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 학사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대학의 창업교육체계 구축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yeong-Guk;Kim, Chang-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정부는 대학발 창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그동안 산재되어 있는 창업지원기능을 대학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대학의 창업교육과정 및 창업지원체계 구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K대학은 1998년 지역 내에서 가장 먼저 창업보육센터로 지정을 받았고 이후 2011년 창업선도대학, 2012년 LINC사업, 2013년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및 2014년 글로벌창업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인프라를 구축하여 왔다, K대학은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수준 4단계,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부터 기업설립까지 창업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창업동아리와 이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창업친화형학사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창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 내에 산재한 창업지원기관을 통합하고 본부 조직화하였다. K대학은 이를 통해 창업교과 수강학생 수 및 창업동아리 수에서 2배 수준의 증가와 창업자 수는 2013년에 비해 7배의 성장을 이루었다. K대학의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체계 및 창업성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시스템이 단계별로 구축될 필요성과 대학 내 구성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성과도출까지 적응기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PDF

미국 농과대학의 개혁 동향과 시사점

  • Lee, Mu-Geun
    • 대학교육
    • /
    • s.87
    • /
    • pp.46-51
    • /
    • 1997
  • 미국 농무성은 고등 농업 전문인력의 수급 전망을 5년 주기로 학사, 석사, 박사 등 학력별로 그리고 전공분야별로 조사 분석한 자료를 전국 농과대학에 제공하고, 각 농과대학이나 관련 학과들은 이를 기초로 전공 프로그램과 정원을 조정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농림부나 과학기술처, 교육부 등 어느 정부 부처에서도 고등 농업 전문인력의 수급 전망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한 번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 PDF

한국대학 창업교육 현황 연구: 학부·대학원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 중심

  • Hong, Jong-Deuk;Gang, Hyeon-G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63-165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창업교육과정, 특히 대학 학부와 대학원 학위과정(2년이상 준학사, 학사, 석사, 박사 과정) 및 비학위과정(1개 학기용 개별 과목)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현재보다 나은 모델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년 4월 12일 교육부는 '대학원생 창업'을 독려하는 등 산학협력으로 2020년까지 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겠다는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로써 대학내 모든 전공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심지어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의 수요는 급증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앞서 2013년 9월 교육부, 미래과학창조부, 중소기업청은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했고 그에 따른 '창업선도대학사업'이 진행중이다(2015년 28개, 2016년 34개 대학). 한편, 민간기업인 SK그룹(SK텔레콤)이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과 협력하여 전국 대학 25곳을 선정하여 'SK청년비상 창업교육 및 지원프로그램'을 2016년 3월 시작하여 현재 가동되고 있다. 이로써 그동안 정부와 대학간 협력체제에서 진화하여 민-관-학 3주체 협력모델이 새롭게 전개되는 양상이다. 현재 전국 대학에 개설된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들이 과연 양과 질면에서 적정한지, 그리고 구조가 잘 설계 되어있고 단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있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평가와 논란이 있으므로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새로운 커리큘럼 개발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 조사 대상을 확대하여 분석을 통해 현재보다 나은 창업교육과정(커리큘럼) 개발에 발전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 Focusing on Variables of Student Engagement (대학생의 학사경고 예측요인 탐색: 학교참여도 변인을 중심으로)

  • Seo, Eun Hee;Kim, Eun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469-4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student engagement variables among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Student engagement variables include hours of absence from class and numbers of log to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in extracurricular program system during four weeks after the opening of a course and the numbers of faculty counseling. GPA(grade Point Average) is a dependent variable and GPA of prior semester is a control variable in this study. 17,261 studen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Linear regression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e study. The finding showed that the hours of absence from class and numbers of log in extracurricular program system during four weeks after the opening of a course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hours of absence from class and numbers of log-ins to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in extracurricular program system during four weeks after the opening of a course were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vestigate indicators of students with low academic performance and to provide proper support for underachievers.

Development of school affairs information alerts Hybrid App in Mobile Envire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사정보 알리미 하이브리드 앱 개발)

  • Kim, Seokhun;Yeom, Cho-rong;Song, Miyeong;Sok,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39-141
    • /
    • 2015
  • 최근 대학 모바일 구축 환경의 트랜드가 변화하면서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장점을 가진 하이브리드 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학생들을 위한 공지사항, 취업정보, 학사 정보, 식당 메뉴, 교통정도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에서 접근할 수 없었던 학사정보를 모바일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앱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미국내 한국학 도서관계의 최근 동향

  • Yang, Gi-Baek
    • KLA journal
    • /
    • v.9 no.2
    • /
    • pp.2-4
    • /
    • 1968
  • 양기백선생은 20여년전 도미하여 몸마우스 대학에서 정치학사, 아메리칸 대학에서 행정학석사, 가톨릭 대학에서 도서관학석사 학위를 획득하고 현재 미 국회도서관의 한국부장으로 봉직하면서 한국도서관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1965년에 한국에 관한 자료수집차 일시 귀국하여 관계인사들과 모임을 가진 바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