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사고

Search Result 83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ETV for Disaster Prevention - Focusing on the Role of the Korea Coast Guard for the Prevention of Radioactive Waste Accidents and Marine Accidents - (재난 예방을 위한 ETV 도입에 관한 연구 - 방사성폐기물 사고 및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해양경찰의 역할을 중심으로 -)

  • Jin, H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694-700
    • /
    • 2018
  • Korea has disposed of medium and low level radioactive waste generated by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permanently through th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located in Gyeongju. However, the maritime transport of radioactive waste is exposed to the risk of marine acciden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o secure safety from the viewpoint of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Korea Coast Guard. Especially, Korea is affected by large-scale marine accidents, such as the Hebei Spirit or Sewol accidents. From this point of view,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 radioactive waste shipping and examined the response systems of major foreign countries. As a result of examining major cases of accidents, we have operated an Emergency Towing Vessel (ETV) fleet centering on European countries in order to respond urgently to marine casualties that may have soci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effects, such as accidents of similar nuclear material carriers and dangerous cargo ships. It proves a partial effect. Based on this, we propose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ETV Syste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large-scale marine accidents that could lead to enormous environmental, property, and personal damage, such as marine accidents involving nuclear material ships, large oil tankers, and large passenger ships. For this, it seems necessary to introduce Korea ETV, which can carry out emergency towing, oil pollution control function, large - scale rescue equipment and manpower. This will lead to the enhancement of the Korea Coast Guard response to marine accidents, and will not miss the golden time of the initial response to the national disaster, which will help protect precious people, property and the environment.

HNS 사고사례코드 설계에 관한 연구

  • Ha, Min-Jae;Jang, Ha-Yong;Yun, Jong-Hwi;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84-86
    • /
    • 2015
  • 최근 해상에서의 HNS 물동량 증가와 HNS 사고 유형 및 규모의 대형화, 사고대응체계 수립 필요성 대두 등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HNS 유출사고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NS 사고사례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설계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HNS 유출사고를 표준화할 수 있는 HNS 사고사례코드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과학적 해양사고조사체계 도입 및 구축기반 연구

  • Park, Han-Seon;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4-245
    • /
    • 2019
  • 국내외 해양사고 조사체계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해양사고 조사체계의 법제도와 시설, 장비, 전문 인력 등 시스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대형 해양사고 발생원인 및 위험요소의 명확한 조사 분석을 위한 우리나라 해양사고 조사체계 및 과학적인 분석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재난보험제도 도입과 운영방안

  • Yun, Hui-Sang
    • 방재와보험
    • /
    • s.110
    • /
    • pp.24-29
    • /
    • 2005
  • 화재, 폭발 및 붕괴사고 등 재난사고와 인명피해로 인해 재난보험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과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효율적인 재난보험 체제 구축의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화재사고 시 대형피해가 예상되는 특수건물에 대한 사전 예빵기능 및 사후 보상 체계를 갖춘 '화보험' 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야 말로 각종 재난 사고로부터 공공의 안녕을 지키는 든든한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Study o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Maritime Safety Enforcement Task : Focus on Vessel Safety Management (해양안전 집행업무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선박안전 관리를 중심으로-)

  • Byungdoo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7
    • /
    • pp.1169-117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a maritime safety enforcement task that is distributed i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Korea Coast Guard for maritime safety. Considering the sinking of the MV Sewol and Seohae vessels and the MV Hebei Spirit oil spill, normally marine safety accidents tend to not only damage human life, property, and marine environment but can also expand to disasters; therefore, precautionary measures are required.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takes superficial efforts in case of large-scale accidents. In case of the MV Sewol ferry, the government only focused on punishing the officials involved as a follow up and never mentioned any effective plan, such as "unification of maritime safety enforcement," in contrast to an advanced country. As a result, there are endless major and minor backward accidents. The probability of large-scale maritime accidents and backwardness accidents is increasing owing to vessels becoming large sized, high speed, and aged; sailors being unqualified; port traffic increas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and inefficiency dual marine safety systems. Therefore,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aritime safety, major advanced country's cases, and unified case of the vessel traffic service,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methods such as coastal vessel safety management, port state control and aid to navigation management,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 maritime safety.

A Study on Trends of Technologies for Maritime Safety (신개념 해양안전기술)

  • Lee, Jong-Gap;Kim, Hong-Tae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39-46
    • /
    • 2008
  • 국제교역의 확대에 따라 선박을 통한 물동량의 증가와 이에 따른 선박의 고속화/대형화, 해양자원 개발 및 공간 활용을 위한 해양구조물의 증가와 대형화, 삶의 수준 향상에 따른 해양 관광 및 레저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 해양사고의 위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인류의 미래 삶의 터전인 해양환경 및 자원의 보전을 위한 전 지구적인 요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를 통한 안전 및 환경보호를 위한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기구 및 관련 국가들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 해상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도 대형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안전 및 환경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고 우리나라 해양 산업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위해도 기반(risk-based), 정보 통신기술 기반 (ICT- based), 인적요소 (human element)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개념의 해양안전 기술의 기본개념 및 핵심기술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확률 및 빈도 분석

  • Kim, Yeong-No;Yu,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81-82
    • /
    • 2013
  • 현재 도시의 발달은 건축물의 대형화와 다양화를 생활 필수 요소로 정착시켰으며 이는 공항, 역사, 체육시설, 전시시설을 비롯하여 여러 시설을 대형화 시켰다.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온 국내 건축물의 대형화에 있어서 사고 및 피해는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발생한 1971년 대현각호텔 화재사고와 같이 상시 발생가능성이 있는 대형화재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 사례를 data base화하여 화재발생 확률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화재발생가능성이 있는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 시나리오 작성 및 대처방안 정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The Strategy for Maritime Pollution Accident in Kwangyang.Yeosu Region (여수지역 대형 해양오염 대응 전략)

  • Lee, Sang-Jin;Na, Sang-Hoi;Hong, Hee-Ja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105-114
    • /
    • 2008
  • Kwangyang Yeosu Port is consisted of narrow strait and inclosed harbor and also where is frequently occurred maritime pollution accidents at seas bemuse of a lot of sea traffics for major oil refining company including Yeocheon National Complex. In the paper, we suggest methods to quickly remove the pollutants at seas form maritime pollution accidents in kwangyang Yeosu Port and also protect environmental life and property.

  • PDF

Special Theme_재난통신 및 방송 - IT Expert Interview 김응배 TTA 재난통신 PG 의장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131
    • /
    • pp.30-39
    • /
    • 2010
  • 급격한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 및 소리 없이 쌓이는 폭설과 잦은 매머드급 태풍 그리고 지진과 해일, 화산활동 등의 자연재해가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할 막중한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또한 자연재해뿐 아니라 공공기관에 대한 테러와 자원쟁탈을 위한 국지적인 전쟁과 같은 참사가 지구상에서 수시로 발생하고 있으며, 원자로의 방사능 누출과 지하철이나 철도의 충돌사고 및 가스폭발사고와 초고층 대형 빌딩이나 지하터널, 해저터널 같은 대형구조물의 붕괴 등 인공재난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재난발생은 대형화 및 다양화되고 있으며, 복합화된 형태로 발생하여 단일 기관으로는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 범 국가적인 통합지휘체계에 의한 재난 관리 및 재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대형 참사를 사전에 예방하고, 재난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여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어떠한 재난 통신 방안이 있으며, 관련 기술 표준과 선진국 등의 구축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는 제대로 재난 통신 및 방송이 구축되어 있는 지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유비무환(有備無患) 및 거안사위(居安思危)의 정신으로 언제 닥칠지 모르는 국가재난에 미리미리 대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PDF

Develop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on Subway Construction (지하철공사를 위한 지하매설물관리시스템 개발)

  • 강인준;장용구;정영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1
    • /
    • pp.75-80
    • /
    • 1997
  • In other to construct a subway, we have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subway and acquisition of a topography, profile-map, cross-map, underground facilities map. All information of underground is demanded accurate location in other to prevent of accident of underground in subway construction. We must think about water lines, sewer lines, electronic lines, telephone lines, all urban gas-line because these are needed construction the subway. And attributes of underground facilities recorded on topography are characteristics. length, width. number, position, and depth of the lines. We have to record these attributes because these are very important to design map on subway construction. If we develop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use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we can be management safely and prevent very dangerous accident as fast as possible. In this study, attribute informations are linked geographic informations about underground facilities and we can develop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UFMS) to analysis dangerous region through dangerous degreed and predict accident range with these inform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