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길이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hull form of Korean fishing boats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hull form resistance (선체저항 성능에 관련한 한국 어선선형의 특성과 개선방안)

  • Lee, Yeong-Gil;Ji, Hyeon-U;Yu, Jin-Won;Gang, Dae-Seon;Gwon, Su-Y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47-63
    • /
    • 2008
  • 저항성능 측면에서 한국 어선선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건조되어진 대표적인 어선을 한 척씩 선정하여 두 어선의 선형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국 어선의 선형적 특성들, 즉 일부 대표적인 선형요소들과 이를 제외한 기타의 국부적 선형특성들을 일본어선의 선형을 참고로 보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어선들의 저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어선과 일본어선은 해양환경과 어업의 종류가 다를 뿐만 아니라 관습적인 이유 등으로 선형의 차이가 있게 되며, 이것은 한국 어선이 일본 어선에 비하여 같은 배수량을 가지더라도 배 길이가 짧은 반면 폭이 넓으며 흘수가 얕은 대표적인 선형요소들의 차이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일본어선들에 대한 유효마력 추정프로그램을 한국어선들에 맞게 보정.개발하는 과정을 통하여 양국 어선의 저항성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정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한국어선에 대한 저항저감효과를 줄 수 있는 선형요소들을 도출함으로써 선형요소들의 변화에 따른 저항성능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형요소들의 보정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선의 저항성능은 여전히 일본어선의 그것보다 떨어짐을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선형요소들뿐만 아니라 국부적 선형특성 즉, 선수부에서 차인선(chine line) 경사도, 용골의 형상, 선미길이(용골 끝에서 선미단까지의 거리)를 각각 보정해 봄으로써 보다 더 큰 저항성능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저항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실용 가능한 개량된 한국 어선선형의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Evaluation of Effective Permeability and Tunnel Excavation in the Three Dimensional Fracture Network Model (3차원 균열연결망 모델에서의 유효투수계수 평가 및 터널굴착 지하수 유동해석에 대한 수치실험)

  • 장근무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8 no.4
    • /
    • pp.275-286
    • /
    • 1998
  • The effective permeability and the representative element volume(REV) of fracture network model were evaluated based on the parameters such as permeability tensor, principal permeability and the direction of principal permeability. The effective permeability ranges between the harmonic mean and the arithmetic mean of the local permeabilities of subdivided blocks. From the numerical experiments, which were for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model volume on the variation of flux for the cubic models,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of flux became reduced as the model volume approached REV.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flux into the tunnel in the fracture network model was mainly dependent on the ratio of the tunnel length to model size rather than REV. And it was found that groundwater flux into the tunnel was not completely consistent between the fracture network model and the equivalent porous media model, especially when the ratio of the tunnel length to model size is small.

  • PDF

A Study of ER Switch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for ABR Servies (ABR 서비스에서 폭주제어를 위한 ER 스위치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이창섭;허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0-48
    • /
    • 2000
  • ABR 서비스에서 전송률 제어 방식은 크게 크래딧 방식과 전송률 기반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전송률 기반 방식의 대표적인 스위치 알고리즘인 EPRCA(Enhanced Properties RATE Control Algorithm)를 비롯하여 지금까지 제안된 전송률 기반 폭주제어방법은 대부분 스위치의 평균 큐 길이 Q 에 의한 폭주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2, 6, 8]. 폭주판단방법은 큐 임계치 방식, 부하 임계치 방식, 큐 증가 임계치 방식으로 나눌 수있다. 큐 임게치 만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큐 길이와 큐 임계치의 비교에 따른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큐 길이의 증감 상태를 큐 임계치와 동시에 사용하여 폭주제어를 신속히 할 수 있는 스위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daptive Boundary Correction bas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Activity Recognition (사용자 행동인식을 위한 적응적 경계 보정기반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

  • Heo, Seonguk;Kwon, Yongjin;Kang, Kyuchang;Bae, Ch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66-1169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 행동인식을 위해 기존 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의 경계선을 통한 데이터 분류에서 데이터의 수집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벡터의 길이비교를 이용한 보정을 통해 보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PSO 알고리즘은 데이터 분류를 위해서 데이터의 최소, 최대값을 이용하여 경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그러나 PSO를 이용하여 행동인식을 할 때 행동이 수집되는 환경에 따라서 경계에 포함되지 못해 행동이 분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분류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경계를 벗어난 데이터와 각 행동을 대표하는 데이터의 벡터 길이를 계산하고 최소길이를 비교하여 분류한다. 실험결과, 기존 PSO 방법에 비해 개선된 방법이 평균적으로 앉기 1%, 걷기 7%, 서기 7%의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A Text Summarization Model Based on Sentence Clustering (문장 클러스터링에 기반한 자동요약 모형)

  • 정영미;최상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3
    • /
    • pp.159-178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text summarization model which selects representative sentences from sentence clusters to create a summary. Summary gener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wo sets of test documents after learning the optimum environment from a training set. Centroid clustering method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clustering sentences, and sentence weight was found more effective than the similarity value between sentence and cluster centroid vectors in selecting a representative sentence from each cluster. The result of experiments also proves that inverse sentence weight as well as title word weight for terms and location weight for sentenc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ummarization.

  • PDF

Studies on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Body Scan Data of Korean Adolescents (한국 청소년의 대표 인체치수 및 3D 인체형상자료에 관한 연구)

  • Choi,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227-232
    • /
    • 2016
  • 3D body scan data are used widely in various fields to make products and living spaces for superior human body fitness. Based on the 3D measurements of human bodies for teens in Size Korea 2013, this research provides a way of finding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body scan data. First, a multi-dimensional vector space consisting of many measurement items was projected onto a 2D vector space with circumference and length components via factor analysis.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scan data close to these values were obtained via the Mahalanobis distance in 2D space. Considering the adolescent growth pattern shown on this 2D space, males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and females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s. Using the eigenbodies corresponding to the column vectors of the component score coefficient matrix,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of 13 measurement items (male) and 14 measurement items (female) for each age group were calculated.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scan data are very useful for modeling representative 3D human figures.

목질계 건축물 자재의 방염 성능 비교 평가

  • Chae, Hak-Byeong;An, Byeong-Gwon;Choe, Yong-Muk;Jeong, Guk-Sam;Won,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05-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목질계 건축 재료를 대상으로 소방방재청 고시에 근거한 $45^{\circ}$연소성 실험을 실시하여 대상 실험 재료들의 방염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다. 실험결과, 잔진시간은 일반합판에서 높게 나타났고, 잔염시간은 OSB보드(Oriented Strand Board)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탄화면적과 탄화길이는 OSB보드와 중질 섬유판 보드(Medium Denstity Fiberboard)에서 높게 측정 되었으며, 6종류의 실험 제품들 모두 탄화면적과 탄화길이에서 기준치를 만족 못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Sound Radiation Analysis at High Frequency Bands by Using the Simplified BIE (간략화 된 경계 적분식에 의한 고주파수 대역 음향방사 해석)

  • Kim Jae-kwo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7-23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외부방사 문제에 널리 사용되는 음향경계 요소 법(Acoustic Boundary Element Method)을 확장하여 저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경계요소의 특성길이에 의한 고주파수 상한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밴드를 대표하는 음압 레벨을 직접 계산하도록 상호상관도 가정을 통하여 간략화 하였다. 간단한 음향방사 모델인 배플이 있는 빔과 평판에 대하여 Rayleigh 적분식의 계산결과와 제안된 방법을 비교하여 적용효능성을 검토하였다. 적용을 위한 조건으로는 방사면 진동의 상호상관도가 작아야 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조건식을 제시하여 이로부터 경계요소의 특성길이를 정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Neuro-Fuzzy Model Using mGA (mGA 기반 뉴로-퍼지 모델 동정)

  • 이연우;유진영;주영훈;박진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87-190
    • /
    • 2002
  • 주어진 시스템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뉴로-퍼지 제어시스템의 성공적인 제어는 그 네트웍의 구성에 크게 의존한다. 현재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한 제어기 구조의 최적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유전 알고리즘은 고정된 길이의 스트링 구조로 인하여 적합한 연계(linkage)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뉴로-퍼지 제어기의 구조적 최적화 설계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우리는 구조적으로 최적화 된 뉴로-퍼지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 가변길이 스트링을 사용하는 메시 유전 알고리즘(messy Genetic Algorithm mGA)을 사용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비선형 시스템인 cart-pole 시스템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다.

A Study on Semiautomatic Field-based Image Warping and Morphing (반자동 필드 기반 영상 워핑 및 모핑에 관한 연구)

  • 이형진;김형민;곽노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32-237
    • /
    • 2004
  • 영상 워핑 및 모핑은 영상 안에서 각 화소들 사이의 공간적인 관계를 재구성하는 영상처리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이 결합된 분야로서 메쉬 방식과 필드 방식 둥이 대표적이다. 이중에서 필드 방식은 상대적으로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것에 반해 제어선 설정이 용이하며 설정된 제어선의 위치나 길이의 변화에 대해 비교적 덜 민감하다는 장점이 있다. 필드 방식은 사용자가 제어선을 지정하는 과정의 대부분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질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숙련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은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서 워핑 대상체 쌍의 형상 정보를 획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최소한의 특징점 쌍만을 지정하면 이렇게 지정된 특징점 쌍을 기준 삼아 다각형 기반 정점 탐색에 의해 소스 영상과 목표 영상에 상호 대응되는 제어선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한 후, 제어선 길이의 비율과 제어선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영상 워핑과 모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워핑 및 모핑의 반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어선을 설정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숙련자도 최소의 제어선만을 지정하여 자연스러운 워핑 및 모핑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