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중예술

Search Result 31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reation of the Fashion Design from Pot Art Image (팝아트 이미지의 의상 디자인 창작)

  • Lee, in-Seo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8 no.12
    • /
    • pp.257-269
    • /
    • 2000
  • 예술작품은 의상디자인에 영감 혹은 영향을 줌으로써 상업적 의상으로 재생산된다. 오늘날까지도 60년대의 많은 팝 아티스트 작품들이 그대로 T셔츠 등에 프린트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 영향에는 자주 맹목적 표절이라는 논란을 불러 일으켰으나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예술작품과 의상 디자인은 20세기초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다. Sonia Delaunay는 예술을 대중과 결합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의상을 통해서라고 생각하였다. 그녀는 "만일 예술작품을 생활 속에 들어가게 하려면 그건 여성들 자신이 입고 다니는 방법뿐이다". 라고 말하였다. 결국 이러한 예술의 대중화에 대한 이론은 60년대에 와서 팝 아트 패션의 출현으로 그 결실을 보게 된다. 상류층을 대상으로 한 의상이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60년대 경제호황으로 인한 젊은이들의 소비자층 형성과 미술양식에서의 팝아트의 출현은 자연스러운 시대적 조류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팝 아트가 이 시대의 미술 양식에 혁신적일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팝 아트의 특성(소비 문화적, 대중 문화적, 재현적, 통속적, 기계적, 획일적)을 유행시키고, 대중에게 순수 예술과 복식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혁명적이고도 대중적이라고 할 수 있는 팝 아트 이미지의 작품 제작과 분석을 통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전시회나 패션쇼에서만 볼 수 있다는 다소 아방가르드 적인 의상 작품들의 대중화 방안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제 의상 디자인 창작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제작을 위해서 팝 아트에서 주요 소재로 삼았고 대중적 이미지의 심볼이라고도 할 수 있는 Coca Cola label을 표현 모티브로 삼아 개성적이고도 독창적인 의상 디자인을 한 후 분석하였다. 또한 독특한 의상 표현의 개발을 위하여 표현 기법으로는 현대 미술에서 새로운 재료와 여러 가지 재료를 화면에 도입시키는 표현 방법으로서 사용된 콜라주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상 창작에 있어 조형예술과 연결하여 대중적인 이미지를 도입함으로써 착용자가 예술에 대한 친근하고 익숙한 느낌을 갖게 하며, 예술과 상품 그 자체에 대한 상업적 홍보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대중적인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 콜라주 기법은 염색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가가 원하는 표현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측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사용된 대중적 상표 이미지는 주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대 도시의 인공적 환경들로, 의상을 독특하고 개성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모티브의 역할을 하면서 또한 그 예가 무한하여 다양한 디자인 창출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의상을 통해 예술과 대중을 융합시켰다는 예술의 대중화, 민주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전시회나 패션쇼에서 만 볼 수 있는 예술적 성격을 띠는 아방가르드 작품의 대중 확산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예술성이 짙은 도저히 입을 수 없다고 생각되어지는 아방가르드한 의상을 일반 대중 브랜드들이 단순한 모방이 아닌 새로운 패러디 작업으로 일반화시켜 상업성을 띤 의상으로 재조정되어 여성들의 몸에 걸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환으로써, 조형예술 작품은 의상 디자인 참작에 영향, 영감을 주면서 여러 번의 형태 변화를 거치는 패러디를 통해 각 계층의 누구나가 좋아하고 접할 수 있는 또 다른 창조를 맞아 대중의 손까지 갈 수 있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rtistic Analysis of Modern Commercial Movies (Focusing on "1987(2017)") (현대 상업영화의 예술성 분석연구 (영화 "1987(2017)"을 중심으로))

  • Lee, Tae-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425-433
    • /
    • 2018
  • Korea's film industry structure is focused on commercial movies centering on large companies, and its diversity and artistry are relatively overlooked. In addition to trends in the digital media age, the flood of consumable contents on the basis of special effects such as C.G, And is losing popularity as a popular art. The popular art should lead the mature social culture with the educational enlightenment character which induces the indirect experience and the wide insight of the world through the material and expression about the humanities study of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The analysis of the society's artistry and artistry about the movie "(2017)" can be a measure of the definition and kind of artistry in commercial movies and methodology about the manifestation of artistry. As a research methodology, we try to measure the future of the film industry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film as popular art, such as intellectual exploration and logical completeness of the essence of society, Through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ilm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oints by deriving the indicators of the artistic nature of commercial films. The film "1987" is a good example of an ideal commercial film with an artistry that cultivates cultural literacy, promotes civic consciousness through enlightenment messages, and plays a role of self-reflection through art experience.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ossibilities of commercial film with artistry in popular culture, such as a humanistic examination of true history and society, and an introspective gaze of the director expressed through the film society.

Hegel's Art Criticism - the artwork for the public (헤겔의 예술비평 -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 Cho, Chang-oh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2
    • /
    • pp.295-321
    • /
    • 2017
  • This paper discusses Hegel's concept of Art criticism, focusing on the article "${\ddot{U}}ber$ die Bekehrten" in 16. Vol. of Hegel's Gesammelte Werke. Hegel is a theorist of the system of art, but also an art critic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pular art practice. Until now, Hegel has been interpreted mainly as a theorist who usually constitutes the system of art. According to many interpretations, Hegel has been criticized for his theories frame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 compulsorily. But in this article we see another aspect of Hegel as an art critic. First, in this article Hegel shows as an art critic how romanticists distort the work with an emphasis on the theory. Hegel argues in his article written in early 1826 that romantic ironic theory does not help at all in understanding the "die Bekehrten" of Laupach. Whereas ironic theory emphasizes the contradiction between character and its action as the essential value of the work, Hegel interprets that the comic is at the center of the work, which lets the unessential sides of the unified character disappear, so that the unity of the character expresses itself. Hegel also interprets that the theory of irony represents the work of art for the scholars, which harms the objectivity of artwork and defends the artwork for the public. Second, Hegel began to apply the achievement of his criticism to his aesthetic lectures. Since 1826 Hegel has focused intensively on discussing two concepts, romantic irony and 'artwork for the public' in his aesthetics lectures. Thus, this article provides a basis for Hegel 's criticism of ironic theory after 1826 and the concept of artwork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we can confirm that Hegel has reinforced and extended his theories through his practice of criticism of concrete works of art rather than imposing systematic theories upon art criticism

Possibility Study about Digital Media Art as a social Capital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사회자본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 Lee, Min-Soo;Chang, Geun-O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62-467
    • /
    • 2006
  • 이 연구는,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미디어아트가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콘텐츠의 범위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의미의 사회자본이 된다는 가능성의 연구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현시점의 미디어아트와 대중의 유대관계, 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양상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제를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사회 참여적인 미디어 장치로서 저널리즘의 속성을 가진 미디어아트, 두 번째는 다양한 문화활동의 프로토타입이 되는 미디어아트, 세 번째로는 일상공간에서의 미디어아트이다. 대중매체의 이용이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인 신뢰와 사회적 연계 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과 2003년 수행된 대규모 매체 이용행태 자료에서 이미 검증되었다.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의 하위구성 요소인 신뢰와 정치참여,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역할 및 예술생산품으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에서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미디어아트의 시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웹 아티스트, 미디어 아티스트로 알려진 '장영혜중공업' 은 온라인미디어를 통해 현대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이슈와 화두들을 강력하게 표현하고 있고, 대중매체의 조명을 받고 있는 아티스트 '낸시랭' 은 'SSAMZIE' 브랜드를 통해 예술의 문화적, 경제적 활동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에게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일상 생활공간 속에서의 미디어아트는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일상에서의 경험으로 인하여 대중에게 시각적, 과학적, 심미적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은 인터넷을 비롯한 대중매체를 통해 디지털미디어아트의 공적 신뢰를 확대시키고 콘텐트의 범위와 가치를 증대 시키며, 사용자경험의 폭을 확대시켜 점차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해 나갈 것이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아직은 미약하지만 사용자의 조작과 참여의 경험으로 인해 디지털 세대에게 적합한 문화아이콘을 만들어 나가며, 사회의 새로운 이용자 패턴, 참여 의식의 확대, 예술의 대중화로 인하여 미래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자본이 될 것으로 그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Using Pop Art (팝아트 기법을 활용한 현대 도자 장식 표현 연구)

  • Choi, Jung-Hwa;Choi, Yoon-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1
    • /
    • pp.447-4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pop art style and motif expressions in the works of artists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study of pop art and analyze how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ceramic 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ork, various images of everyday objects in popular culture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such as bright and colorful colors, silk screen, lettering, photo montage, cartoon expression, object, collage, decoupage, It is believed that the art of ceramics will be created as a creative work that reinterprets the artistic value rather than reproducing the art based on the technique of pop art. I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Art through the Case Study of Convergence of K-POP and Traditional Art - Focusing on the idolization of BTS - (K-POP과 전통예술의 융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예술의 대중화 방안 연구 - BTS의 IDOL을 중심으로 -)

  • Cho, Young-I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2
    • /
    • pp.27-36
    • /
    • 2019
  • Today, the Korean wave headed by K-pop is newly named as 'New Korean Wave' in that it has been extended to United States, Europe and Russia. K-POP, the main player of the new Korean wave, has been successful in SNS marketing channels. Furthermore, the content of K-pop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global audience. The media and public attention on the Korean Wave is meaningful because it is not merely a cultural export. It also makes Korean people feel national pride, seeing the mental influence of its culture on other regions. Moreove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our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industrial or material development, is a proof that Korean society is at the center of globalization. Until the 20th century, Korean culture had been rather receptive than dominant. In other words, it was focused more on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than active creation or outflow of its own. Now, however, K-POP is not anymore copying Western culture. It is creating its own unique characters, which makes K-pop very competitive. Korean culture has been formed for a long time in Korea's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Korean popular culture also has to establish a solid foothold in world markets through its distinctive and traditional feature. The positive consumer response to Korean pop culture will create the added value of Korean contents and their derivatives, which will heighten Korea's national image also. In other words, if traditional art and K-POP are converged and equipped with our own unique and highly artistic culture, they will take the lead in the global cultural art market. In this study, we will recognize the possibil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K-pop culture and analyze the cases of combining K-pop and Korean traditional art. First, we have to blend traditional art and other various genres to create diverse contents, and we have to actively utilize media channels. Second, we must improve people's awareness of the copyrights of traditional art. Also, we have to mitigate the copyrights of creative dance to expand the disclosure of contents which can be utilized. Third, we have to learn about traditional arts from younger age. Fourth, we will expand traditional arts to the whole of Korean cultural policies, which can enhance the nation's cultural value and create economic benefits. These four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ways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raditional art and at the same time, globalize Korean culture.

Analysis of popular artistry of film industry on the trend of filming of Webtoon (Focusing on "Along with the Gods(2017)") (웹툰의 영화화 트렌드에 대한 영화산업의 대중예술성 분석연구 (영화 "신과 함께(2017)"를 중심으로))

  • Lee, Tae-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391-398
    • /
    • 2018
  • Analyzing the shortcomings and shortcomings of the film based on the Webtoon and the artistry as a popular artwork at the time when the filming of the webtoon is becoming the main trend of the Korean film, it is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film industry, Will be an indicator for. The present generation of young people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popular arts and culture that handed down a small number of high-quality arts by reflecting current literary, art, history, and popular consciousness are concentrating only on instinctive emotion, It is regrettable that it is consistently followed by follow-up and follow-up unconditionally.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methodology of the ideal webtoon filmiz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industry analysis of Webtoons, and analyzing the weaknesses in the transition process to the movie format. The essence of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will be unchanged even in the rapid change of media and technology. In the setting and expression of its essence, it is based on the humanistic authenticity mentioned above, the avant garde internal necessity of the artist seeking ideal, And the reflection of the original character of high-class culture that creates newness can be considered as a proposition that can include artistry in popular culture.

A Study on Game-Playing Plasticity of Modern Art Focused on Media Arts (미디어아트를 중심으로 한 현대미술의 유희성에 관한 연구)

  • Lee, See-Jeung;You, Hyun-Bea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4
    • /
    • pp.503-511
    • /
    • 2010
  • While various artistic trends coexisting in the 20th century, media arts that formed with the medium of a material attempts in various ways to induce the establishment of the artwork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The visual arts that use the media satisfy both the artistry and the popularity in the area of popular culture as the form of variable. Moreover, visual arts stimulate a playful sense of human to maximize the public satisfaction that works he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tentials and the trends in the contemporary art by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and principle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media art which shows the active employment the playful sense of human nature in the work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nsequently, as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dvanced network technology which were thought to be the key elements of the popularization of media art were reached its limit, media artist, Tony oursler's artwork which was created based on human playful nature and interactive artwork that supports the audience to interact with artwork and its space are proven to be the useful devises for the public communication.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rt Performance' K-pop and choreography design in Modern Dance ('Art 퍼포먼스' K-POP과 현대무용의 안무 디자인 상관관계 연구)

  • Kim, tae-r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5-256
    • /
    • 2019
  • 가장 큰 예술 대중매체인 k-pop은 다양한 안무 퍼포먼스를 필두로 대중에게 새로운 경험과 색다른 소통을 하게 도와줄 책임이 있다. 현대무용과의 결합을 통해 k-pop은 예술적 형태의 'Art 퍼포먼스'라고 불리 우며, 무용은 k-pop의 대중적 성질을 가지고 거리의 장벽이 낮아졌다. 이것을 변화되는 안무 디자인의 새로운 '문화 트렌드', '대중화 코드'로 인식하여야한다.

  • PDF

세기말에 다시 읽는 아방가르드 예술론

  • Jo, Seon-Ry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19
    • /
    • pp.12-13
    • /
    • 1997
  • '아방가르드'를 세기말에 다시 살펴보는 것은 20세기 문화의 진원지였던 아방가르드가 아직도 '끝나지 않은' 미완의 운동으로 다시 떠오르기 때문이다. 예술과 대중의 관계 등 아방가르드 담론의 핵심은 예술이 사활의 기로에 처한 듯한 오늘날 더욱 외면할 수 없는 문제임이 분명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