 등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사용한 획득방법, 드론 촬영 시의 Yaw값 차이를 이용해 윗면과 측면이 공통으로 가지는 직선 검색, 자재 더미의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 등을 통한 각 화소 비율과 자재 개수의 영역별 가상의 체적값 분석, 드론의 화각, 높이를 사용한 체적 사진측량값 획득, 가상 체적과 사진측량법 사이의 오차 최소화 비율 등을 연구하였다.

측면 충돌시 시트윙에 의한 상해치 저감 효과 연구 (A Study on an Effect of Seat Wing for Injury Reduction in Case of Side Crash)

  • 이현섭;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3-85
    • /
    • 2005
  • 본 연구는 측면 충돌 시 발생하는 상해치를 분석하고 측면 충돌 시 시트윙(seat wing)이 운전자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모델(door trim)을 단순화하여 원활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측면 충돌의 경우 운전석의 에어백과 안전 밸트 사이에서 운전자가 도어에 직접적인 충돌에너지를 받으므로 상해치가 정면충돌에 비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측면 충돌 시 시트윙(seat wing)의 장착 유/무에 따른 차이를 더미 (TNO&JARI)모델을 이용한 Madymo 해석을 통하여 상해치 저감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 PDF

HAUSAT-2 위성 STM 개발 및 발사환경시험 분석 (HAUSAT-2 STM(Structural-Thermal Model) Development and Launch Environment Test Result Analyses)

  • 장진수;황기룡;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95-105
    • /
    • 2005
  • 우주시스템연구실에서는 2008년 발사 예정으로 나노위성인 HAUSAT-2를 개발하고 있다. HAUSAT-2 구조-열 모델(STM)은 구조 및 열적 설계마진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한 시스템 모델이다. HAUSAT-2의 구조-열 모델을 이용하여 인증 수준의 진동시험과 열진공/평형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열 모델의 구조해석과 진동시험의 결과를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해석조건을 변경해 재해석을 수행하였다. 인증수준의 진동시험 결과 구조-열 모델은 구조적인 손상 없이 설계 강성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 조립을 통해 조립성과 인터페이스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