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도서관 이용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초

사용성 평가를 통한 dCollection 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Systems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through Usability Tests)

  • 김현희;정경희;김용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7-350
    • /
    • 2006
  • 本 연구에서는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활성화의 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기관 리포지토리로 알려진 dCollection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평가 기준으로는 유용성, 유효성 등의 다섯 가지 기준을 이용하였고, 평가자로는 기관 리포지토리 담당 사서(30명) 및 제출자(30명) 그룹들을 활용하였다. 분석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학 환경에서의 기관 리포지토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 방안은 시스템의 관리, 제출 및 검색 모듈의 핵심 화면들을 중심으로 해당 화면에서의 구조적 및 시각적 디자인, 기능, 접근성에서의 문제점들을 예시하고, 그 해결책들을 제안하였다.

  • PDF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 유경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80-591
    • /
    • 2016
  • 본 문헌분석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1년간 발표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관련 문헌을 분석한 연구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학교적응 방안과 대학 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문헌분석은 3개의 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자료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를 통하여 문헌 탐색기준에 의해 선택하였으며, 최종 24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이 중 20편은 상관관계연구, 4편은 실험연구이었다.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연구는 2009년부터 매년 1편씩 연구되다가 2012년부터 매년 5-6편으로 증가되어 대학 신입생의 적응에 대해 관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24개 문헌들에서 이용한 학교적응 조사도구는 Baker와 Siryk(1984)가 만든 도구를 23편에서 이용되었다. 분석된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평균은 3.2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수는 20개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중 외향적 성격, 가족과 사는 경우, 나이가 많은 경우, 학과에 만족한 경우, 학교생활에 만족한 경우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자기효능감 증진방안, 스트레스 관리, 대학신입생을 위한 멘토-멘티 프로그램,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등을 학교와 학과에 맞게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인터넷 웹을 이용한 연구자문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s-related Research Consulting System by Using the Internet Web)

  • 김현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7-287
    • /
    • 1997
  • 전통적인 정보 서비스는 일회적이며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제전문가와 지식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구자에게 프로젝트 단위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연구자문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효율성을 평가해 본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도서관의 한 구성요소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가상대학의 원격교육에서 교육자와 피교육자를 연결해 주는 교육 및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대학교수들의 학술정보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s of Scholarly Information Seeking of University Faculty)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54
    • /
    • 1999
  •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 대학 교수들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이용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특히 교수들의 연구 활동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입수하는데 사용되는 수집경로, 즉 탐색방법을 조사함으로써 학술정보 탐색행태를 이해하고 나아가서 학술정보 유통과정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이 원하는 최적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서관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입수 방법에 대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고, 개별 면접을 통하여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를 5단계 척도로 3개 전공분야 교수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분야 교수들간에 전공별로 15개 문항 중 11개 문항에서 중요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수의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15개 문항 중 7개 문항만이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서혜란;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30
    • /
    • 2015
  • 장애인의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장애대학생도 증가하고 있지만,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의 정보접근권 보장과 정보복지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대체자료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 공급체계와 시각장애대학생들의 대체자료 이용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담당자와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 방안으로 1)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역할 강화, 2)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3)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제도적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디지털 장서의 공정이용에 관한 법제도적 고찰 - 「저작권법」 제31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egal Prospects of Digital Collections' Fair Use: Focused on the Article 31 of Copyright Act)

  • 김수진;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1-175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조약과 국내외 법령에 나타난 저작권의 제한과 예외에 관한 내용을 살피고, 디지털 장서의 공정이용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 판례를 분석하여, 디지털 장서의 공정이용을 위한 법제도적 전망을 논한다. 선행연구 분석과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공정이용의 법리를 파악하고, 디지털 장서의 정의 및 유형을 알아본다. 공정이용을 둘러싼 실정법 체계의 이해를 위해 "베른협약", "세계지식재산권기구 저작권조약" 등 국제조약, 영국, 미국, 독일, 유럽연합 등의 국가별 법령, 그리고 국내법 상에 나타난 저작권의 제한 및 예외 규정을 살피고, 도서관 장서의 디지털 형태 전환과 부가서비스의 허용 여부 및 범주가 쟁점이 되었던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과 유겐 울머 출판사 간의 분쟁에 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례를 분석하여,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현행 저작권 체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음악학 연구자원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 정보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Facilitating the Use of Research Sources in Music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ers' Information Needs)

  • 홍인경;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66
    • /
    • 2019
  • 본 연구는 음악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요구와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음악학 분야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국내 음악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음악학 연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현황, 음악학 연구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 및 연구자원 이용의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학 분야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원의 수집과 체계화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음악 주제전문사서의 양성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사서와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악학 연구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기관과 문화예술기관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의 제공 및 서비스 개발에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의 목록이용행태의 일고찰 (A study of the searching behavior at the catalog in a university library : case study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1-31
    • /
    • 1982
  • A library catalog is most important finding tool to a library collection. This tool should be so designed as to enable users to handle with ease and convenience. Library catalog use study is necessary in order to identify the demands made on the catalog by its actual users and to measure the adequacy with which the catalog is meeting these demands. Many major catalog use surveys were performed by means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but these methods are so difficult and perverse that the results of catalog use studies might often be far from scientific preci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guidelines with which one might assist the catalogers in providing an effective library catalog for their patrons. In order to get the first-hand information an actual survey was undertaken on searching behavior at the catalog of Jeonbu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5, 1981 and from May 17 to May 22, 1982.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students (79.77%) use the library. 2. Most of the library patrons (74.52%) use the public catalog as the searching tool to the library collection. 3. 67.85%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in searching materials written i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4. 72.86%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in searching known items at catalog. 5. In known item searching, 49.44% of the catalog users choose title entry. 6. 20.17% of the catalog users are interested subject searching at the catalog. 7. Reference card is not utilized in searching. 8. For the translated items users want double entries in both vernacular and Korean. 9. At current catalog description, author, title, call number, translator, publisher and joint author are useful entry. Edition, author's date of birth and death, illustrative, size of book and bibliographical notes are not much utilized. 10. 55.39% of the catalog user need systematic guidance on how to use the library catalog and collection.

  • PDF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소고 (Study on the university library instruction)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33-61
    • /
    • 1982
  •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the university library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To keep abreast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explosive increase of knowledge, the university library must also find new a n.0, pproaches to better serve the users in the university community. Also, on the part of university faculty, instructional methods must be improved from text book oriented education toward assignment oriented education. To facilitate effective teaching,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y and its efficient use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indispensab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and to find out current practice among students and professional librarians on the library instruction in order to find ways to strengthen and improve it. A specially design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current status.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university students received some guidance on library utilization as part of their freshman orientation program.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elementary nature of the guidance program was insufficient for their subsequent actual attempt to use. Students are not familiar with library organization, search procedure, and they lack basic knowledge on library service available to them. (2) Problem areas related to library instruction are insufficient amount of time allocated for the guidance program, big size of orientation program, and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etc.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 above mentioned problem areas be overcome through cooperative and concerted efforts among faculty members, professional librarians, and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by increasing library instruction hours, improving the contents of program in its scope and depth to be practically useful. To sum up, the lecture oriented education should be shifted toward library oriented education by improved instruction program on library use.

  • PDF

대학도서관 전자저널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P대학교 기계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E-Journal Evaluation Model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원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5-184
    • /
    • 2008
  • 이 연구는 전자저널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전자저널의 개념 및 특징 파악, 평가모형 개발, 그리고 평가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평가모형은 전자저널의 양적측면과 질적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P대학교 도서관이 구독 중인 ScienceDirect 수록 저널 중 기계공학분야 저널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P대학교가 2000년부터 기계공학분야의 주요저널로서 선정 구독해온 22종의 저널 중 10종(45.5%)이 여전히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종의 기계공학분야 주요저널은 양적측면보다 질적측면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2000년 당시 패키지 형태로 서비스되기 시작하였던 77종의 기계공학분야 저널 중 14종이 종합평가 결과 주요저널로서 구독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난 8년간 P대학교 연구자들이 이용해온 총 99종의 기계공학분야 저널의 중요도에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연구진의 교체, 학계의 연구 동향 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