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마트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31초

전통시장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마케팅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ystem for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Big-data)

  • 송재오;조정현;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191-192
    • /
    • 2018
  • 우리나라는 소상공인 및 자영업에 대한 비중이 매우 높은 가운데, 대형마트 및 SSM(Super Super Market), 편의점 등 기업형 유통 판매점의 확대로 인해서 위기감이 심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생성해내는 빅데이터의 특성과 많은 유동인구흐름이 많은 전통시장의 특성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마케팅 정보까지 제공하여 전통시장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유비쿼터스 기반 쇼핑동선 분석을 이용한 고객상품 추천 시스템 (Ubiqutors based Customized Good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hopping Moving Line Analysis)

  • 이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296-298
    • /
    • 2010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핵심기술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대형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고객의 실시간 위치 파악과 쇼핑 동선을 분석하여 고객의 선호상품을 예측하여 적시에 효율적으로 선호 상품 정보를 서비스 할 수 있는 쇼핑동선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개별 고객들의 쇼핑 동선 및 쇼핑 패턴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이를 기반으로 각 고객들의 쇼핑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쇼핑패턴 정보로 이용하여 선호 구역 및 선호 상품을 예측한다. 예측된 선호상품 정보는 고객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 PDF

딥러닝과 영상처리를 활용한 무인계산시스템 (An Unmanned Checkout Counter using Deep Learning and Image Processing)

  • 김홍재;최희웅;윤보라;김옥근;조중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5-977
    • /
    • 2018
  • 본 논문은 대형마트와 같은 유통업계에서 무인계산시스템의 자동화로 소비자의 계산 편리성 증대를 위한 딥러닝과 영상처리를 활용한 무인계산시스템을 제안한다. 소비자가 무인계산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계산할 물품을 올리면 벨트 끝에 위치한 카메라로 이동하여 촬영한 물품의 이미지를 딥러닝과 영상처리로 분석하여 제품의 리스트를 제공,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에 전송하여 재고를 관리하고 발주가 필요한 제품은 자동으로 발주하는 시스템이다.

지능형 예매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축제 관리시스템의 요구분석 (Requirements Analysis for Local Festival Management System Using Intelligent Reservation System)

  • 정복희;김순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5-1127
    • /
    • 2012
  • 오늘날의 지역축제는 역사적, 문화적, 지역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기획된 다양한 축제가 지방 곳곳에서 개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축제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축제 중에도 그 지역의 문화컨텐츠와 상관없이 획일화된 축제내용과 진행, 홍보 노력의 부족 등으로 축제의 가치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대부분의 축제 예매 관리시스템이 현장예매와 인터넷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지방자치단체나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도 홍보 및 예매를 할 수 있도록 지능형 예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요구분석 내용을 기술한다.

IoT 디바이스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 (Energy Monitoring System with IoT Devices)

  • 임호정;강정훈;김상한;정혜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0-903
    • /
    • 2016
  • 건물, 공장, 사무실, 대형마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너지 절감이나 사용자의 편의성 제공을 위한 센서 설치를 통해서 다양한 측정값을 서버까지 송수신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는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디지털 전력량계의 데이터에 대해 - 오라클 서버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실시간 시계열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다양한 분야에 센서 네트워크와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접목하는데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비접촉식 미디어 아트 키오스크 (Touchless Media Art Kiosks using Gesture Recognition)

  • 김유라;서솜이;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235
    • /
    • 2022
  • 본 논문은 딥러닝과 핸드 제스처, 미디어 파이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키오스크를 만들어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예방 및 대형마트에서 원하는 물건을 검색 후 편리한 구매를 위해 구현한 내용을 다룬다. 단순한 핸드 제스처 인식만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비접촉 제스처 인식을 더해 하나의 예술로써 제스처 인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자 했다. 또한 하나의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닌 주먹을 쥐었을 때 그 중심을 인식해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이용해 기존의 방법보다 더 안정감 있게 그릴 수 있게 구현하였다. 현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세부적인 기능들은 학습을 통해 기존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미디어 파이프를 이용하였다. 빠른 처리 속도와 정확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하나의 미디어 아트로써 키오스크를 설계하였다.

  • PDF

물품검색과 자동계산이 가능한 스마트카트 (Smart Cart with Commodity search and Automatic Calculator)

  • 최덕규;황성훈;최건우;이승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61-162
    • /
    • 2020
  • 기존의 카트는 마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카트를 고안하게 되었다. 기존에 대형 마트를 이용할 때 소비자들은 찾고 싶은 제품이 있으면 직접 찾아다니거나 매장에 있는 직원들에게 찾아가 원하는 제품을 물어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세일 품목 등 직접 알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계산을 할 때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등 시간 또한 오래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기존 카트에 검색기능과 자동계산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장착한 '물품검색과 자동계산이 가능한 스마트카트' 기술을 제안한다. 소비자들이 쉽고 빠르게 제품을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소비자들이 스마트 카트를 통해 원하는 물품을 검색하게 되면 해당 상품의 가격과 위치, 정보 등 여라 가지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스마트 카트에 바코드스캐너를 장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들을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해 스캔하면 디스플레이에 현시점까지의 물품들의 총 가격을 합산 해줌으로써 소비자들이 더욱 효율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 PDF

대형아트의 상품구성에 따른 동선체계의 특징에 관한 연구 - 공간구조와 공간연출의 특성을 기준으로 - (A Study on the Circulation System on accordance with the Merchandise in Discount Store - with reference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VMD pattern -)

  • 김세은;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7-142
    • /
    • 2008
  • Since mid 1990s, the domestic market in Korea has been changing drastically especially in the field of discount stores. The competition among this market is more severe and the consuming pattern is also change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stomer's circulation and the spatial configuration by using Space Syntax and VMD pattern through the MD plan of each floor in Discount store. Throughout this study, it tries to find out the Quantitative analysis among three factors - the customer's circulation, spatial configuration and VMD investigation. The pattern of customer's circula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customer and store layout, but with the result, customer's circulation system is in accordance with the floor layout in the store. In result of the study, the circulation of the customer was f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patial structure that is composed by the MD pattern in a discount store in the area of food section. Also, the circulation system in the rest area except food section is more affected by the VMD pattern rather than spatial structure.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진입이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 변화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SSM Market Entry on Changes in Market Shares among Retailing Types)

  • 최지호;윤민석;문연희;최성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5-13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 진입이 국내 소매업 경쟁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자료의 분석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이며, 기업형 슈퍼마켓이 월별로 진입한 점포수, 누적 점포수, 신규 SSM 사업체 중 $165m^2$ 미만 점포비율이 분석모형에 고려되어 소매업태별 상대적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효과가 분석되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에서 종합소매업에 속해 있는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으로 구분된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은 매월 각 소매업태별 판매액을 합산하여 월별 총 소매판매액을 계산한 후, 각 소매업태의 판매액이 총 소매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 소매업태별 종사자 수, 통화량(M2)이 모형에 추가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신규 SSM 시장진입으로 인한 소매업태별 시장점유율 변화는 대형마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SSM의 누적 점포수는 모든 소매업태의 시장점유율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에 대한 방향성이 소매업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SSM의 확산은 대형마트와 편의점의 시장점유율을 감소시킨 반면에 백화점, 슈퍼마켓,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점의 시장점유율에는 긍정적인 공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PDF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Assessment of Commercial Ready-to-Eat Side Dishes Sold in Gyeonggi-do

  • Hwang, Sun-Il;Kim, Sang-Tae;Han, Na-Eun;Choi, Yu-Mi;Kim, Hye-Young;Ham, Hyun-Kyung;Lee, Chan-Mi;Park, Yong-Bae;Son, Mi-Hu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8-476
    • /
    • 2020
  • 2019년 경기도내 전통시장, 대형마트, 반찬전문점에서 수거한 반찬류의 미생물 품질을 조사하였다. 반찬류 108건의 식중독 원인균을 검사하였고, 그 중 75건에 대해서는 구매 장소별, 조리 방법별 위생세균 검사를 진행하였다. 14건(12.9%)에서 Bacillus cereus가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94건에서는 식중독 원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위생세균 검사에서 일반세균의 평균 검출량(범위)은 전통시장이 5.8 log CFU/g (3.0-8.2 log CFU/g), 대형마트는 4.3 log CFU/g (2.3-7.8 log CFU/g), 반찬전문점에서는 3.8 log CFU/g (0.0-6.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구입 장소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Ρ <0.05). 전통시장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은 대형마트, 반찬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생채류, 나물류, 볶음류, 젓갈류, 조림류 순으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이 높게 검출되었다. 콩나물 무침의 보관온도별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냉장보관(4℃)에서는 72시간 경과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상온보관(20℃) 및 고온보관(35℃) 시 구입 후 각각 9시간, 6시간 경과 시 부패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구입 즉시 냉장보관 할 것을 권장하며, 제품을 판매하는 시설에서도 냉장보관을 하여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