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기업

Search Result 1,8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신입사원 교육 프로그램으로 본 대학교육의 필요점

  • Lee, Yeong-Hun
    • 대학교육
    • /
    • s.148
    • /
    • pp.81-86
    • /
    • 2007
  • 대학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다면, 기업도 대학교육을 위해 훨씬 더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 대학이 더 자주 만나야 한다. 신입사원들에게 요구하는 대인관계와 협동정신을 대학과 기업이 서로를 향해 발휘한다면, 대학과 기업, 그리고 대학을 졸업한 신입사원 모두가 Win-Win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Interaction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 the U.S. (미국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

  • Kim, Hyung-J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1
    • /
    • pp.51-70
    • /
    • 2005
  • Knowledge has become a primary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knowledge workers, people whose jobs require formal and advanced schooling, are one of the fastest growing groups in workforce. With the rise of a knowledge-based economy, highe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economic development.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added translation of research into products and new enterprises to their educational functions while companies have increased their external links to keep pace with rapidly changing and increasingly complex business environments. These changes have strengthened the rol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industrial innovation which is a key to economic development. This research reviews characteristics of U.S. hig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teraction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 the U.S. The case of IT industries, where U.S. has a competitive edge, provides specific examples and implications. Four major routes of interaction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anies are suggested to provide a research framework for future studies in this area.

  • PDF

대학창업생태계와 창업보육센터의 성과

  • Son, Yun-Jeong;Choe, Jong-In;Seol, Myeong-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07-114
    • /
    • 2018
  • 기업, 대학, 정부는 창업을 활성화하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발전하며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정부는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은 창업활성화의 중심에 있고 그 중심에는 가장 오래된 전담조직인 창업보육센터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생태계가 대학의 창업보육센터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창업생태계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의 관심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장의 리더십, 매니저의 전문성과 적극성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입주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고 성장시키기 위해서 기업 대학 정부는 상호협력 해야 하며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PDF

산학현장을 찾아

  •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 대학교육
    • /
    • s.151
    • /
    • pp.86-89
    • /
    • 2007
  • '산학현장을 찾아' 에서는 2008년 한 해 동안 회원대학의 학교기업에 대해 게재할 예정이며, 이번 호에서는 학교기업협의회의 도움으로 학교기업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산학연계 프로젝트 과목 운영을 통한 효과적인 산학협력 방향 고찰

  • 신영길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5
    • /
    • pp.24-28
    • /
    • 2004
  • 대학과 기업 간의 상호협력은 기술 혁신이라는 대명제 하에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의 필요성 또한 여러 보고서에서 언급되었다[1,2,3,4]. 가장 보편화 되어 있는 산학협력으로는 대학이 기업의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수행하는 형태로써, 이를 기반으로 대학은 기업이 갖고 있는 상업화 감각을 배우고, 기업은 대학이 갖고 있는 최신 기술 동향을 얻을 수 있다.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간 관계 연구

  • Byeon, Ji-Y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23-127
    • /
    • 2020
  • 4차산업 이래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경기악화로 인해 청년실업율이 지속적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구조 변화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진로역량에 영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일자리창출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대학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세를 이어 왔고, 더불어 주요 창업지원성과라 볼 수 있는 창업자수·고용인원수·매출액 성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창업교육이 어떠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창업교육은 주로 국내 교육 및 해외교육 현황이나 일부 역량관점으로 대학 창업교육을 다루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아직 역량관점에서의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도입단계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학에서는 실질적인 창업지원 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창업교육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또한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다면 사회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창업교육의 양적성장에 이은 질적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유럽에서는 수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역량을 국민의 전생애역량으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에 적용해 오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 별로 3~5단계 내외의 교육체계를 세우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씽킹이나 캡스톤디자인식 등의 창업교과목과 같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도 다소 증가하고는 있으나 주로 창업스킬 중심의 교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통해 사업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가를 육성해야 하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계의 다양성에 더하여 이제는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관점으로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 간 관계를 밝혀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 Competence) 개념을 기반으로 4년제 창업선도대학의 역량별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 간 연관성을 밝혀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교육 지원체계를 고도화 함에 더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역량을 제고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를 높이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사명감을 가지는 바람직한 기업가를 발굴하고 육성함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Impact of Governmental Fiscal Assistance on R&D Investment of Business Enterprise and University: Focusing on the Asymmetric Relationship (정부의 재정지원이 기업과 대학의 연구개발투자(R&D)에 미치는 영향: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 Kim, Jong-He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2
    • /
    • pp.137-167
    • /
    • 2013
  • This article estimates the scale of impact of expanding governmental fiscal expenditure for R&D investment on the private business enterprise's investment for R&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terprise and university for expanding investment of R&D. According to my results, first, an expanding fiscal expenditure from government for R&D investment leads to increase R&D investment from business enterprise. However, an expanding expenditure from university rather leads to decrease R&D investment from business enterprise. Secondly, the crowding-out effect of expanding R&D investment from University on business enterprise's is very strong, and it is affected by structural changes such as the country's economic power, fiscal stance and cyclical volatility. Third, the more governmental expenditure on university expansive is, the stronger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terprise and university is, and investment sources of university from business enterprise is the main factor of this relationship. Finally, it is not easy to solve out this asymmetric relationship even through the governmental subsidy.

  • PDF

Successful ERP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s (대학 정보화를 위한 ERP 시스템 성공전략)

  • Kim Yeong-Real;Jeong Seon-Phi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9 no.4
    • /
    • pp.80-89
    • /
    • 2004
  • 정보기술의 급진적인 발달로 경쟁이 점점 심화되어져가고 있는 환경 속에서 경쟁적 우위를 갖기 위한 기업들의 끊임없는 노력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예측하여 신속하고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기업뿐만 아니라 대학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 국외의 많은 대학들이 ERP시스템을 도입한 실정이고, 국내에서는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연세대학교가 일반 행정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SAP R/3를 도입했고 향후 학사 행정 시스템과의 통합을 모색 중이다. 정부에서도 국$\cdot$공립 대학들의 행정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차세대 행정업무시스템으로 ERP 시스템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국내 대학에 ERP 시스템의 도입을 제안하였고, 기존에 선행 연구된 연구 자료를 비교$\cdot$분석하여 기업의 ERP 시스템 구축 성공요인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초기단계에 있는 국내 대학의 ERP시스템 도입에 대학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고, 앞으로 국내 대학의 ETP시스템 도입이 증가할수록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ooperative Curriculum Establishment and Council Organization between University and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for IT Manpower Cultivation (맞춤형 IT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중소기업' 공동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산학협력 방안 연구)

  • Shim, Jae-Rue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9
    • /
    • pp.2113-2119
    • /
    • 2010
  • In this paper, the cooperative curriculum between university and company according to the 'Type of IT Business(TIB)' is proposed for an IT manpower cultivation. The cooperative curriculum is established by the core technology from the matching table between 'Type of IT Business(TIB)' and 'Class of IT Techniques(CIT)'. The company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curriculum gives a guarantee of the job position to th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is cooperative curriculum. For the cooperative curriculum, the agreement is needed between university and company for the establishment and its operation of UCCCC(University and Company Cooperative Curriculum Council) after an exchange of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MOU) including the supply-demand of IT manpower, the core technology, and the job conditions. The cooperative curriculum will be useful for employments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Ha-Yeo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77-180
    • /
    • 2018
  •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경제가 급속도로로 발전했으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했다. 저 출산 및 고령화, 환경오염, 실업률 증가, 지역 사회 붕괴, 사회적 가치 창출 및 공유 미흡등 사회적인 약자가 증가하고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지면서 사회적 서비스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을 말한다.(사회적기업진흥원, 2017) 사회 전반적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전들은 많다. 하지만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을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사회적 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과 벤처 창업 의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사회적 기업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으로는 개인적 특성(위험 감수성, 혁신 추구성, 진취성, 사회가치지향성), 사회문제 상황인식(문제인식, 관여도), 대학의 사회적 기업 정보등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회적 기업을 창업? 잠재적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을 도와주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 기업 창업에 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