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 경로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Evacuation Algorithm from Coastal Inundation (해안침수 대피경로 알고리즘 개발)

  • Kim, Won Beom;Jung, Woo Chang;Son, Kwa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5-355
    • /
    • 2020
  • 최근 쓰나미와 해일 등 이상기후에 의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가 빈번해지고 있다. 태풍 매미의 경우, 피해규모는 인명피해 130명, 이재민 4089세대 10975명, 재산피해 4조 7810억원이며 침수피해는 규모는 주택 21,015동과 농경지 37,986ha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태풍은 경남 사천시 부근 해안에 상륙할 때의 중심기압은 950hPa로 중심부근 최대풍속 40m/s 이었으며 풍속 15 m/s 이상으로로, 태풍의 강도는 [강], 크기는 [중형]이었음에도 그 피해는 과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내륙과는 달리 해일 등의 피해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피해 저감기법은 월파방지 파라펫 설치 또는 침수예상 지역의 지반고를 높이는 이외에는 확실한 대책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해안지역 침수예방은 월파방지 파라펫과 함께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선행시간을 통한 대피안내와 가장 효율적인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지역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역 침수를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부정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매미 당시 창원지역의 침수피해 결과와 비교하여 프로그램 모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해안을 따라 다양한 높이의 월파방지 파라펫을 모의하여 시간대별 대상지역의 침수규모를 시간대별로 예측하였다. 모의결과 월파방지 파라펫 규모 별 침수규모와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규모를 산정하였으며 경제성 원칙에 따른 최적의 파라펫 규모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때 시간대별 침수범위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제시하고 일정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도로 경사와 대피자의 연령 등을 고려한 대피소요 시간을 산정하여 침수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대피가 가능한 대피경로를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대피경로와는 달리 다양한 침수저감 기법규모에 따라 다양한 대피경로를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양한 대피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oute Optimization for Emergency Evacuation and Response in Disaster Area (재난지역에서의 대피·대응 동시수행을 위한 다중목적 긴급대피경로 최적화)

  • Kang, Changmo;Lee, Jongdal;Song, Jaejin;Jung, Kwangs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617-626
    • /
    • 2014
  • Lately, losses and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have been increasing. Researchers across various fields in Korea are trying to come up with a response plan, but research for evacuation plans is still far from satisfactory. Hence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hat could find an optimized evacuation route for when disasters occur over wide areas. Development of the model used methods including the Dijkstra shortest path algorithm, feasible path method, genetic algorithm, and pareto efficiency. Computations used parallel computing (SPMD) for high performance. In addition,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a virtual network to check the validity. Finally the adaptability of the model is verified on a real network by computating for Gumi 1stNational Industrial Complex. Computation results proved that this model is valid and applicable by comparison of the fitness values for before optimization and after optimization.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routing for responder vehicles as well as planning for evacuation by objective when disasters occur.

A Design of Guidance System for Effective Fire Escape Path based on Digital Twin (디지털 트윈 기반 효과적인 화재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설계)

  • Kim, HyungJeong;Yoo, Seoyeon;Im, HyoGyeong;Kim, KangGyoo;Yun, NaRi;Moon, Yong-min;Ha, Ok-K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83-384
    • /
    • 2020
  • 다중 이용시설, 학교, 주택 등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곳은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대피하기가 어렵고, 기존의 비상등 표시 방법, 일회성 대피 안내 등으로 인해 화재 상황의 다양한 변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인식된 화재 요소를 반영한 화재 대응 및 피난 시뮬레이션(Fire Dynamic Simulator & Pathfinder)을 통해 안전한 대피 경로를 도출하여 안내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화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실시간 인원변동 및 변화하는 화재변수에 대비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른 적극적인 대피 훈련과 실제 상황에서의 긴급한 상황에서의 대피경로 도출과 안내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Proposal of safe fire escape system for the day-care center and the kindergarten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화재 대피용 안전 경로 시스템 제안)

  • Choi, Jun-Ho;Kwon, Mee-Rh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6
    • /
    • pp.297-301
    • /
    • 2015
  •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re increasing along with the damage caused by fire year after year. Infants and toddlers have a low response capability than adults to fire situations such as heavy smoke which causes less or zero visibility thus it is difficult in evacuation route during dangerous fire situations. Because of these circumstances, teachers need to build a safe pathway signage system along with the usual fire safety training needs of infants and childr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fire escape which marks the escape routes and are automatically implemented through the push function that smartphone recognizes during the real-time fire situation, and establish a system that verifies its authenticity.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timal Evacuation Route through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in Case of Fire (화재발생 시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한 최적대피경로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Daeill;Jeong, Juahn;Park, Sungchan;Go, Jooyeon;Yeom, Chu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96-110
    • /
    • 2020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it is easily exposed to various disasters such as fire, flood, and earthquake. In particular, large-scale disasters have continuously been occurring in crowded area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and public facilities where various people stay.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ct a fire occurred in crowded facilities early in the event to analyze and provid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using big data and advanced technology. Method: The researchers propose a new algorithm through context-aware 3D object model technology and A* algorithm optimization and propose a scenario-based optimal evacuation route selection technique. Result: Using the HPA* E algorithm, the evacuation simulation in the event of a fire was reproduced as a 3D model and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and evacuation time were calculated for each scenario.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reduce fatalities and injuries through the evacuation induction technique that enables evacuation of the building in the shortest path by analyzing in real-time via fire detection sensors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flame, and smoke.

A Study of Evacuation Map Designing Algorithm in Forest Fire (산불대피지도 작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Myeoung-Hun;Lee, Byung-Doo;Kim, 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9-293
    • /
    • 2011
  •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인접 마을 등에 대한 피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피 대상자들이 재해 약자들로 구성되어있어 산불 대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 대피지도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산불의 진행경로 및 확산에 따른 적정한 대피경로를 제시함으로서 인적 피해를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Development on Positioning of Stream Shelter (이재민 수용소의 위치선정 개선방안 제시)

  • Park, Dong-Hyeok;Ahn, Jae-Hyun;Sin, Cha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60-960
    • /
    • 2012
  •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의해 홍수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는 주민대피체계를 제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재민 수용소의 인원이 부족하거나, 대피로 경로가 안전하지 못하여 2차 피해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곳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해가 발생한다면 2차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재민 수용소의 추가 지정과 대피로 경로를 새로 지정한다면, 재해 발생 시에 피해를 줄이고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 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령군이 현재 지정하고 있는 이재민 수용소 및 대피로를 평가하여 이재민 수용소를 재선정하였다. 의령군은 위험지역에 대해서 32개의 이재민 수용소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규모는 7,165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 중 봉수면과 의령읍은 이재민 수용시설의 규모가 대상지역의 대피 인원보다 작게 조사되어 이재민 수용소의 증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례천의 대피로는 하천을 wlsk가야 하는 경로로 지정되어 있어 2차 피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용인원이 부족한 이재민 수용소에 대해서는 증원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재민 수용소의 위치는 피재자의 평균보행속도를 고려하여 15분 동안에 남녀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거리인 1,125m 이내에 위치하는 이재민 수용소를 채택하였다(유완, 도시의 재해대피소 적정 위치선정 2005). 이재민 수용소의 적절한 위치 선정을 통하여 지정한다면 재해발생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ustomized Evacuation Pathfinding through WSN-Based Monitoring in Fire Scenarios (WSN 기반 화재 상황 모니터링을 통한 대피 경로 도출 알고리즘)

  • Yoon, JinYi;Jin, YeonJin;Park, So-Yeon;Lee, HyungJun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1 no.11
    • /
    • pp.1661-1670
    • /
    • 2016
  • In this paper, we present a risk prediction system and customized evacuation pathfinding algorithm in fire scenarios. For the risk prediction, we apply a multi-level clustering mechanism using collected temperature at sensor nodes throughout the network in order to predict the temperature at the time that users actually evacuate. Based on the predicted temperature and its reliability, we suggest an evacuation pathfinding algorithm that finds a suitable evacuation path from a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safest exit. Simulation results based on FDS(Fire Dynamics Simulator) of NIST for a wireless sensor network consisting of 47 stationary nodes for 1436.41 seconds show that our proposed prediction system achieves a higher accuracy by a factor of 1.48. Particularly for nodes in the most reliable group, it improves the accuracy by a factor of up to 4.21. Also, the customized evacuation pathfinding based on our prediction algorithm performs closely with that of the ground-truth temperature in terms of the ratio of safe nodes on the selected path, while outperforming the shortest-path evacuation with a factor of up to 12% in terms of a safety measure.

A Design of a fire escape servie model based on contexts (상황정보 기반의 지능형 화재 대피 서비스 모델 설계)

  • Jeong, Ho-Seok;Joo, Myeong-Joon;Yoon, Seung-Hwan;Jeong, Joo-Yeon;Cho, Y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38-240
    • /
    • 2011
  • 수많은 건물들이 세워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 역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추어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의 화재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시 다양한 상황정보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사용자 스마트 기기로 알려주는 상황정보 기반의 지능형 화재대피 서비스 모델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 모델은 센서가 실시간으로 건물 내부를 감지하고 화재 여부 및 화재지역, 연기량, 사람수 등의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대피경로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해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 이 시스템 구현으로 건물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elligent evacuation systems considering bottleneck (병목 현상을 고려한 지능형 대피유도 시스템)

  • Kim, Ryul;Joo, Yang-i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9-70
    • /
    • 2017
  • As the industry develops, the size of buildings and ships are getting bigger and more complicated. In such a complex space, emergency evacuation systems are requir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casualties when an accident situation occurs. However, because present systems are composed of basic devices, such as alarms, emergency exit signs, and announcement regarding the situation and inform only the least information to evacuees, evacuees are not able to judge objectively.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evacuation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se studies aim to search evacuation routes based on specific risk factors or to model the effects of bottlenecks in evacuation situation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pply to real systems. Therefore, we propose algorithms to search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onsidering various risk factors such as fire and bottleneck in evacuation situations and to be applicable in actual situation in this paper.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computer simulation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is effecti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