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전공 교육

검색결과 1,287건 처리시간 0.025초

융합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in General Education for Enriching Convergence Education)

  • 김대영;현민철;김정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1-228
    • /
    • 2019
  • 대학의 교양교육은 전공교육에 비해 본래의 교육적 의의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단계는 바로 현재 각 대학이 편성 운영 중인 교양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이론적으로 교양교육과정 평가도구를 단편적으로 나열한 것에서 벗어나, 평가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를 AHP 분석기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평가도구의 배점을 결정하였다. AHP 분석 결과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 중 편성의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후순위로는 운영과 평가 영역으로 나타났다. 전체 22개 평가 지표 중 가장 높은 가중치로 결정된 지표는 "교과목 편성의 적절성"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로 "교양교육과정 목표의 적절성"이 선정되었다.

인적자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K대 전문대학원의 성과지표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Performance Indicators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f K University's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for the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Human Resources)

  • 김주일;오문환;김세찬;박지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81-701
    • /
    • 2023
  • 본 연구는 인적자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관련 성과지표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K대 전문대학원의 성과지표 도출, 홍보 방안, 학회 설립 및 운영방안, 명칭 변경, 비전 제안 그리고, 전공별 교육과정(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개선(안) 도출 등을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K대 전문대학원의 재학생 및 졸업생 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명을 대상으로 FGI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과지표의 경우, 선행연구, 전문대학원 특성, 설문조사, FGI 조사 등을 고려하여 15개의 지표(예: 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 학술연구 실적 등)를 제시하였다. 홍보 방안에 있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목표 고객들에게 전문대학원의 장점 및 혜택을 적극 알릴 필요가 있다. 학회 명칭은 가안으로 한국고용직업능력개발학회, 미션과 역할은 고용정책 선진화와 같은 포괄적인 미션이 적절하며, 융합학회로 운영할 것과 융합연구를 지향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K대 전문대학원 명칭 안의 선호도는 HR(인적자원) 전문대학원, 인력개발 전문대학원, 고용직업능력개발 전문대학원 순으로 나타났다. 비전으로는 기존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체성과 차별화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공별 교육과정 개선(안)으로는 급진적이기보다 기존의 틀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변화의 추이를 보며 단계적, 점진적으로 개편할 계획을 제안하였다.

소아과와 응급의학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골강내 주사 실습 교육의 효과 분석 (Intraosseous line insertion education effectiveness for pediatric and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 이정우;서준석;김도균;이지숙;김성국;유정민;곽영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58-1064
    • /
    • 2008
  • 목적: 심정지 등 중증 소아 환자에서 빠른 정맥로 확보를 통한 수액과 약물의 투여는 매우 중요한 술기이다. 저자들은 중증 소아 환자를 주로 담당하는 소아과와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의 골강내 주사 교육 경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에게 골강내 주사의 이론과 실습 교육을 시행하여 골강내 주사에 대한 기본 지식과 수행도, 자신감 정도를 교육 전후로 평가하여 전공과별 교육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5월에서 6월까지 세 개 대학병원의 소아과와 응급의학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골강내 주사에 대한 이론 및 실습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습은 반자동 드릴 형태의 EZ-IO 제품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교육 전후 골강내 주사에 대한 지식, 수행 경험, 골수 천자 검사 경험 및 수행 자신감 등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실습 후 골강내 주사 삽입 술기를 평가하였다. 결 과: 소아과와 응급의학과 전공의 각각 45명과 22명이 골강내 주사 교육에 참여하였다. 교육 전 설문 결과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골강내 주사 교육 경험이 풍부했으며(P<0.001) 소아과 전공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골수 천자 검사 경험이 많았다(P<0.001). 교육 전후 골강내 주사의 기본 지식에 대한 질문의 정답률을 비교하였을 때 교육 후 유의한 정답률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01). 골강내 주사 1차 시도 시 전체 전공의의 성공률은 88.7%였으며 두 군 간에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아과 전공의들의 골강내 주사 총 수행 시간이 응급의학과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01). 두 군 모두에서 교육 후 골강내 주사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하였으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전공의 대상의 비교적 짧은 시간의 골강내 주사 이론 및 실습 교육을 통해 교육 후 골강내 주사에 대한 지식 정도와 골강내 주사 수행 시 자신감에서 유의한 교육 효과가 관찰되었다. 중증 소아 환자를 주로 담당하는 소아과 및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에게 골강내 주사 교육의 기회가 더 많이 주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Culinary-Related Majors at Local Junior Colleges on Learning Immersion and Self-Efficacy

  • Pyoung-Sim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137-148
    • /
    • 2023
  • 본 연구는 지방 전문대학들에서 조리 관련 전공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가 학습 몰입,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여부를 조사하였다. 2022-2학기, 광주·전남지역 소재 5개 전문대학의 조리 전공 260명의 1학년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5.0을 이용하였다. 신뢰도 산출, t-test, ANOVA, Scheffe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또한, 피어슨 적률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지방전문대 조리 관련 전공 만족도에서 학년 간 만족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방전문대 조리 관련 전공 만족도가 학습 몰입감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지방전문대 조리 관련 전공 만족도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방전문대 조리 관련 학과 재학생 모두 전공 만족도가 학습 몰입과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조리 비전공 신입생들과 학기 중 아르바이트로 전공 수업에 미진한 학생들에 대한 학습 몰입감과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교육 방안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연구지원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cademic Library Users on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 남영준;김희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9-39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학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해 대학도서관의 주요 연구지원서비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용자의 유형에 따라서 그 인식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용자의 전공과 신분은 도서관서비스 인식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교수의 직급이나 학생들의 학년의 차이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도, 유용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용자들이 연구지원서비스를 사전에 이용해 본 경험의 유무는 전공계열과 신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그가 수행하는 모든 연구과정에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원서비스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전공계열에 따라 서비스를 위한 교육방법과 상담 지도에서 선호하는 방법이 서로 달랐다.

RDA 도입을 위한 정보조직 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DA in LIS Cataloging Curriculum)

  • 백지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403-428
    • /
    • 2016
  • 본 연구는 RDA라는 새로운 목록규칙이 도입되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의 목록 교육에 있어서 RDA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고려 사항을 분석하고, 전공 교과로서 RDA를 포함한 목록 교육 모형과 실행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특히 기존의 목록규칙과 RDA가 공존하는 현실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목록 과목에 주어진 시간 제약 속에서 효과적인 교육 내용 구성 및 전달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현행 문헌정보학 전공 목록 교육의 현황을 RDA와의 관계성 속에서 파악하였다. 둘째, 교육자의 인식과 교육 방안을 파악하기 위하여 RDA 교육에 관한 교수자들의 토론 내용과 이슈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자인 전공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2개 대학 목록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RDA 수업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넷째,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RDA를 도입한 목록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정보조직 강의계획안을 설계하였다.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교육과 진로체험 교육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Effect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0-5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지역 고등학생 568명을 임의 선정하여 학교 진로교육(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현장견학, 대학 혹은 전공체험,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a), 중(b), 하(c)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진로교육 상담 후에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대학 혹은 전공체험,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의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a>b>c집단 순이며, a집단이 b 및 c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수업의 만족도의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a·b·c집단의 수치 간에는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현장견학 수업의 만족도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a집단은 b와 c집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자아존중감, 모 애착이 이러닝 교육과정의 학습자가 선택한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es of Self-esteem in Adulthood and Attachment to Mother on Adult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n e-learning education)

  • 송승민;이사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67-176
    • /
    • 2016
  •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의 모 애착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이러닝 교육과정에서 선택한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이러닝 교육대상자로서 선정가능한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52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선정한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동기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이러닝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들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기 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이러닝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82
    • /
    • 2015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대학 e-러닝의 인식 제고 및 확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aise and Diffusion of Understanding of the e-Learning in Universities)

  • 박성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67-107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러닝의 인식 제고 및 확산에 대하여 교수들의 의식조사를 수행한 결과로써 대학차원의 e-러닝 세미나 및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e-러닝에 대한 비전과 중단기 정책을 수립하여 미래교육 방향에 맞는 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이버교육 수강을 희망하는 학습자를 위한 전공별 웹 기반 수업을 특성화시켜 운영하며, 대학의 세계화를 위하여 선진 외국의 경쟁력 있는 대학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협정을 체결하여 외국 대학과의 콘텐츠 개발 및 교류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