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역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Simulation study of smoke spread prevention using air curtain system in rescue station platform of undersea tunnel (해저터널 구난역 플랫폼 화재연기확산 방지를 위한 에어커튼 시스템 차연성능 시뮬레이션 연구)

  • Park, Sang-Heon;An, Jung-Ju;Han, Sang-Ju;Yoo, Yong-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7 no.3
    • /
    • pp.257-266
    • /
    • 2015
  • This study introduce that we studied optimization and possibility of smoke spread prevention with air-curtain system in undersea tunnel named from Ho-Nam to Jeju line in domestic if a fire break out in train. To verify performance, air-curtain system is installed between rescue station platform and each door of passenger car to provide safety route to evacuator and we studied simulation model of various cases about 15 MW fire severity considering domestic specifications. As a result we verified the fact that CASE1(air jet with 15degree toward passenger car) and CASE 5 (air jet with 15degree toward passenger car and pressure air blast from cross passage) is best Smoke Spread Prevention and less inflow carbon monoxide. Through above results, we expect that air-curtain system is one of the facilities for fire safety and provide us safety platform route in undersea tunnel.

An Experimental Study on Change of Evacuation Critical Depth in Underground Space (실증실험기반 지하공간 침수 대피 한계수심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erim;Keum, Hojun;Ko, Taekjo;Joo, Jaeseung;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0-80
    • /
    • 2021
  • 2020년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중부 및 남부지방에 폭우가 발생하여 강남역을 비롯한 지하철 역사와 지하 주차장 등 많은 지하시설이 침수되었고, 부산에서는 침수된 지하차도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사망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다. 지하에 설치된 시설들은 침수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거슬러 대피해야 하므로 낙상과 그로 인한 익사 등 자칫 큰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피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대피 가능한 최대수심(한계수심)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한계수심을 제시한 여러 연구가 있지만 대부분 소수의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이기 때문에 성별, 연령, 체중 등 다양한 유형의 사람을 고려한 대피방법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참가자의 유형(성별, 연령, 체중, 신장)에 따른 대피시간의 차이를 고려한 한계수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30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남성은 164명, 여성은 144명이었다. 참가자의 연령은 14세부터 75세까지이며, 신장은 최소 145cm에서 최대 187cm, 체중은 35kgf에서 110kgf 범위이다. 대피시간은 물이 흘러 내려오는 5.1m 길이의 계단을, 난간을 잡은 채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계단 상층부의 수심이 30cm일 때와 40cm일 때(한계수심 조건), 2회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이 종료된 후, '안전하게 대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심'을 선택하도록 하여 참가자가 체감한 실험 난이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 향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경우 수심 30cm와 40cm의 평균 대피시간이 4초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남성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안전하게 대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심'에 대한 답변으로 다수가 실험의 최대 수심 조건인 40cm 이상을 선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실험의 난도가 높지 않았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참가자의 안전을 고려해 실험 조건을 난간을 잡은 채 보행하도록 설정한 것이 한계수심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유형에 따른 대피시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험의 한계수심 조건을 높이거나, 난간을 잡지 않고 보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추가하는 등, 실험조건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으로 난간을 잡은 채 보행하는 것이 한계수심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정량적인 대피가능 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basic research on the trap evacuation for emergency escape (비상탈출용 대피트랩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Choi, Kyu-Chool;Ra, P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22-330
    • /
    • 2010
  • 초고층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는 건축물 화재 시 고층에서 보다 빨리 피난할 수 있는 구조적 피난설비를 요구한다. 기존의 구조용 완강기나 구조대는 고층에서는 피난자의 공포감을 충분히 해소하기에 역 부족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성능을 갖추어 동시에 다수의 피난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층에서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층까지 무사히 대피가 가능한 유압식 피난기구를 고안하고, 개략 설계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향후 상세설계를 마친 후 고층 건축물에 적용되어 안전한 피난기구가 되었으면 한다.

  • PDF

GIS Based Analysis for the Capacity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in Cheonan - Focused on Class-2 Shelters in Old Downtown (GIS를 활용한 천안지역 대피시설의 현황 및 수용능력 분석 -구도심지역의 2등급 대피시설을 중심으로)

  • Lee, Heewon;Sung, Mi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9
    • /
    • pp.4572-4579
    • /
    • 2013
  • South Korea people and government pour growing interest on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due to recent threatening of North Korea provocation. However, survey says the border area suffers lack of 278 shelters compared to population, needless to say the lack of class-2 shelter in case of provocation. Firstly, this study visualized the evacuation buffer area and summarized acceptable population for all class (1~4) shelters in Cheoan neighbor(dong). Specifically, for the class-2 shelter coverage in old downtown neighbor (Sungjung-dong, Jungang-dong, Munsung-dong), this study calculated evacuation excluded population and deficient shelter area through GIS buffer analysis. As a result, the old downtown needs $25,546m^2$ shelter area more that can accommodate 56%(30,657man) of the population.

An Analysis on Evacuation Scenario at Metro-stations using Pedestrian Movement-based Simulation Model (보행류 기반 도시철도역사 평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대피 시나리오 분석)

  • You, So-young;Jung, Rea-hyuck;Chung, Jin-hyuc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2
    • /
    • pp.36-49
    • /
    • 2016
  • A subway system is one of the major transportation modes at a metropolitan area. When it meets the other lines, the metro station, so-called transferring station, is usually threatened by severe pedestrian congestion and safety issue of transit users including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lthough transportation planners forecast travel demand at the beginning, it is not easy to predict pedestrian flows precisely for a long term if land use plans have dramatically changed. Due to expensive costs, structural extension of metro stations is limited. Therefore, it requires efficient and technical improvements as meeting the demand of pedestria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core mechanism of pedestrian movement-based simulation model was introduced and evacuation scenarios were analyzed with the developed model. As a result, the multiple optimal routes for unexpected events at the solid space of the multiple stories are easily searched through the simulator and in the case of Sadang Station, travel time can be reduced by 60% when the evacuation information and intuitive design are provided.

Railway Conflict Detection Design for KORAIL Command Center Intergration Signal Equipment Construction Project (철도청 사령실통합 신호설비 구축 프로젝트에서의 경합검지의 설계)

  • Lee Ju-Wang;Kim Bum-Sik;Bum Young-Hyun;Hong Hyo-Sik;Yoo Kwang-Ky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4.10a
    • /
    • pp.1519-1525
    • /
    • 2004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열차운행관리 시스템(Rail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RTMS)에서 경합 검지 및 해소업무는 역 및 선로의 정보(상태)연계 및 자동화의 미비로 인하여 착발선 결정, 착발시간 결정, 교행역, 대피역등에서 발생하는 경합 검지 및 해소(Railway Conflict Detection and Resolution)의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열차 경합 검지 방법을 조사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알고리즘을 개발, 구현하여 현재 진행중인 철도청 사령실 통합 신호설비 구축사업 프로젝트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Distributed evacuation guide system based on position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in the subway station (승객 위치정보 기반 지하철 분산대피 안내 시스템)

  • Kim, Nammoon;Kim, Young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7
    • /
    • pp.4528-4535
    • /
    • 2014
  • In this paper, a distributed evacuation system based on the positioning information of subway passengers is proposed. Recently, the subway station is becoming complicated by combining with shopping malls, and movie theaters. Compared to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subway stations, evacuation systems are less complex. Subway passengers in each cell were estimated to use the access point in the subway cells and statistics information. The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through a direction indicator and push alarm of a smart phone based on estimated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exit information of the subway station. Based on this schemes, a quick and safe evacuation system of subway passengers was proposed. The number of connection passengers was estimated using AP with OpenWrt embedded OS installed. The average error rate of the number of passenger was confirmed to be 15%, 17% and 23% at the confidence parameter of $1{\sigma}$, $2{\sigma}$, and $3{\sigma}$, respectively, through a simulation. The possibility of the system through a simple experiment was examined.

A Study on the External Evacuation System for Large-scale Fire of Multi-use Facilities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외부대피 체계에 관한 연구)

  • Kim, Jung-Gon;Jeong, Min-Su;Jung, Jae-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1
    • /
    • pp.129-14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at preparing an external evacuation system by setting up situation that may occur outside buildings in case of large-scale fire at buildings such as multiuse facilities and presenting appropriate response procedures and action instructions for evacuees and facility managers. Method: Major matters are summarized based on various situations which may occur outside in case of fire and the contents of fire manual. Necessary factors including risk alert standards in the event of fire and the role of building occupants are classified and then important issues a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fire-related outside shelters and external evacuation routes are showed, and then the applicability to the shelters and the routes are reviewed for old apartments in Jung-gu among multi-dense facilities. Result: Four stages (attention, caution, alert, serious) for standards of fire risk warning are established wit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nd guidelines for behavior for evacuees, facility owners, residents, manager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cept and role of external shelters are divided into primary to the third shelters, and matter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each shelter and the establishment of evacuation routes are presented, and then considered them carefully. Conclusion: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ggesting a systematic plan to secure the safety for evacuees outside space of buildings with disorder and difficulty to control in the event of fire. Therefore, we are confident that it will be useful in making an integrated manual for inside and outside buildings.

주거공간의 안전, 편익보다 우선되어야

  • Lee, Yun-Geun
    • 방재와보험
    • /
    • s.111
    • /
    • pp.30-31
    • /
    • 2006
  • 아파트 안전의 핵심적인 요소인 발코니 확장의 합법화로 인해 화재발생시 위협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아파트 발코니는 화재 방지와 유사시 대피공간으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상층으로의 연소 확대를 지연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생활의 편의성과 미적 쾌적함만을 중시하기 보다는 안전한 주거공간의 확보와 이에 상응하는 안전시설의 설치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