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태권도 선수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hlete Career and Competition Participation Frequency on Exercise Commitment of Women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 손성민;안병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76-48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 태권도 선수들의 선수 경력, 대회 참가빈도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 20명이다.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는 4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1점에서 4점으로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선수 경력과 대회 참가빈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운동몰입에 대한 평가는 운동몰입척도를 활용하였다. 운동몰입척도는 총 8문항으로 행위 몰입 4문항과 인지 몰입 4문항으로 구성되어있고,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하며,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대회 참가 빈도와 운동몰입 간에 정적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선수 경력은 부적 (-) 인과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회 참가빈도가 높을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증가하며, 선수 경력이 길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감소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여자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몰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회 참가 빈도와 선수 경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대학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상해 실태와 대처능력 방안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Taekwondo Athletes' Sport Injury and the Measures to Improve Their Coping Ability)

  • 민경훈;이종민;정한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43-153
    • /
    • 2017
  •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실태 중 발생시기와 주요원인은 체급과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생상황은 학년과 체급,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상해 대처능력 방안 중 응급처치는 학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해예방은 학년과 선수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치료방법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태권도 선수들은 연습 시가 스포츠상해 발생시기이며, 넘어지는 상황에서 스포츠 상해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또한 기술부족이 스포츠 상해의 주요원인이 된다는 것이 스포츠 상해 실태의 결론이다. 더불어 스포츠 상해의 대처능력 방안은 얼음찜질로 응급처치를 하고, 본인 마사지로 치료하였다. 또한 상해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피로회복이 상해예방의 최선으로 인지하였다.

단기 체중감량에 따른 태권도 선수의 체력, MDA와 SOD의 변화 (Change of Physical Fitness, MDA and SOD by Short-term Weight Reduction of Taekwondo Players)

  • 임완기;박익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01-30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운동, 식이제한, 탈수의 방법으로 단기간 체중감량을 했을 때 체력, MDA와 SOD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피험자는 10명의 대학 태권도 선수가 참여했고, 이들은 경력 7년 이상의 기능이 우수한 선수들이다. 체중감량의 기간과 수준은 1주일간 자기체중의 5%로 한정하였다. 체중감량 전후 체력, MDA와 SOD가 측정되었다. 체력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그리고 반응시간이 측정되었고 혈액 검사는 MDA와 SOD가 분석되었다. 자료는 체중감량 전후로 종속 t 검증으로 유의성은 .05로 분석되었다. 첫째, 단기 체중감량에 의한 체력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그리고 반응시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단기 체중감량에 의한 MDA와 SOD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에 있어서 단기 체중감량에 의한 자기체중의 5% 감량은 운동수행력과 생리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선수와 코치들은 1주일간 자기체중 의 5%를 감량함에 있어서 운동, 식이 그리고 탈수를 고려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학 태권도 선수의 족무지 지간 관절의 만성 내반 불안정성 - 1례 보고- (Chronic Varus Instability of the Hallux Interphalangeal Joint in College Taekwondo Athelete - A Case Report -)

  • 정홍근;박신형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2-145
    • /
    • 2008
  • 육상 선수나 격투기 선수들에게서 전족부 손상은 흔한 편이나 족무지 지간 관절은 해부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관절 측부 인대손상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스포츠 손상에 의한 지간 관절의 만성 불안정성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보고가 극히 적어 저자들은 대학 태권도 선수에서 족무지 지간 관절의 진구성 외측부 인대 파열에 기인한 만성 무지 내반 불안정성에 대하여 수술적으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태권도선수의 참여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이 성취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ekwondo Athletes'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Achievement Behaviors)

  • 임영진;송은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25-5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참여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 그리고 성취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호남권 거주 태권도 선수 256명으로서,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태권도선수의 참여동기는 성취목표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행동 간의 경로계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한편, 태권도선수의 참여동기는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하여 성취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태권도선수의 경기력향상에 있어서, 참여동기를 반영하여, 성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week Plyometric training on power, dynamic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ory in Taekwondo demonstrator )

  • 최광웅;이석준;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07-111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태권도 시범 전공 대학생 20명을 훈련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한 후 운동군은 주 3회, 60분, 8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하였다. 측정 변인은 제자리높이뛰기, 제자리멀리뛰기, 배근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으로 사전 사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제자리높이뛰기와 멀리뛰기 및 배근력에서 유의한 운동의 효과가 있었다(p<.05). 동적 평형성은 후방 바깥쪽과(p<.01) 후방 안쪽에서(p<.05) 유의한 운동의 효과가 있었다. 관절 위치감각은 왼발 15°와(p<.01) 45°에서는(p<.05) 운동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과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태권도 선수의 사회성요인과 코치의 다차원적 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Sociality Factors and Coaches' Multidimensional Leadership)

  • 김영인;김용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71-90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행동이 개인차에 의해서 나타난다는 가정 하에 대학생의 사회성 요인과 다차원적 리더십 요인과의 관계규명을 통하여 사회성 요인이 선행변인임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05년 현재 태권도 선수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 태권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에 대한 표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28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성요인 중 책임감은 p<.001수준에서 훈련과 지시형, 긍정적 피드백형, 사회적 지지형, p<.01수준에서 권위적 행동형, p<.05수준에서 민주적 행동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요인 중 사교성은 p<.05수준에서 훈련과 지시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요인 중 계획성은 p<.001수준에서 사회적 지지형 p<.01수준에서 민주적 행동형, 권위적 행동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태권도 선수들의 복합 운동재활이 하지 근기능 및 사이토카인의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Rehabilitation on Lower limb Muscular function and Cytokines in the Taekwondo player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안환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45-2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운동재활이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태권도 선수들의 하지 근기능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대학 태권도 선수 20명(복합 운동재활 집단 n=10, 통제집단 n=10)을 대상으로 복합 운동재활(수중운동 주 3회, 저항운동 주2회)을 8주 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혼합 설계로써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모든 유의성 검증은 ${\alpha}=.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합 운동재활 집단이 각속도 $60^{\circ}/sec$의 피크토크(peak torque)는 처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신근(p<.001)과 굴근(p<.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복합 운동재활 집단이 각속도 $180^{\circ}/sec$의 평균파워(average power)는 처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신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복합 운동재활 집단의 $TNF-{\alpha}$ 변화는 처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복합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의 하지 근기능과 TNF-a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Sargent jump, posture control and lower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Taekwondo demonstrator)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51-859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선수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학 태권 시범선수 20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을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운동군은 주 3회, 60분, 6주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련을 하였으며, 사전 사후 서전트 점프, 배근력,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전트 점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자세조절에서는 앞쪽은 경우 유의하지 않았으나 좌·우 후방 외쪽과 안쪽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종합점수 결과 하체 부상의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순발력, 자세 조절, 하체 부상 방지 및 재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훈련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