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 트럭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DISON-CFD를 활용한 대형 트럭 디플렉터 형상에 따른 항력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Park, Sang-Hye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1-3
    • /
    • 2016
  • 대형 화물 트럭(heavy-duty truck)은 화물 적재에 용이하지만, 공기역학적으로 불리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대형 화물 트럭에는 공기저항력(aerodynamic drag)을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가 달려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플렉터(deflector) 형상이 항력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평판 형태와 굴곡진 형태의 디플렉터 형상에 대한 항력 계수 비교를 EDISON-CFD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측풍(side-wind)의 영향을 무시하며 차량 속도 95 km/h로 등속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평판 형태의 Model 1과 바깥으로 굴곡진 Model 2에서 전체 항력 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 PDF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반능동 현가시스템)

  • 이경수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902-911
    • /
    • 1993
  • 반능동 현가 시스템의 장점은 능동 및 수동 현가 시스템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반능동 시스템은 수동 현가장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면서 대형 액츄에이터나 큰 동력 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승차감 및 조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능동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능동 또는 반능동 현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형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대형차량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도로의 파손을 줄이면서 차 량의 수송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는 최근에 유럽과 미국의 대형트럭 제조업체와 정부 주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반능동 현가시스템에 의한 대형 트럭의 성능 향상 가능성 및 연구 개발도 승용차용 능동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과 함께 앞으로의 주 연구 과제이다. 이글에 서는 우선 가변 댐퍼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반능동 현가시스템의 Bilinear Model, 제어방법에 대하여 언급한 후,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반능동 현가시 스템에 의한 차량의 동적 성능 향상을 두 가지 측면, 즉, 승용차와 대형트럭의 측면에서 언급될 것이다.

  • PDF

A Convergent Investigation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Leaf Spring at Large Truck (대형트럭에서의 판스프링의 구조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 Choi, Kye-Kwang;Cho, Ja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2
    • /
    • pp.155-159
    • /
    • 2020
  •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number of leaf springs in large truck. The deformations were small for all four models. The maximum stress of model A was found to be the largest, and that of model D was the smallest. Model A was seen about 1.87 times larger than model D and about 1.52 times larger than model B. The maximum stresses of models C and D were seen to be less. In terms of the effect to reinforce one more overlapping spring, The effect of the enhancement of the strength of model D was shown to be small by comparing with model C. Therefore, model C with three overlapping springs is thought to be efficient in design and good in strength. The structural strength of leaf spring can be evaluated by applying this study result to the leaf spring at large truck. And it is seen that the result can be the design of the leaf spring with durability at large truck and the aesthetic convergenc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oise and Vibration Phenomena of a Heavy-duty Truck at High-Speed Driving (대형트럭의 고속 주행시 진동소음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ang-Sup;Han, Moon-Sik;Cho, H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6
    • /
    • pp.77-82
    • /
    • 1999
  • 대형 화물트럭의 차실 내에 높은 수준의 차바닥 진동을 수반한 높은 소음이 발생하였다. 측정 및 분석결과 문제의 진동 소음은 추진축의 회전 1차 및 2차 성분으로 나타났다. 진동 전달경로상의 구성계 및 구성요소들에 대해 모드해석과 실차 주행 모드 해석시험을 실시한 결과 드라이브라인 및 프레임의 공진주파수가 문제가 되는 소음진동 주파수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또한 캡의 실내음향 공진 모드가 문제되는 주파수에서 존재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라 액슬과 액슬간의 축의 장착각도를 변경하여 가진력을 줄이고, 비틀림 동흡진기를 추진축에 장착하여 드라이브라인계 공진을 제어함으로써 문제의 시내진동소음을 현저히 개선하였다.

  • PDF

Compact and Low-cost Jump Starter Circuit For Small and Large Automobils Using Dry Cell and Super Capacitor (건전지와 Super Capacitor를 이용한 소형 및 대형 자동차용 초소형 저가형 Jump Starter 회로)

  • Kang, Kyung-soo;Oh, Seong-jae;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72-74
    • /
    • 2018
  • 기존 자동차 및 트럭용 Jump Starter의 경우, 일반적인 자동차용 납축전지를 이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와 무게가 매우 커 휴대성이 어렵고, 고가의 제품군으로 형성되어 있어 일반 운전자들은 구입 및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리튬배터리를 이용한 Jump Starter의 경우, 부피는 줄었지만 원가가 매우 비싸고 주기적으로 충전을 하여 휴대해야하기 때문에 이용성에 불편함이 있고 실제 트럭이나 버스 같은 대용량 배터리는 Jump Starter가 구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자동차 및 트럭용 Jump Starter의 부피 및 원가를 최소화하면서 일반 운전자들도 휴대 가능한 편리성을 높이며, 대형트럭도 적용 가능한 건전지와 Super Capacitor를 이용한 초소형 저가형 Jump Starter 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Jump Starter는 납축전지나 리튬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회로의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전체 제품의 원가가 증가하여 제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튬전지를 사용하게 되면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휴대 및 이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반면 제안된 회로는 일반 소모용 건전지로도 Jump Starter 회로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휴대성이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든 소모용 건전지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휴대성과 이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순간적인 방전이 가능한 Super Capacitor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회로의 부피 및 제품의 원가를 최소화 할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이 이론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실제 방전된 배터리 및 대형버스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rill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Truck Cargo Box (트럭 적재함 가공용 자동 드릴링 머신 개발)

  • Oh,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39-742
    • /
    • 2009
  • 대형 트럭의 적재함 제조 공장의 경우 전 공정이 인력에 의존하는 강도 높은 제조 현장이다. 특히 적재함의 양 측면 게이트 고정 작업의 경우 약 7명 정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드릴링 및 조립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드릴링 작업은 작업자의 손목이 손상되는 사고를 빈번히 일으키고 있는 위험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작업자 2인이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드릴링 머신을 개발하기위한 기구적 및 시스템 설계, 제어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Performance of Non-starting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rmoelectric Modules for Hybrid Heavy Trucks (대형 하이브리드 트럭용 열전 무시동 공조시스템 성능 연구)

  • Park, Kyungmin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29 no.5
    • /
    • pp.310-317
    • /
    • 2013
  • To reduce vehicle fuel consumption due to not only driving but also air conditioning, battery-operated non-starting conditioning systems with thermoelectric modules and without mechanical elements like compressors are being manufactured for use by hybrid heavy trucks in the near future. In this study, the voltage and current consumed by a thermoelectric modul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required battery pow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let/outlet modules and inside/outside the cabin for a truck, was evaluated using experimental apparatus under actu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can be continously operated for about 1.5 h using existing 24 V batteries. The coefficent of performance(COP) of the cooling and heating modes was calculated to be an average 0.8-1.32. As expected, the heating performance was 30% more efficient than the cooling performance, which is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rmoelectric modules.

Torsional free vibration analysis of heavy duty powertrain (대형트럭 구동계의 비틀림 자유진동해석)

  • Ahn, Byoung-Min;Hong, Dong-P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2 no.2
    • /
    • pp.437-443
    • /
    • 1998
  • Automobile company tries to reduce the inertia of powertrain to increase the fuel efficiency and increase the engine power every year to make the high speed driving possible at full load condition. These cause the torsional vibration of powertrain. But the demand about ride comfort improvement is increased constantly, so torsional vibration of powertrain become an emergency problem to be cured.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reduce the torsional vibration of powertrain at driving condition. First, the heavy duty powertrain is characterized as a vibrating system. Its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re reviewed. Second, by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and experiment results, validity of developed model is verified. Finally, the couterplan which can reduce the torsional vibration by mode analysis and parameter modification is suggested.

Turbocharging of automotive diesel engine (차량용 디이젤 엔진의 터어보과급화)

  • 홍중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5 no.2
    • /
    • pp.1-14
    • /
    • 1983
  • 총차량 중량이 15ton이 넘는 대형 트럭의 경우 1970년도에 18%에 불과하던 터보 챠저엔진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여 1977년에 42%에 달하였고 1990년도에는 7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현재 터보 챠저엔진의 BMEP는 11.2kg/$cm^{2}$, after cooled엔진은 13.6kg/$cm^{2}$에 이르나 앞으로는 after cooled엔지의 BMEP는 13-17kg/$cm^{2}$로 증대할 것이다. 그러나 터보 챠저엔진의 최대의 단점은 저속에서의 낮은 boost압력과 고속에서의 over boost압력을 갖는다는 것이나, 현재까지는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1980년대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터보 챠저나 이를 개선한 고성능 터보챠저를 부 착한 엔진이나 after cooled엔진이 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터보 챠저가 대형트럭용 엔진에 더욱 확대 사용되고 또 소형 디이젤 엔진이나 가솔린 엔진에서도 이용되기 위해서는 (1) 저속에서의 boost압력 증대 (2) 압력비의 증대 (3) 압축기 사용 flow range의 확대 (4) 소형 터보 챠저의 개발 등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외에도 배기가스의 효율적인 에너지전달, 콤푸레샤 효율의 증대, 굉음의 감소, 저렴한 터보 챠저 및 after cooler의 개발, 터보 챠저의 소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