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취업정책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충북지역 대학의 취업정책과 대학생 수요의 상관성 분석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 student's demands and employment policy of university)

  • 김동환;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12-715
    • /
    • 2011
  • 대학의 취업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야 대학생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정책의 의도, 추진 성과, 준비성 등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만족도, 효용성 등 부문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정책의 효과에도 문제가 있지만 정책 추진의 효율성도 떨어져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취업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 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 정책의 수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충북지역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에 대한 대학 취업담당자와 대학생들 간의 인식의 차이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Differences Between Staffs and Students on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in Choong-buk Province, Korea)

  • 김동환;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10-3516
    • /
    • 2011
  • 경체 침체와 고용 없는 성장 산업으로 인해 대학생의 실업 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취업률 문제가 대학의 평가로 이어질 정도로 정부가 관심을 갖고 대학생 취업률을 올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취업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대학생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의 의도, 추진 성과, 준비성 등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만족도, 효용성 등 부문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활동의 효과에도 문제가 있지만 프로그램 추진의 효율성도 떨어져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취업 지원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의 지원활동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 수정 제안과 함께 관련 주체들의 바람직한 태도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Study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 이재환;성혁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97-210
    • /
    • 2015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학생의 취업지원에 관하여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갖는 주관적인 인식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인식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장애대학생 취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인식 연구 결과, 외부의존형(제1유형), 장애친화형(제2유형), 수요맞춤형(제3유형), 그리고 내부역할강조형(제4유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 차원의 장애학생 취업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바탕으로 취업지원센터를 비롯한 기존 대학 내 취업지원 체계를 장애학생의 수요에 맞는 장애친화적인 인프라로 재구축해야 하며, 여기에 더하여 장애학생을 채용하는 산업체와의 긴밀한 취업연계체계 구축과 정부 차원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당국의 노력이 병행될 때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진입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s)

  • 남재우;최영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6-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취업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운영하는 17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기업연계, 상담, 자격증, 채용지원, 특강 등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최근 취업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보통 이상의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원별로는 자격증, 취업지원, 해외, 특강, 상담, 기업연계 관련 프로그램의 순으로 유용성이 높게 집계되었다. 이중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은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전반적유용성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취업지원센터는 신규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을 우선 기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607-61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전라지역 소재 M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r=-.356, p<.001)이 있었지만, 임상실습만족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018, p=.825).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β=0.285, p<.001), 성적(β=0.250, p=.001), 전공만족(β=-0.331, p<.001)이었고 설명력은 25.3%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 전공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나이와 성적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펜데믹 기간 대학교육 만족도가 청년의 취업준비 활동과 사회참여에 끼치는 영향 (Influence of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on Young Adults' Job Seeking and Social Participation)

  • 정병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41-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 기간 대학교육의 만족도가 청년들의 취업준비 및 사회참여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단위 표집을 통해 구축한 2021년 청년경제사회 패널데이터의 대학교육만족도, 취업활동, 사회참여 등에 관한 8개 변수를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총 2,941명이고, 구조방정식모형과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교육만족도는 청년들의 취업준비 활동과 사회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대학교육만족도는 여성의 취업준비와 사회참여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남성집단에서는 취업준비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학교육 만족도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준비활동과 사회참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준비 활동에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서 남성과 전문대학 졸업자의 대학교육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교육적 처방이 요구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성열훈;김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5-363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북 소재 1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아진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져 향후 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 적응을 높이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마련을 위해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