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이러닝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Blurring of Swear Words in Negative Comments throug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컨볼루션 신경망 모델에 의한 악성 댓글 모자이크처리 방안)

  • Kim, Yumin;Kang, Hyobin;Han, Suhyun;Jeong, Hieyo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2
    • /
    • pp.25-34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services, the ripple effect of negative comments is increasing, and the damage of cyber violence is rising. Various methods such as filtering based on forbidden words and reporting systems prevent this, but it is challenging to eradicate negative com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of negative comments using deep learning and blur the parts corresponding to profanity. Two different conditional training helped decide the number of deep learning layers and filters. The accuracy of 88% confirmed with 90% of the dataset for training and 10% for tests. In addition, Grad-CAM enabled us to find and blur the location of swear words in negative comments. Although the accuracy of classifying comments based on simple forbidden words was 56%, it was found that blurring negative comments through the deep learning model was more effective.

development of face mask detector (딥러닝 기반 마스크 미 착용자 검출 기술)

  • Lee, Hanseong;Hwang, Chanwoong;Kim, Jongbeom;Jang, Dohyeon;Lee, Hyejin;Im, Dongju;Jung, Soo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70-272
    • /
    • 2020
  • 본 논문은 코로나 방역의 자동화를 위한 Deep learning 기술 적용에 대해 연구한다. 2020년에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COVID-19와 그 방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IT분야에서 떠오르고 있는 artificial intelligence(AI)에 주목하고 있다. COVID-19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며, 이를 통제하기 위한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AI, 그 중에서도 Deep learning의 Object detection 기술을 일상생활 곳곳에 존재하는 영상 장치들에 적용하여 합리적인 비용으로 방역의 실시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는 사물인식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 이를 위한 Dataset 확보에 대한 조사도 진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 Jeon, Young-mee;Cho, Jin-su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1
    • /
    • pp.131-141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one course with and another course withou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184 student-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ccordingly, more learner-content and learning-system interactions were noted in the course with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Moreover, a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teraction,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indicated the highest effect on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on class satisfaction, and b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Recommendations were then formulated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First, workshops or training focusing on content development and on how to present the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he instructors. Seco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should be activated in the course through various means. In this study, although learner-learner interactions was not given focus, future studied should delve into how learner-learner interaction should be activated and considered.

The Effect of Teaching Nursing Process with Action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액션러닝 적용 간호과정 교육이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Lee, Eun-Mi;Oh, Yun-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47-5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nursing process education applying action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self-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 total of 96 subjects were studied, and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used using spss/win 23. Results show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3.76, p<.001)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r=.730,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701, p<.001), self-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r=.734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nursing course education applied to action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 Study on the Service Management of Libraries for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Environment (e-learning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운영방안 연구)

  • Kim, So-Young;Cha, Mi-Kyeo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3
    • /
    • pp.137-16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current service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aspect of its supporting roles for academic course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an examination of model cases from the U.S.A. and Hong Kong and also an electronic questionnaire survey of 32 academic libraries in Korea(67% response rate).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optimal administrative plans in e-learning environment.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교육모델 개발)

  • Wee, Young-eun;Jung, Hyojung;Lim, Jung-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37-4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learning based education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ave developed a training model that includes definitions of flipped-learning, major learning activities, and operational strategies in each occupation. In addition, delphi survey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model for HRD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pecialists. Finally, the flipped-learning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nsists of three stages: Pre-learning, Main-learning, and Post-learning. Pre-learning stage include Online lectures, Simple tasks, Main-learning stage include Active learning and Coaching-Debriefing lecture, Post-learning stage includes Individual reflection-Additional task performance activities. The educational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the focus on improving the linkage and the performance of the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hysical and Deep Learning Hybrid Flood Forecasting Model for Ungauged Watersheds (미계측 유역을 위한 물리 및 딥러닝 기반 하이브리드 홍수 예측 모형)

  • Minyeob Jeong;Junho Cha;Chaeyeon Jin;Dae-H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4-94
    • /
    • 2023
  • 유역에서의 홍수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강우-유출 모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들은 신뢰성과 적용성이 높아 실무에서 널리 활용되어왔으나, 강우-유출 과정을 단순화하여 고려하므로 유출예측의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또한 모형의 매개변수에 여러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충분한 양의 관측자료를 사용한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들은 유출예측 결과가 비교적 물리적으로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계산 비용 및 수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실무에의 적용이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예측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은 물리적 모형인 동역학파 모형과 개념적 모형인 순간단위도 모형, 그리고 딥러닝 모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유역의 조도계수 및 지형을 활용한 동역학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동역학파 시뮬레이션 결과 및 멱함수로 나타내어지는 비선형적 강우-유출 관계를 이용하여 유역의 순간단위도를 유도였다. 또한, 딥러닝 모형인 LST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손실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강우손실을 계산한 후 유효강우주상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유역 출구에서의 홍수수문곡선은 유효강우주상도와 순간단위도를 활용한 회선적분을 통해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을 시험유역 및 자연유역에서의 홍수 예측에 적용해보았으며, 예측 결과는 NSE=0.55-0.90, R2=0.67-0.95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하는 순간단위도는 한 유역에서 유일하지 않으며, 유효 강우강도의 함수이므로 홍수 예측에 비선형적 강우-유출 관계를 고려할 수 있으며, 수많은 유효 강우강도에 대한 순간단위도들은 멱함수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유역의 강우 특성이나 지표면의 토양수분, 식생과 같은 특성을 딥러닝 모형을 통해 고려함으로써 강우 손실 산정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순간단위도 유도를 위한 기초작업인 동역학파 시뮬레이션은 유역의 지형과 조도계수만을 필요로 하므로 미계측 유역에의 적용이 유리하다.

  • PDF

Prediction of rainfall abstraction based on deep learning considering watershed and rainfall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 및 강우 특성인자를 고려한 딥러닝 기반의 강우손실 예측)

  • Jeong, Minyeob;Kim, Dae-Hong;Kim, Seok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37
    • /
    • 2022
  • 유효우량 산정을 위하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NRCS-CN(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 curve number) 모형으로, 유역의 유출 능력을 나타내는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CN)와 같은 NRCS-CN 모형의 매개변수들은 관측 강우-유출자료 또는 토양도, 토지피복지도 등을 이용하여 유역마다 결정된 값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역의 CN값은 유역의 토양 상태와 같은 환경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을 이용하여 CN값을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AMC 조건에 따른 CN 값의 갑작스런 변화는 유출량의 극단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NRCS-CN 모형과 더불어 강우 손실량 산정에 많이 사용되는 모형으로 Green-Ampt 모형이 있다. Green-Ampt 모형은 유역에서 발생하는 침투현상의 물리적 과정을 고려하는 모형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모형에 활용되는 다양한 물리적인 매개변수들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에 대한 많은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렇게 산정된 매개변수들은 유역 내 토양이나 식생 조건 등에 따른 여러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실무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강우손실 모형들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인공지능(AI) 기술 중 하나인 딥러닝(deep-learning) 기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딥러닝 모형으로는 장단기 메모리(Long Short-Term Memory, LSTM) 모형이 활용되었다. 딥러닝 모형의 입력 데이터는 유역에서의 강우특성이나 토양수분, 증발산, 식생 특성들을 나타내는 인자이며, 모의 결과는 유역에서 발생한 총 유출량으로 강우손실 모형들의 매개변수 값들은 이들을 활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산정된 매개변수 값들을 강우손실 모형에 적용하여 실제 유역들에서의 유효우량 산정에 활용해보았으며, 동역학파 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유출을 예측해보았다. 예측된 유출수문곡선을 관측 자료와 비교 시 NSE=0.5 이상으로 산정되어 유출이 적절히 예측되었음을 확인했다.

  • PDF

The Effect of the Program to Improve Low-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Running High' Program of G University (저성취 대학생 대상 성적향상 프로그램 효과 연구: G대학교의 '러닝하이'를 중심으로)

  • Seo, Eun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1
    • /
    • pp.250-257
    • /
    • 2018
  • The program for low-achievers, named 'Running high' is to provide college students whose GPA was lower than 2.5 with 1:1 learning consultation and special lectures of high achievers. Especially, it supports scholarship only for students who attain the target record of a certain course which they cho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academic achievement, grit, ego-resilience of participants in 'Running high' would be more advanced than before. This study also compared academic achievement, grit, ego-resilience between participants who attain the goal of the program and participants who can not attain it. 110 college students joining in 'Running high' responded pre and post surveys of grit and ego-resilience. Their data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were gath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of participants in 'Running high' were advanced more than before, but not ego-resilienc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between participants who attained the goal of the program and participants who could not attain it were significant, but not ego-resilience.

Future inflow projection based on Bayesian optimization for hyper-parameters (하이퍼매개변수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미래 유입량 예측)

  • Tran, Trung Duc;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7-347
    • /
    • 2022
  • 최근 데이터 사이언스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수자원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네트워크와 BO-LSTM이라는 베이지안 최적화(BO) 기술을 결합하여 일단위 앙상블 미래 댐유입량을 projection하는 딥 러닝 모델을 제안하였다. BO-LSTM 하이퍼파라미터 및 손실 함수는 베이지안 최적화 기법을 통해 훈련 및 최적화되며, BO 접근법은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와 손실 함수를 높은 정확도로 빠르게 최적화할 수 있었다(R=0.92 및 NSE=0.85). 또한 미래 댐 유입량을 예측하기 위한 LSTM의 구조는 Forecasting 모형과 Proiection 모형으로 구분하여 두 모형의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처리 단계가 모델 훈련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이즈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고 미래 예측에 있어 LSTM 구조에 따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양강 유역, 2020-2100년 기간 동안의 미래 예측에 적용되었다. 전반적으로, CIMIP6 데이터에 따르면 10%에서 50%의 미래 유입량 증가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미래 강수량의 증가의 폭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유입량 산정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은 저수지 운영, 계획 및 관리에 있어 정책 입안자와 운영자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