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수학

Search Result 2,80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대학수학 교육 연구의 원칙과 기준들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33-44
    • /
    • 2005
  • 한국의 대학수학 교육에 대한 여러 종류의 관심이 다양한 현실적 필요성에서 대학의 수학 교수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대학수학 교육의 어떤 연구 주제를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연구하여야 연구로서 가치, 타당성 그리고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의 방향, 목표, 그리고 결과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합리적 준거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교수, 교사 또는 교육행정가에게 유용한 정보, 지식 그리고 수업 수행 방법(기술) 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문제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성을 가져야 한다. 학교수학 교육은 국가적 교육과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학수학 교육은 각 대학마다 다른 교육 환경과 목표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에 대학수학 관련 교과(강좌) 또는 수학전공 교과들이 포함되어있다. 다양한 대학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놓여있는 대학수학 교육의 상황 또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원칙과 질적 기준들 무엇인가?를 논하였다.

  • PDF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대학수학 수업의 활용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29-160
    • /
    • 2002
  • 대학수학 수업에서 틈틈이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대학수학(미분적분학의 이해, 생활과 수학) 수업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경우 설명을 하여주고, 놀이를 통한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 과제(216가지, 105가지)를 각각 한 가지씩 내어준 다음 과제들에 대해 직접 실습을 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유아 수학교육과 대학수학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는가를 유아 수학교육 기초 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여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 PDF

Math-Club을 이용한 대학수학 학습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71-282
    • /
    • 2000
  • 수학과가 없는 대학에서 대학수학을 가르치는데 여러 가지 어려운 점들을 Math-Club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또한 그들을 활용하여 수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며 수학에 자신감을 상실한 학생들을 지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Math-Club은 수학 학습 이외의 대학생활과 앞으로 사회에 진출하여 활동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며, 더불어 사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Math-Club이 좋은 배경과 힘이 됨을 알게 한다.

  • PDF

한국 대학 수학과의 상황과 장래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5-32
    • /
    • 2005
  •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의 수학과는 낮은 지원율 신입생 미충원 그리고 전과/편입학/자퇴 등 높은 이탈 등으로 학생자원 부족에서 오는 생존이 위협되는 위기에 처해있다. 실제로 몇 년 사이에 학생 모집이 중단됨으로서 폐과가 진행 중인 대학의 수학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대학교육에서 수학과가 퇴조하는 이러한 현재 상황의 진행이 3-5년 후 대학 및 대학원의 수학전공은 어떤 상황에 있을 것인가? 학생자원 감소라는 현재의 추세가 계속 진행된다면, 대학의 학문 체계와 대학교육에서 수학의 위치 역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대학의 수학전공에 지원하는 학생자원 부족 문제는 진지하게 구체적으로 다루고 도전하고 해결 방안을 구해야 할 문제인가? 아니면 일시적인 퇴조 현상에 대한 기우인가?

  • PDF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 Lee, Jung-Rye;Lee, Gyeoung-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5 no.4
    • /
    • pp.629-639
    • /
    • 2011
  • Currently science and technology are changing so fast and college mathematic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ut the downturn of freshmen's scholastic performance has been intensified and this phenomenon leads to serious problems in managing college curriculums. During the recent years at a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many freshmen had a lot of difficulties in their mathematics courses. In consequence, many of them had hard time to survive at their major curriculums. In this point of view, we analyse the situation of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mong engineering majored freshme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mathematical backgrou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test, college mathematics scores,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scores. We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core of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of freshmen of a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essential reasons for the above situations are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the system of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In order for improving mathematical accomplishment. we give suggestions such as a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in mathematics.

대학 수학교육 연구 -필요성, 방법 그리고 과제-

  • Jeong, Chi-Bong;Jeong, Wa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321-338
    • /
    • 2001
  • 수학의 역사에 비하여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짧다. 1960년대에 미국과 소련의 우주과학 경쟁이 시작되고 수학교육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 후 전문 학회와 논문지가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학문적으로 연구되고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대학 수준의 수학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뒤늦게 1990년대에 시작하였다. 한편 한국의 대학 수학교육은 현재 크게 변화하고 동요하고 있다. 대중화된 대학 교육, 수학 수강생 감소, 대학 수학교육의 개선, 7차 및 중등 교육과정 문제 대학으로 전이, 정보기술의 발전 및 활용 등으로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수학교육 연구의 목적, 문제, 방법, 타당성 기준, 결과의 가치, 교육 개선 응용 등의 학문적 성격이 수학 연구와 크게 다르다. 대학 수학교육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부각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뇌 과학과 인지 과학 연구에 바탕을 둔 실제 학습 모형에 응용할 수 있는 대학 수학 학습 이론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through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in Engineering Freshmen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 Lee, Jung 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513-532
    • /
    • 2015
  •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for freshmen in middle level engineering college, we analyse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between 2011 year and 2015 year freshmen who took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hich are based on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7th and 7th revision, respectively. In A university, 2011 year and 2015 year engineering freshmen were taken basic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given the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iddle level engineering freshmen were poor at basic mathematical ability.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appeared in the level of mathematics ability and the effort for college mathematics class. Moreover middle level engineering freshmen recognize college mathematics as a basic subject for engineering and hope teacher-directed learning in college mathematics class. For the success of college mathematics in engineering college, this study suggests basic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the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We also suggest that college mathematics class must be focused on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대학수학 수업모델의 방향과 평가방법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57-264
    • /
    • 1999
  • 대학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면서 수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3년간의 현장 연구 결과: 1996 학년도 "대학수학 수업 실태의 조사 분석", 1997 학년도 "흥미 및 동기유발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 자료와 평가", 1998 학년도 "대학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에 근거하여 새로운 대학수학 교재(1999. 2월 출판)와 실습교재 미분적분학을 위한 Mathematica 연습(1999. 2월 출판)을 만들고, 수업 진행을 협동학습과 수준별 학습에 바탕을 두어 한 학과 40명의 학생들을 5명씩 8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여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시도해보고 이 수업 모델이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었는지, 호응을 얻었는지에 대한 비교를 1999학년도 1학기 말에 SPSS/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하려고 한다.

  • PDF

대학수학과 직업 수학교육

  • Yang, Yeong-Gyun;Lee, Jeong-Nam;Kim, Yeong-Si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309-315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대학과정의 수학 교육과정 중에서, 실업계 고교를 졸업하고, 대학입학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지 않고, 야간에 공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수학교육을 능률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실제의 현장학습교육을 통하여 교육한 학습모델을 토대로, 검증된 자료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대학수학에서, 글쓰기를 통한 호의적인 태도변화 모색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411-422
    • /
    • 2001
  • 대학수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수학전반에 대한 학습진단, 느낌, 대책, 자기경험등 여러가지를 발표토록하여 바람직한 수학관을 갖고 수학학습태도를 기르도록 도움을 줄 기회를 갖게 하며, 수학이 중요하고 필요함을 깨우쳐 수학이 그들 인생의 동반자가 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