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화력전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포병 표적탐지 레이더 운용의 계량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arget Acquisition Radar)

  • 강신성;이재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3-72
    • /
    • 2010
  • 미래전장에서 대화력전(Counter Fire)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대화력전은 적 화력자산과 이를 지휘통제하는 모든 요소를 타격하여 적의 화력자산의 능력과 전투지속능력 및 전의를 약화시키는 화력전투를 말한다. 대화력전은 크게 공세적 (Proactive) 대화력전과 대응적(Reactive) 대화력전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보면 공세적 대화력전의 탐지수단인 UAV(Unmanned Aerial Vehicle:무인항공기)에 대한 운용효과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지만, 대응적 대화력전 탐지수단인 포병 표적탐지 레이더에 대한 운용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용중인 포병 표적탐지 레이더의 운용효과를 C2(Command & Control : 지휘통제)이론과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인 MANA(Map Aware Non-uniform Automata)모델을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분석 제시함으로써 표적탐지레이더 운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명중확률 개선 및 효율적인 대화력전 수행방안 (An Improvement of Hit-probability and an Efficient Counter-fire Execution)

  • 김세용;이재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3-152
    • /
    • 2008
  • 미래전에 있어서, 전투 초기단계의 대화력전 능력은 적을 무력화 시키는데 핵심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대화력전 수행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CEP를 사용한 명중확률을 산출한 후 대화력전 작전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사격제원 계산에 적용하였다. 새로운 표적제원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MANA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UAV 운용여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 상황 하에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새로운 사격제원산출 방법을 사용한 명중률이 기존의 BTCS 사격제원에 의한 명중률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대화력전 전투실험 방법론 연구 (Study of the experimentation methodology for the counter fire operations by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 김형권;김효경;김영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1-49
    • /
    • 2016
  • 대화력전이란 전장인식, 지휘통제 그리고 정밀무기에 의해 달성되어 질 수 있는 고 반응성 타격체계를 포함하는 복합체계로서 특성 되어 질 수 있다. 현재의 모델링 방법론은 복합체계를 위한 적절한 방법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간 소모적이고 많은 비용을 요구하는 모델링 시뮬레이션 도구들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력전 효과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방법론 및 도구 개발을 설명하고, 그를 통해 어떻게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분석실험을 실시함으로서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해 줄 것인가를 제시하고 있다. 개발된 대화력전 시뮬레이션 분석 도구는 Enemy 블럭, ISR 블럭, C2 블럭, Shooter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뮬레이션 비전문가나 도메인 전문가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모델이 가지고 있는 각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을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대화력전에 대한 이종 무기체계의 조합모델개발 연구 (A Study on a Combination Model Development for Counterfire Operation with Heterogeneous Weapon System)

  • 김한영;김승천;노광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62-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대화력전의 목표달성에 대한 평가척도를 선정하고 평가척도의 최적값을 만족하는 청군의 타격자원의 합리적인 조합과 목표달성시간의 회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회귀식을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북한과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체계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력전을 단순화한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대화력전을 탐지, 결정, 타격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탐지에는 난수를 활용한 확률을 적용했고 결정과 타격은 고정된 상수를 적용시켰다. 고정된 적에 대해서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으며 목표달성시간이 최단시간으로 나오는 것이 시뮬레이션의 최적값이라고 판단했다. 시뮬레이션의 목표달성시간을 바탕으로 미니탭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고정된 홍군에 대한 청군 무기체계의 최적조합 및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은 2-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전술적 운용과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대화력전 모델링과 분석 (Modeling and Analysis of Counterfire Warfare for Tactical Operation and Acquisition)

  • 임종원;이태억;김대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5-184
    • /
    • 2013
  • In counterfire warfare,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attack enemy targets faster than the enemy using sensing and shooting assets. The artillery assets of North Korea are mostly mine artillery and much more than those of South Korea. To cope with sudden fire attacks from North Korea, we need to improve capability of our artillery. In this paper, we discuss issues and problems of our counterfire warfare systems and processes to overcome numerical inferiority and defend against the mine artillery.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for counterfire warfare and analyze effectiveness of our counterfire weapon systems and operations based on various counterfire warfare scenarios. Finally, we propose methods of tactical operations and acquisition strategies of counterfire weapon systems, including detaction, firing, and protection assets.

동적 구문처리기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대화력전 수행체계 연동의 유연성 향상 방안 (Improving Flexibility of External Data Exchange in Count-fire Operation System by Adapting Dynamic Parser Software)

  • 홍원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6
    • /
    • 2008
  • The counter-fire operation system performs its mission exchanging information with other related systems such as command & control systems and military information systems.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the counter-fire operation system uses a type of data message which contains exchange data information in the format of KMTF. The requirement of data exchange of count-fire operation will continue to evolve. But the EDX(External Data eXchange) configuration item of the current counter-fire operation system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variation of data exchange requirements due to its fixed software structure. In the paper, a solution for improving flexibility of external data exchange in counter-fire operation system is proposed.

스캔라인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화력전 임기표적의 실시간 영역 결정 (Real-time Processing for Target of Opportunity Positioning of Counter-fire with Scan-line Algorithm)

  • 전기윤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8-151
    • /
    • 2007
  • The CF(Counter-fire) is neutralizing enemy's all command control systems and fire support elements. It will weaken a battle continuous ability and an intension to fight. At the beginning of the CF is obtaining locations of targets using various detection assets. CF command center processes acquired target information and send it to attacking equipments. The targets are classified into two classes, preplanned target and target of opportunity The target of opportunity is potential threaten, so it needs to take a immediate and exact process for determining location of target of opportunity. This paper proposes the real-time processing algorithm for offensive weapons to strike target of opportunity, and presents the result of its performance.

K9 자주포 전술적 사격지휘체계 개발성과 및 교훈

  • 조동성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278호
    • /
    • pp.22-31
    • /
    • 2002
  • K9 BTCS의 성공적인 개발은 디지털화된 사격지휘 전산장비체계로 종심지원작전, 근접지원작전 그리고 대화력전을 수행하는 여건을 제공하였다. 또한 K9 자주포의 전술적운용 능력과 실시간 타격전력 발휘에 질적인 발전과 변화를 가져다 주었으며, 기존의 BTCS를 기반으로 하여 화력지원 사격지휘체계를 한 단계 높은 화력을 운용하도록 성능개량한 것으로, 무선에 의한 디지털 다중임무수행, 표적획득체계와의 연동운용, 상황도시 등을 윈도우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C^4I$체계상에서 SHOOT & SCOOT 전술적 운용과 효과중심의 탄약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화력집중과 분산을 용이하게 하였다.

  • PDF

대화력전 및 기계화 보병 시나리오를 통한 대규모 가상군의 POMDP 행동계획 및 학습 사례연구 (Case Studies on Planning and Learning for Large-Scale CGFs with POMDPs through Counterfire and Mechanized Infantry Scenarios)

  • 이종민;홍정표;박재영;이강훈;김기응;문일철;박재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43-349
    • /
    • 2017
  • 대규모 가상군의 전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서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이성적 전투 개체의 행동 묘사는 향후 발생할 전투의 작전을 고도화하고 효율적인 모의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DEVS-POMDP 계층적 프레임워크는 전투 행동 교범에 따른 상위 단계 의사결정 및 구체적 서술이 어려운 하위 단계 자율 행동계획을 각각 DEVS 및 POMDP로 모델링함으로써 대규모 가상군을 모의하였으나, POMDP 최적 행동정책 계산에 있어서 많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DEVS-POMDP로 모델링된 대화력전 모의 시나리오 및 기계화 보병여단 공격작전 모의 시나리오의 사례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POMDP 트리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적군 행동 양상 모델의 학습을 통한 가상군 전투 개체의 성능 향상을 확인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간제약 포병 표적처리문제 (A Field Artillery Targe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by Genetic Algorithm)

  • 서재욱;김기태;전건욱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24
    • /
    • 2010
  • 네트워크 중심전(NCW) 및 효과중심작전(EBO)으로 대표되는 현대 및 미래전에서 포병의 신속하고 정확한 정밀타격능력은 전쟁 승패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화력전 및 화력지원간 실제 운용되는 환경 중 갱도포병과 같이 타격제한시간이 있는 포병 표적처리에 관한 연구로 여러 가지 제한사항들을 모형 화하여 표적할당 및 사격순서를 동시에 결정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제약이 있는 포병 표적처리문제에서 사격 제한시간을 만족하면서, 총 사격시간을 최소화하는 수리모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소형 문제를 이용한 축소실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수리모형과 유전자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대형 문제를 이용한 확대실험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근사 최적해를 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