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 용수

Search Result 46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ownstream at Hydropower Dam (양수발전댐 하류 하천 수질개선 방안 연구)

  • Choi, Byung-Kyu;Chun, Sang-Jin;Kang, Tae-Ho;Chung, Y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43-647
    • /
    • 2007
  • 일반적으로 양수발전댐 설계시 하부댐 인근 하류하천의 유지용수 공급 및 하류지역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공급시설을 계획한다. 한편, 2006년 11월 준공 운영되고 있는 양양 양수발전소의 경우 댐하류 지역의 농업용수 및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제체내 영구방류설비를 설치하여 비상시에는 하부지 저수량을 일정기간내 비울 수 있도록 계획 설치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하류지역 용수 공급으로 방류되는 방류량을 이용하여 소수력 발전을 계획하여 하부댐 우안측 여수로에 소수력 발전소를 건설 수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최근 집중호우와 양수발전소 준공후 발전기 시험가동을 한 결과 호우로 인한 상류로 부터의 탁수유입과 발전으로 인한 하부지내 담수지의 교란으로 인해 탁수가 발생하여 댐 하류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양수발전소 운영과정에서 상 하류 저수지 발전수량의 순환으로 생기는 탁수발생은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판단되나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5개안을 선정하여 검토한 결과, 상류계곡의 청정수를 이용 하부지 상류에 취수구를 설치 기존 취수구 전면에 연결하는 방안을 선정 댐 하류하천 수질개선 및 민원발생을 해소하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 PDF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

  • 박기범;차상화;박종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37-1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용수공급의 효율화를 최대화하고 비상시 수자원시스템의 최적운영을 위하여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지표를 산정하였다. 분석대상 유역으로는 비교적 자료구축이 잘되어있다고 판단된 안동댐을 선정하였으며 용수공급량을 -10~10%까지 증가시켜가면서 댐 모의운영을 실시하였다. 저수지 모의운영에 의해 용수부족사상수, 부족량, 부족기간 등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지표인 신뢰도(시간기준, 빈도기준, 양적기준), 복원도 및 취약도를 산정하고 계획용수공급량의 증감에 따른 이들 지표들의 영향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effect by the Daecheong Dam and the Yongdam Dam of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대청댐과 용담댐에 의한 수문학적 영향 분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9-389
    • /
    • 2011
  • 과거의 무분별한 수자원 개발에 따른 자연환경파괴로 인해 점차 대규모 다목적댐의 건설과 같은 신규 수자원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댐은 유한의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안정적인 용수 확보를 통한 물부족의 해소와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홍수와 가뭄 피해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댐의 건설로 인해 하류측 본류에서는 과거와 같은 유량의 극심한 계절적인 편차는 감소되었으며, 가뭄이나 홍수에 대한 피해 규모도 저감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댐 건설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에 대한 분석은 실제 댐 건설 전후의 장기적인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대부분 관측자료가 전무하거나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모델링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모델링 방법으로는 과거부터 오랫동안 국내 수자원 해석 및 계획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TANK 모형을 비롯하여, SSARR, NWS-PC, TOPMODEL, HSPF, PRMS, SLURP, SWAT, MIKE-SHE 등 다양한 모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SWAT은 유역의 수문 수질의 시공간적인 해석 및 관리, 그리고 미래 유역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등을 위해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국내 유역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에서의 대청댐 및 용담댐의 운영과 인위적인 용수 이용에 따른 유출량, 증발산량 및 지하수 함양량 등의 수문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청댐의 건설과 유역내 용수 이용으로 인해 하류측 공주지점에서의 유출량은 자연상태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 함양량과 증발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hydropower dam water supply capacity (II): estimation of water supply yield range of hydropower dams considering probabilistic inflow (발전용댐 이수능력 평가 연구(II): 확률론적 유입량을 고려한 발전용댐 용수공급능력 범위 산정)

  • Jeong, Gimoon;Kang, Doosun;Kim, Dong Hyun;Lee, Seung Oh;Kim, Taes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7
    • /
    • pp.515-529
    • /
    • 2022
  • Identifying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amount is an essential process in establishing a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Dam facility is a major infrastructure storing and supplying water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water supply yield of the dam varies depending on dam inflow conditions or operation rule. In South Korea, water supply yield of dam is calculated by reservoir simulation based on observed historical dam inflow data. However,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dam can be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during the simulation period. In this study, probabilistic inflow data was generated and us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water supply yield of hydropower dams. That i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stic dam inflow that fluctuates according to climatic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range of water supply yield for hydropower dams was presented, and applied to hydropower dams located in the Han river in South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water supply yield of the hydropower dams will become more importan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ning by providing potential range of water supply yield of hydropower dams.

Study of the Effective Water Use Applying K-WEAP in Irrigation Dam (K-WEAP을 적용한 관개용댐의 효율적 용수이용 검토)

  • Lee, Sang-Yoon;Kim, Sun-Joo;Lee, Joo-Yong;Kang, Se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13-917
    • /
    • 2006
  • K-WEAP은 수자원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용수이용에 대한 정책 시나리오 설정과 용수관리가 용이하게 설계되어 사용자와 정책결정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위치한 성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각 수요처의 용수수급요인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증발산량, 유효우량, 토양수분 등 실제 현장의 여러 여건을 고려한 농업용수 산정 값과 용수수요 및 공급에 영향을 주는 경제, 인구 등의 시나리오 구성 구동인자를 K-WEAP에 적용하여 2002년${\sim}$2011년까지 총 10개년 대상유역의 수요-공급량의 변화를 모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주댐 유역의 모든 수요처는 약 98.45%의 용수충족률이 나타났으며, 이 결과가 밭용수의 공급원을 지하수가 아닌 성주댐으로하여 K-WEAP에 적용하였음을 감안할 때 각 대상 수요처에서 만족된 용수충족률이 100%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K-WEAP에 적용한 기준시나리오에 새로운 수요처의 추가와 하천유지용수의 증가 등 수요관리에 변화를 주어 10개년 대상유역의 물수지 변화를 모의.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각 대상 수요처들은 수원공인 성주댐으로부터 충분한 용수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am-Storage Estima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댐저류량 산정에 관한 연구)

  • Yook, Seung Woo;Jeong, In Ju;Kim, Sa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24-828
    • /
    • 2004
  •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현상이 기후변화에 급격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최근 여름철에는 주로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하여 용수량이 초과하여 자연재해까지 영향을 미치나 그 외의 계절에는 가뭄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여 용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위치 및 용량, 댐건설 후 미치는 영향을 3차원 GIS를 이용한 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설계시 미리 모의 실험함으로써 효율적인 댐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Optimum Operation of Water Budget Analysis Using Genetic Algorithms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의 최적화 방안)

  • Keum, Do-Hun;Kim, Sung-Bum;Ko, Jin-Seok;Choi, Eun-Hyuk;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88-1591
    • /
    • 2007
  •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용수사용량이 증가되면서 용수부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용수부족을 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용수수급계획을 하기 위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물수지 분석의 최적화기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 분석 중 하나인 저수지 모의운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으로는 낙동강 유역인 임하댐을 중심으로 모의를 하였으며 실제 유입량 자료와 유입량 예측기법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적화 모형의 구성은 임하댐을 상태로 하는 모형을 구성하였고, 목적함수는 저수지 모의기법에서 설정한 말기저수위를 우선적으로 만족시키고, 임하댐의 용수공급량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의 최적화 방안을 실행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서 보다 나은 용수수급계획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Estimating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Hwacheon reservoir for multi-purpose utilization (다목적 활용을 위한 화천댐 용수공급능력 평가 연구)

  • Lee, Eunkyung;Lee, Seonmi;Ji, Jungwon;Yi, Jaeeung;Jung, Soonc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6
    • /
    • pp.437-446
    • /
    • 2022
  • In April 2020, the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operate the Hwacheon reservoir, a hydropower reservoir to supply water, and it is currently under pilot operation. Through the pilot operation, the Hwacheon reservoir is the first among the hydropower reservoirs in Korea to make a constant release for downstream water supply. In this study,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Hwacheon reservoir was estimated using the inflow data of the Hwacheon reservoir.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to calculate the water supply that satisfies both the monthly water supply reliability of 95% and the annual water supply reliability of 95%. An optimization model was also developed to evaluate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Hwacheon reservoir. The inflow data used as input data for the model was modified in two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 of the Imnam reservoir. Calculating the water supply for the Hwacheon reservoir using the two modified inflows is as follows. The water supply that satisfies 95% of the monthly water supply reliability is 26.9 m3/sec and 24.1 m3/sec. And the water supply that satisfies 95% of the annual water supply reliability is 23.9 m3/sec and 22.2 m3/sec. Hwacheon reservoir has a maximum annual water supply of 777 MCM (Million Cubic Meter) without failure in the water supply. The Hwacheon reservoir can supply 704 MCM of water per year, considering the past monthly power generation and discharge patterns. If the Hwacheon reservoir performs a routine operation utilizing its water supply capacity, it can contribute to stabilizing the water supply during dry seasons in the Han River Basin.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bility of the Nakdong River Basin Dams with Weirs (보를 포함한 낙동강 다목적댐 용수공급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

  • Jang, Cheol-Ho;Kim, Young-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4
    • /
    • pp.637-644
    • /
    • 2016
  • This study sought to reevaluate the water supply capacities of the Nakdong river dams, and identify measures to remedy any shortages using weirs, focusing on 5 multipurpose dams and 8 weirs. The reevaluation of the dams was performed by the HEC-5 program using the original design criteria and inflow data recorded for each dam. The results show that the capacities of the 3 dams has decreased to 73~87%. Three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ordinating the dams and weirs. The first simulation was based on individual operation of the dams; the second on coordinated operation of the dams; and the third on coordinated operation of the dams and weirs. To obtain a water supply reliability of 95%, the annual water shortage was calculated for a 20-year period (1992~2011). In addition, long-term runoff simulation data used in the national river basin investigatio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were used with the dam discharge data, because long-term inflow data for the weirs were not available. The simulations were performed by the HEC-ResSim program, with the reservoir network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Waegwan water station. The results show that water supply capacity for the 3 simulations to be $2424Mm^3/yr$, $2612Mm^3/yr$ and $2734Mm^3/yr$,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coordinated operation of the dams and weirs could provide an additional water supply of $122Mm^3/y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