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퇴절단자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근전도 신호를 기반한 대퇴의족의 슬관절 제어 (Knee Joint Control of Transfemoral Prosthesis based on the EMG Signal)

  • 이주원;이건기;이상민;장두봉;이병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281-284
    • /
    • 2002
  • 대부분의 보조기 및 의족은 기계식이 주류이며 환자가 착용시 정상보행은 부드럽지 못하고 원활한 보행을 위해서는 장기간 동안 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퇴의족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퇴절단자(transfermoral amputee)의 보행을 정상보행에 일치하는 보행 능력을 복원하기 위해 근전도 신호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적응 PID제어기를 설계하였고 그 제어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외측웨지인솔이 대퇴절단자의 무릎내전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Biomechanical Effect on Knee Adduction Moment by Lateral Wedge Insole in Transfemoral Amputee)

  • 장윤희;이완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9-244
    • /
    • 2012
  •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was higher people with lower limb amputation. This was identified that transfemoral amputees have a greater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than ablebodied subjects by biomechanical studies. Therefore, they need rehabilitative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knee osteo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teral wedge insole used in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This study was participated in fourteen unilateral transfemoral amputees and we were analyzed the difference gait variables between without lateral wedge insole and with $5^{\circ}$ and $10^{\circ}$ lateral wedge insole during gait. Our results showed that step length ratio was more symmetrical and, hip adduction and ankle inversion angle were more close to normal value, and knee adduction moment was decreased as the wedge angle increases. We proposed that these data would be utilized conservativ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in lower limb amputees.

대퇴 절단자들을 위한 로봇 의지의 설계 (Design of Robotic Prosthetic Leg for Above-knee Amputees)

  • 양운제;김정엽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13-922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design of a robotic above-knee prosthetic leg which is powered by electrical motors. As a special feature, the robotic prosthetic leg has enough D.O.F.s. For mimicking the human leg, the robotic prosthetic leg is composed of five joints. Three of them are called 'active joint' which is driven by electrical motors. They are placed at the knee-pitch-axis, the ankle-pitch-axis, and the an! kle-roll-axis. Every 'active joint' has enough torque capacity to overcome ground reaction forces for walking and is backlashless for accurate motion generation and high-performance balance control. Other two joints are called 'passive joint' which is activating by torsion spring. They are placed at the toe part and designed by Crank-rocker mechanism using kinematic design approach. In order to verify working performance of the robotic prosthetic leg, we designed a gait trajectory through motion capture technique and experimentally applied it to the robot.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 환아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요법의 효과 (Intraarterial Catheter-directed Urokinase Infusion for Femoral Artery Thrombosi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이형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97-1402
    • /
    • 2002
  • 목 적 : 대퇴동맥 혈전증은 하지 절단같은 극단적인 재앙뿐만 아니라 하지의 성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심도자술의 심각한 합병증이지만, 소아에서 이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저자는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urokinase의 동맥내 국소 주입요법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심도자술 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으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법을 이용해 혈전용해술을 받은 9명, 12례를 대상으로 하여, 병력지와 혈관조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퇴동맥을 이용한 심도자술이 행해진 391례 중 전신적 헤파린 또는 urokinase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대퇴동맥 혈전증의 발생빈도는 2.8퍼센트였다. 2) 대상 환아들의 연령은 기하평균 5.8개월(1-71개월)이었고 체중은 $8.5{\pm}4.6kg$(3.5-20.5 kg)였다. 3) Urokinase는 1,000-4,400 unit/kg/hr로 $50.6{\pm}29.2$시간(18-110시간)에 걸쳐 주입하였는데, 치료중 2례에서 환측의 천자부위로 출혈이 있었으며, 한명은 수혈이 필요했다. 심도자술후 4일 이내에 치료를 시작했던 환아들은 모두 혈전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혈전 형성후 각각 12일과 19일째 치료를 시작했던 2례는 호전되지 않아 풍선 혈관성형술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결 론: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전신적 혈전용해제 투여로 회복되지 않으면, 반대측 대퇴동맥을 통한 국소적 동맥내 혈전용해제 투여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능형 대퇴의족 사용자의 보행 의도 추정을 위한 소켓 내 압력 변화 측정 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ocket Pressure Change Measurement Sensor for Estimation Locomotion Intention of Intelligent Prosthetic leg User)

  • 박나연;엄수홍;이응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49-256
    • /
    • 2022
  • 대퇴의족은 절단하지를 대체하여 보행을 수행하는 기기이며,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보행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 제공을 통한 보행 모드 변경을 요구한다. 외부의 제어 기기 없는 자연스러운 보행 모드 변경을 위한 요구로 절단 부위와 직접 접촉하는 소켓 내부의 생체 역학적 특징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절단 부위의 신체 및 소켓 내부 환경에 적합한 센서 시스템의 요구가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단 부위의 신체 특성에 적합하고 소켓 내부 온습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의 제작이 쉬운 필름 형태의 센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센서는 Velostat 필름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계측 특성이 고려되었다. 실험을 통해 착용자의 의도적인 자세 수행에 의한 소켓 내부 압력 변화를 계측하였으며 보행 모드 변경 의도 검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퇴절단자와 정상인 걸음걸이의 운동학적 요인과 발목관절 강성 비교 (Comparisons of Kinematic Factors and Stiffnesses of the Lower-limb Joints between Transfemoral Amputees and Normal Adults)

  • 이재훈;이정호;하종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inematic variables and stiffnesses of ankle joints between normal person and transfemoral amputee gait in order to develop or fit prosthetic leg. Twenty subjects (ten normal persons and ten transfemoral amputee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walked three trials at a self-selected pace. The gait motions were captured with Vicon system and variables were calculated with Visual-3D. The velocity, stride length, stride width, cycle time, double limb support time and right swing time of gai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coefficients of variability of normal persons on velocity, double limb support time and swing time were greater than transfemoral amputees, normal persons controlled these gait variables effectively. The stiffnesses of ankle joi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atterns of stiffnesses of ankle joints during three rockers were absolutely different.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tiffnesses of ankle joints and cycle time and swing time were presented.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developing and fitting prosthetic leg were demanded. Further studies should develop fitting program and simulator of prosthetic leg.

발목관절 조절각도가 절단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Amputee Gait by the Ankle Joint Alignment)

  • 장윤희;양길태;임송학;문무성;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3-416
    • /
    • 1998
  • 본 연구는 대퇴 및 하퇴 의족 착용자의 소켓의 적합성 및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켓내부압력을 측정하였다. 발목관절을 중립, 배굴, 저굴 상태로 조절하였을 때, 배굴 및 저굴에 비하여 중립상태에서 분속수나 보행속도는 증가 하였다. 다른 보행 인자들 역시 발목관절을 중립상태로 조절하였을 때 정상인의 보행인자에 근접하고 있다. 대퇴 절단 환자의 경우 발목관절을 배굴 상태로 조절하면 소켓의 외측부분에 압력집중이 나타나고, 저굴상태로 조절하면 소켓의 내측 부분에 압력집중이 발생하였다. 하퇴 절단 환자의 경우 발목관절을 배굴상태로 조절하면 중간입각기때 소켓의 전면 외측에 압력집중 현상이 나타나며, 저굴시에는 배굴시와 같은 위치에 약간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족의 부적절한 정렬상태로 인한 소켓내에서의 압력집중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의족의 올바른 정렬은 적절한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소켓과 스텀프와의 접촉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중 하나이다.

  • PDF

순차적 자가 양측 폐재식을 위한 황견에서의 실험 model -2례 보고 (Animal Model for Sequential Bilateral Reimplantation of the Lung in Dog)

  • 이두연;김해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733-738
    • /
    • 1997
  • 순차적 양측 폐이식수술은 수술시 및 수술후 합병증이 매우 다양하며 수술후 결과가 매우 불량하다. 저자 등은 양측 폐 이식수술후의 혈역학적 변화를 연구관찰하고자 하였으며 수술후 발생할 수 있는 거부반 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양측 폐재식수술을 선택,시행하였으며 폐동맥의 뒤틀림이나 협착, 좌심방내의 혈전발 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폐동맥 및 좌심방 부위를 혈관감자로 폐쇄시킨 후 폐측 폐동맥의 전면을 절단하였고, 폐측 상하 폐정맥부위 좌심방 전면을 절단한 후 1시간동안 폐동맥 절단부위를 통해 PGEI이 함유된 I-C 용액을 주입하였고 1시간동안 I-C용액이 함유된 거즈를 이용하여 냉각을 유지하였다. 다시 5-0 prolene을 이 용하여 봉합하였다. 좌심방을 봉합할 때 내면이 외 전되게끔 everted suture 방법으로 봉합하였다. 주기관지는 완전 절단후 telescope방법으코 단단문합하였으며 폐재식 수술전후의 동맥혈 산소가스치, 대퇴동맥 및 폐동맥 압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수술전후의 뚜렷한 혈역학적 변화는 없었다. 절단 결찰된 폐는 PcEl이 함유된 I-c용액을 폐동맥으로 4o cmHlo 압력으로 Is ~h입분의 속도로 총량이 70 mfg되도록 주입하\ulcorner으며 그후 1시간동안 냉각된 I-C용액이 함유된 거즈를 이용하여 절단된 폐를 감싸서 냉각저류보관하여 허혈성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수술수기에 대한 합병증이 없는한 양측 폐 이식수술후 성 적은 양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아 슬관절 주위 골육종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s of Osteosarcoma around the Knee in Children)

  • 남광우;이상훈;김한수;오주한;조환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
    • /
    • 2004
  • 목적: 소아 슬관절 주위 골육종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 방법에 따른 종양학적, 기능적 결과와 환자와 구제된 사지, 대치물의 생존률 및 합병증을 분석하여 소아 슬관절 주위 골육종의 수술적 치료의 전체적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슬관절 주위 골육종 환자 중에서 16세 이전에 수술적 치료를 받은 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의 방법은 절단술, 종양 절제 후 종양대치물 치환술과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low heat-treated autogenous bone graft)의 세가지 방법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11.5세(4.4~16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6.1년(2.1~16.8년)이었다. 남자가 43명, 여자가 20명이었다. 종양대치물은 전 례에서 신장형(extendible type)이었다. 골육종의 해부학적 위치는 대퇴골 원위부가 40명, 경골 근위부가 23명이었다. Enneking 병기는 제 $II_A$기가 4명, 제 $II_B$기가 50명이었고, 제 III기가 9명이었다. 결과: 제 $II_B$기 환자의 5년 생존률은 절단술이 72.7%, 종양대치물 치환술이 83.7%,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이 100%였다. 구제된 사지의 생존률은 종양대치물 치환술이 84.4%,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이 80%였다. 대치물의 생존률은 종양대치물이 5년에 92.7%, 10년에 67.4 %였고 저온 열처리 자가골은 5년에 75 %였다. 평균 기능 결과 점수는 절단술이 8.7점, 종양대치물 치환술이 20.6점,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이 16점이었다. 원격 전이 발생율은 절단술이 15.8%, 종양대치물 치환술이 27%,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이 0%였고, 국소 재발 발생율은 각각 0%, 8.1%, 14.3%였다. 주요 합병증 발생율은 절단술이 26.3%, 종양대치물 치환술이 35.1%,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이 28.6 %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 골육종 소아에서 사지 구제술은 절단술보다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종양 절제 후 종양대치물 치환술은 소아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저온 열처리 자가 골 이식술은 종양대치물 치환술을 시행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소아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고, 성장 후 다른 방법으로 재수술을 하기전까지 임시적 수술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