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선박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접촉식 밀봉장치의 윤활특성에 관한 연구 동향

  • 평임홍;양보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7 no.2
    • /
    • pp.1-12
    • /
    • 1991
  • 기계시스템의 구조는,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요소적 부품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요소적 부품을 기계 요소(machine element)라 하여, 구조의 단위로 되고있다. 접촉식 밀봉장치는, 회전기계, 예를들면, 자동차, 선박, 반응식각반기, 펌프, 터빈, 엔진, 가정용기기등의 주로 베어링부분의 윤활유나 처리액의 기기밖으로의 누설방지장치로서 불가결한 기계요소이다. 또, 시점을 바꾸어 보면 밀봉장치(seal)의 밀봉기능은, 현재 전세계적인 과제인 성자원대책, 성에너지대책, 환경오염대책에도 밀접히 관계하고 있어, 기술적으로 더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대표적인 접촉식 밀봉장치를 예로, 밀봉장치의 특징, 밀봉장치의 윤활특성, 밀봉장치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설명한다. 본 고는 저자들의 기술적 교류 가운데서 태어난 성과로, 기술의 세계에 국경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증표로서, 관계자의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상 및 수중운동체의 로버스트 안정성 해석 및 안정화에 관한 연구

  • Kim, Yeong-Bok;Ji, Sang-Won;Phuoc, Bui V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상 및 수중운동체의 안정성 및 안정화기법에 관해 고찰한다. 선박이 운동을 하게 되면 부가질량이 변하게 되고 대칭인 시스템행렬이 비대칭이 된다. 비대칭성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해석방법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가속도 피드백을 통해 비대칭요소를 제거하여 대칭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해석 및 안정화 기법이다. 시스템 모델자체는 어디까지나 모델이기 때문에 대상시스템을 명확하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피드백에 의한 비대칭요소를 소거시키는 방법은 타당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칭행렬이 비대칭행렬로 변하는 제약에 구애받지 않는, 보다 일반성을 갖는 안정성해석법을 제안한다.

  • PDF

명량수도 조류관측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관한 고찰

  • Kim, Seong-Jun;Kim, Hak-Seok;Kim, Mu-Geon;Lee, Hyeong-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67-169
    • /
    • 2017
  • 명량수도 조류신호표지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시공 전 단계에서 해양조사 및 수치모델링을 통한 최적위치를 선정하고, 센서 설치구조안정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파일, 싱커, 앵커방식, 센서 보호 구조물 등을 반영한 관측시스템 설계와 시공을 수행하였다. 관리자 인터페이스 및 자료관리를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명량수도를 대표할 수 있는 조류정보(유향, 유속, 유속의 경향)를 항해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통항 선박의 안전운항을 확보할 수 있다.

  • PDF

船舶의 衝突 및 坐礁에 관한 最新 硏究動向

  • 백점기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2
    • /
    • pp.27-33
    • /
    • 1995
  • 본 고에서는 선박의 충돌 및 좌초시 선체구조의 파괴에 관한 연구중에서 최근에 보고된 것을 중 신으로 자료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나, 오래전에 수행된 연구성과일지라도 현재까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연구성과는 본조 사에 포함시켰으며, 최근에 수행된 연구도 나열식으로 조사하기 보다는 대표적인 것만을 대상 으로 하였기 대문에 본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연구성과중에도 유용한 결과를 주는 것이 다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돌 및 좌초시 선체구조는 소성, 파단(rupture), 찢김(tearing), 마찰접 촉(frictional contact), 대변형/대회전, 압괴(crushing)등 복잡한 비선형구조응답을 나타내며, 이 문제의 분류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고에서는 다음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 으로 분류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연구성과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 PDF

Developing an Execution Strategy for FPSO

  • Kang, Jae-Sung;Kang, Ho-Keun;Park, Jae-Hong;Ha, Tae-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6a
    • /
    • pp.43-46
    • /
    • 2012
  • 2011년 IMA의 자료[1]에 의하면, 현재 251척의 부유식 생산설비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중 FPSO가 차지하는 비율은 64%에 이른다. 또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부유식 생산설비의 유형인 FPSO는 현재 40여척을 건조 (New building) 및 개조(Conversion)를 하고 있다. 전체적인 FPSO의 개발 및 건조 프로젝트는 일반 선박 프로 젝트와는 다르게 환경적, 정치적, 상업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예를 들면, 같은 구역에 석유/가스 채굴을 위한 프로젝트를 승인받은 기업들은 각자의 기술력, 재정상태, 채굴구역의 정치적인 영향력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초기 개념설계부터 전혀 다른 방향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변수가 많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별 세부 계획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계적인 해양구조물의 대표 격인 FPSO의 특성을 보고하고 이와 관련되는 프로젝트의 다양한 수행 절차 및 시스템/장비에 대해 설명한다.

  • PDF

Intermediate Concept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ummary (요약문 생성을 위한 중간 개념 표현)

  • 서연경;노태길;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55-357
    • /
    • 2001
  • 사건, 사고 관련 기사의 요약은 단순히 원문이 무엇을 말하는 가를 지시하는 것보다 가능한 요지를 판독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누락시키지 않고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건, 사고 관련 기사의 자동 요약문 생성을 위한 중간 개념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단락 자동 구분을 통한 중요 문장 추출을 거쳐 각 단락의 중심문장을 파악하고, 단락내의 정보들을 의미 파악된 중심 문장에 추가, 병합하여 단락의 내용을 대표하는 Paragraph Representation Structure(PRS)를 생성한다. 이들은 통합과정을 거쳐 하나의 Unified Representation Structure(URS)로 만들어지며, 이것은 중간 개념 표현으로 다국어 자동 요약문 생성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 이용한 코퍼스는 비행기, 선박, 차량, 열차 사고와 화제 폭발 및 사건 관련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한다.

  • PDF

우리나라 도선사 승하선 구역 설정 현황 조사를 통한 제언 - 부산항 및 울산항 도선구를 사례로 -

  • Lee, Dong-Seop;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68-70
    • /
    • 2011
  • 우리나라 도선사 승하선 구역은 항계 내 및 항계 외에 설정되어 있으며 선박 크기 및 기상에 따라 항만별로 지방도선운영협의회를 통하여 설정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도선운영협의회는 도선사, 선주대표, 대리점 협회 등과 같이 의견 상충 집단간의 협의를 통하여 도선점이 결정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도선점 결정시에는 특별한 정량적 기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추후 항계확장으로 인한 도선점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에 도선업무 위험 증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 자료가 제시되어 사용자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eliability Quality Measurement of Embedded Software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 측정 방안 연구)

  • Jang, Yoon-Jeong;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613-616
    • /
    • 2014
  • 오늘날 선박, 항공, 자동차산업 등의 복합화로 인하여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중요도가 높아질수록 고장 현상 발생률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오류나 고장에 대한 영향도 급증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그만큼 중요하게 되었다. 신뢰성은 ISO/IEC 9126, ISO/IEC 12119 등에서 기능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과 함께 언급되고 있다. 신뢰성의 부특성에는 성숙성, 오류허용성, 회복성, 준수성이 있고, 이에 따라 품질평가 항목 메트릭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신뢰성 평가 기준은 수리적 난해함과 데이터 수집에 관한 문제에 부딪혀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세부 평가 항목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품질평가 메트릭에 적용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대표적인 신뢰성 모델 두 가지 NHPP(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Model과 Jelinski-Moranda Model을 성숙성과 오류허용성의 품질평가 메트릭과 연관시켜 효율적으로 신뢰성을 측정하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Development of Flood Routing Model in the Ara Waterway Applying HEC-RAS (HEC-RAS를 적용한 아라천 홍수위산정모형 구축)

  • Noh, Joon-Woo;Lee, Sang-Jin;Park, Myung-Ki;Shim, Myung-Geun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9-413
    • /
    • 2012
  • 아라뱃길은 다양한 수리구조물의 조작을 통하여 선박운항 및 홍수처리가 이루어지며 유입홍수량, 한강수위, 그리고 서해조위 변동과 연계하여 귤현보, 서해배수문, 체절수문, 그리고 배수펌프장 등의 대표적인 구조물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홍수위 계산모형이 필요하다. HEC-RAS모형은 이러한 수리구조물 운영을 효과적으로 경계조건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서해배수문의 경우 조위변동과 내수위를 동시에 고려한 수문운영이 필요하여 Rule-script기능을 적용하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을 위하여 2010년 9월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수위값과 관측된 수위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iability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ing of Embedded Software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 측정 및 향상 방안 연구)

  • Jang, Yoon-Jeong;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595-598
    • /
    • 2015
  • 오늘날 선박, 항공, 자동차산업 등의 복합화로 인하여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중요도가 높아질수록 고장 현상 발생률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오류나 고장에 대한 영향도 급증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그만큼 중요하게 되었다. 신뢰성의 부특성에는 성숙성, 오류허용성, 회복성, 준수성이 있고, 이에 따라 품질평가 항목 메트릭이 제시되어 있다. 신뢰성 평가 기준은 수리적 난해함과 데이터 수집에 관한 문제에 부딪혀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품질평가 메트릭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대표적인 신뢰성 모델 두 가지 NHPP(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Model과 Jelinski-Moranda Model의 결과 값과 제시한 방법을 토대로 나온 결과 값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입증한다. 기존의 난해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