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도서관 영향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도서관이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an Academic Library on its Users)

  • 표순희;김민정;김현수;안혜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3-186
    • /
    • 2011
  • 그동안 대학도서관의 평가는 장서량, 서비스 제공, 이용자의 만족 수준과 같은 도서관 운영차원의 성과에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대학도서관이 이해관계자인 학생, 교수, 기관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제공하고 나아가 모기관의 사명과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영향력 및 가치측정을 위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영향력을 학생, 교수, 대학 당국과 같은 모기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이에 따른 측정요소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도서관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학생의 학업, 성공, 성취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교수는 강의의 성공, 연구생산성을 통해, 대학은 대학의 명성에 도서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측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An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Librar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윤기찬;이순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65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통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LibQUAL+에서 사용된 척도를 대상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측정해 보고,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SEM)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도서관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어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대학도서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유진;곽승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년도 제1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51
    • /
    • 2011
  • 사회 전반에 걸쳐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도입을 통해 이용자와 소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률이 높은 도서관과 낮은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이용 및 비이용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가치측정 사례연구 - 참고서비스와 기술서비스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Valuation Case Study on Academic Library Services : Focused on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s & Technical Services)

  • 안혜연;정진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년도 제1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4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실용주의 입장에서 대학 및 그 부속기관들의 평가가 경제적 가치의 평가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현상을 배경으로 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의 가치측정을 위한 기반 연구로써 대학도서관 서비스들 중 참고정보서비스와 기술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들 서비스가 가지는 상이한 특성으로 인한 각 연구들의 측정접근 방법 및 절차와 결과의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의 영향력이나 가치와 관련한 최근 문헌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대학도서관의 가치측정의 방향과 방법론적인 틀을 검토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측정모형 구축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Collection Profiles of Western Monographs with ILL Data for Academic Libraries)

  • 최원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9-129
    • /
    • 2019
  • 대학의 재정 악화는 대학도서관 예산 삭감으로 이어지고, 특히 자료구입비 예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호대차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과 같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KERIS 종합목록의 서지와 상호대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대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1년에는 대규모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양서 상호대차의 제공이 이루어졌으나, 2014년 이후 점차적으로 고유장서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주요 권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권역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기관이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2012년에는 서양서 소장 종수가 많고, 공통장서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고유장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제공 측면에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서양서 소장과 상호대차 지수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에 따른 6개 군집의 대학도서관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자원공유를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디지털 정보자원 보존의 위험관리 분석: 대학도서관 전자정보실 중심으로 (Risk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Preserv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9
    • /
    • 2003
  •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cademic Library Usag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도서관 이용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는 S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이용과 학생들의 평점평균(GPA) 정보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검증은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서관 이용요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관계 규명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이용요인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학술정보 자료와 학습시설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이 더 높은 등급의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교육 및 연구성과에 미치는 대학도서관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the Academic Library on College Education and Research Performances)

  • 서만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43-27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과 연구성과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의 직접적인 영향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정보공시센터 대학알리미의 공시대상학교 144개교이며, 자료는 대학알리미와 KERIS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의 교육성과는 '1인당 열람석수'를 제외한 '도서관 이용환경' 변수와 대체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일부 변수는 교육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로 대학의 교육성과는 '도서관 이용결과' 변수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특히 도서관 대출, 도서관 방문, 상호대차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대학의 연구성과는 도서관 시설 규모를 제외한 '도서관 이용환경' 변수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특히 장서 관련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연구성과는 '도서관 이용결과'의 변수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직접적인 영향력은 국내 논문수를 제외하고, 공통적으로 '천명당 원문복사 신청수', '1인당 상용DB 이용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관리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Leadership in University Libraries for Change Management)

  • 이경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5-164
    • /
    • 2011
  • 인터넷과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오늘날 한국 대학도서관은 사서감축이나 혹은 이용자 감소 등으로 인하여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화과정에 많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기업의 변화관리에 관한 문헌들을 참조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학도서관은 사서들이 공감하는 위기의식을 이끌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들에 의해 비전제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비전은 단순히 제시되는 것보다 이를 실천해야 한다.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서 관리자와 영향력 있는 일반 사서들이 리더십을 공유하는 것이 현 시점의 대학도서관에서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본다. 나아가 사서들을 위한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이 필요할 때이다.

대학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K대학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Library Users)

  • 김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1-299
    • /
    • 2008
  • 본 연구는 유럽의 고객만족도모델(ECSI)을 적용하여 대학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이 도서관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와 도서관의 지속적인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지는 대학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6개(전자자원, 인쇄형태자료, 제공프로그램, 도서관시설, 열람환경, 직원의 전문성 태도)의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 중 인쇄형태자료. 열람환경 직원전문성 태도가 이용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열람환경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인쇄형태 자료, 열람환경, 이용자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은 이용자들의 충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열람환경품질개선, 인쇄형태자료의 품질 개선, 직원의 전문성 및 태도에 관한 품질개선을 통해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