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 취약성 평가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Drought Risk Index for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미래 가뭄 취약성 평가를 위한 가뭄 위험 지수 개발)

  • Choi, Seo Hyung;Seo, Seung Beom;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5-125
    • /
    • 2018
  • 충청남도는 2015년에 극심한 가뭄을 겪으며 보령댐은 역대 최저 저수율을 기록하고 128일간 제한급수를 시행한 바 있다. 가뭄은 농작물 피해, 인적 피해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피해 또한 야기하지만 강수량과 가용수자원양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가뭄 위험 지수들은 물리적인 피해만 반영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 가뭄 지수에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인자와 가뭄 적응능력 인자들을 함께 반영하는 가뭄 위험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험을 산정하기 위해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재해, 노출, 취약성으로 구분하였고,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는 인과관계 구성의 체제를 강조하며 Pressure-State-Response(P-S-R) 프레임워크를 개발한 바 있으며, World Risk Index(WRI)는 노출과 취약성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뭄 위험 지수는 P-S-R 체제의 인과관계 구조를 참고하여 재해(hazard), 노출(exposure), 적응능력(capacity)으로 구분하였다. 재해는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한 요소로서 SPI 기법을 통해 산정되고 노출은 가뭄의 피해 대상을 의미하여 지역별 용수 수요량을 사용하였다. 적응능력은 가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며 사회적 능력과 공학적 능력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사회적 능력은 개인의 재정능력, 공무원 수 등이 포함되며 공학적 능력은 댐 현황, 지하수 이용현황, 하천시설 현황이 포함된다. 본 연구 결과와 2015년 가뭄을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가뭄 위험 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취약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Control Effect Index by Using Fuzzy Set Theory (Fuzzy Set 이론을 이용한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

  • Kim, Ju-Uk;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2-316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홍수기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지표로는 유량조절률, 저수지 방류율, 저수지 저류율, 저수지 이용률 등이 있다. 이러한 평가지표들은 유입량, 방류량, 저류량 등의 자료를 단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홍수조절효과 평가지표 산정식에 사용되는 자료들이 가지는 불확실성이 평가에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다목적댐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만을 사용함으로써 댐 하류 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자원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를 고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변수들이 가지는 불확실성, 댐 하류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 수자원 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 실패를 고려하기 위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에 퍼지집합 이론을 적용하였고, 충주댐 유역을 시험 유역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홍수사상으로는 2006년도 7월의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자들을 퍼지화하고 시스템의 상태로부터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 영역을 구분하였고, 통합 신뢰도-취약도 지수를 적용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를 개발하였다. 적용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통합 신뢰도-취약도 지수는 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화하여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Watershed Turbid Water Risk using AHP method Dimension Estimation in River Basin (AHP기법을 이용한 댐 유역의 탁수 위험도 평가)

  • Choi, Dong-Jin;Yum, Kyung-Taek;Ryu, Tae-Sang;Han, Jang-Un;Lee, G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9-1733
    • /
    • 2009
  • 유역에서의 수자원관리에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댐의 탁수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 국내 댐 유역의 탁수발생의 가능성과 탁수 발생시 피해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댐의 탁수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댐 유역의 탁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종합적인 탁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탁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서 5개 댐 유역에 대한 시범평가를 실시하였다. 탁수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평가 분야를 탁수 취약성과 탁수 피해성, 탁수 영향의 3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계층화된 형태로 종합지표화하였고, AHP기법을 적용하여 평가분야와 세부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시범평가 결과 5개댐 중 실제 탁수발생 현상은 일부 댐에서만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의 댐들이 탁수발생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 대상 댐 중에서는 임하댐과 소양댐 순으로 종합적인 탁수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수 평가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국내외의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90여개의 탁수관련 인자들을 탁수발생 잠재성, 과거 탁수 발생 여부, 탁수 영향 등의 3가지 분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7가지의 세부평가항목(강우지표, 유역지질, 토사유출량, 최고탁도, 고탁도 지속기간, 용수이용량, 호소생태기능)을 결정하였다. 7가지의 지표들은 탁수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표준화시켰고, 세부 평가항목들의 가중합이 종합적인 평가지표가 되도록 하였다. 댐의 탁수 위험성에 대한 평가는 댐유역의 종합적인 탁수 위험도 평가와 분야별 평가, 댐별 세부항목 평가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시범평가는 국내의 주요 5개 수계별로 1개의 댐을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AHP의 적용시 생길 수 있는 지표의 중복성과 상호연계성, 평가자의 편향 등으로 인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near Dam area (댐 주변지역 광역적 지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 장범수;이사호;최위찬;최재원;오영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1
    • /
    • pp.125-135
    • /
    • 2001
  • Ground failure such as landslide, rock fall land subsidence by heavy rainfall have damaged to people and property. Especially, the damage to important facility such as dam, bridge, tunnel and industrial complex may be possible. Therefore the ground failure must be assessed and counter plan must be prepared.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For this, the topographic, geologic, soil, forest, land use, rainfall frequency map, and satellite image near 40 dams were collected and construc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Avenue in ArcView 3.2 environment and consists of pull down menus and icons. For applic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regional ground stability was assessed in Andong dam. The assessment was ground failure susceptibility and possibility. The spatial information can be used for regional ground stability assessment,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hazard, and management of ground as basic data.

  • PDF

Water Supply Performance Assessment of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지속가능성지수를 이용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이행도 평가)

  • Lee, Gwa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5
    • /
    • pp.411-420
    • /
    • 2014
  •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n consideration of hydrologic uncertainty by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water supply performance for the major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Parameters, mostly utilized in water resources system assessment, are selected in respect of applicability and flexibility, and those parameters are used as a variable of the composite index. In practice, the composite index including reliability, resiliency, vulnerability and maximum deficit are applied to 15 multipurpose dams and 4 major basins. And to conclude, Daechungdam in the Geum river basin and Imhadam, Hapchondam and Namgangdam in the Nakdong river basin show low sustainability comparing with other dams. The Nakdong river basin needs to develop alternatives to improve water supply stability because it indicates the most poor sustainability level.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 Shin, Han-Kyu;Kim, Duck-Gil;Kim, Jae-Geun;Kim, Hung-Soo;Ahn, Jae-Hyun;Yoo, Byong-Kook;Ahn, Kyung-Soo;Park, Doo-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15-132
    • /
    • 2009
  • We defined a dam as a wetland for assessing wetland functions of man made dam. We compared Boryung dam with Upo wetland by HGM assessment. Hydrologic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not good at short term water storage, but good at long term water storage. Biogeochemical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about 50% of Upo wetland's functions. Boryung dam is a good wetland as a plant habitats and animal habitats. But functions as a habitat for birds were not good. Wit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making clear merits and demerits of Boryung dam’s functions as a wetland.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 Lee, Dong Ryul;Moon, Jang Won;Choi, Si J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2
    • /
    • pp.195-206
    • /
    • 2014
  • In this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ased on deficitsupply method and reservoir storage is presented. The method is applied to 16 multi-purpose dams and water supply performance is evaluated. As a result, 6 dams (Soyanggang, Chungju, Hoengseong, Andong, Imha, and Hapcheon dam) have highest performance and 2 dams (Sumjingang and Buan dam) have relatively low performance. Particularly, Buan dam is the most vulnerable in the analysis results of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Therefore,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ater supply are needed in Buan multi-purpose dam.

Static Behavior Analysis of Spillway Pier for Dam Safety Evaluation (댐 안전성 평가를 위한 여수로 피어부의 정적 거동 분석)

  • Jang, Bong-Seok;Lim, Jeong-Yeul;Lee, Myung-Kue;Lee, Hyung-J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9 no.1
    • /
    • pp.11-18
    • /
    • 2007
  •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dam safety evaluation has been continually conducted. However the behavior analysis for the spillway pier which is known as the weak point of dam is seldom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the static loading tests for a prototype structures as elementary tests for the final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dam safety. The prototype of pier structure has 1/20 scale and it adopts to strength model. And cracking loads and ultimate loads of real structures are calcula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using commercial FEM program (ABAQ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om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prototype tests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Also, the ultimate and cracking loads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prototype loading test and numerical analysis.

Analysis of Non-monotonic Phenomena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n Water Resources Systems (수자원시스템의 회복도 및 취약도 증감현상 해석)

  • Lee, Gwang-Man;Cha, Kee-Uk;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2
    • /
    • pp.183-193
    • /
    • 2013
  • Selecting the evaluation index to determine water resources system design yield is an important problem for water resources engineers.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re three widely used indices for yield analysis. However, there is an overlap region between indices as well as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can show improvement in non-monotonic phenomena although yield condition becomes worse. These problems are usually not recognized and the decisions are made according to calculated estimates in real situation. The reason for this is caused by a diverse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s system such as seasonal variability of hydrologic characteristics and water demands.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for multi indices application in addition to reliability which is applied generally is examined. Based on highly seasonal irrigation water demand ratio, the correlation and non-monotonic phenomena of each index are analyzed for seven selected reservoirs. Yongdam reservoir which supplies constant water supply showed the general tendency, but Chungju, Andong, Namgang and other reservoirs which supplies irrigation water showed clear non-monotonic phenomena in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