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조기

검색결과 1,933건 처리시간 0.026초

후두전적출술후 식도기능의 변화

  • 김세헌;홍원표;김충배;이원상;김광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2-82
    • /
    • 1996
  • 후두전적출술은 상부 소화관의 연속성을 변형시킴으로써, 식도운동의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술 후에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경우는 10% 가량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내압검사를 통하여, 후두전적출술이 상부식도괄약근의 휴지기와 최대 압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가 및 술 후 인두와 상부식도괄약근의 조화성 여부와, 만일 상부식도괄약근의 기능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 영향이 식도체부 및 하부식도괄약근의 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식도내압검사는 8개의 내관을 가진 폴리에틸렌 도관으로,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군 14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stational pull-through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환자군에서 상부 식도괄약근은, 휴지기 압력, 최대 수축압력, 이완정도, 괄략운동의 조화성 및 괄약근의 길이 등이, 정상 대조군 보다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환자군에 있어서 식도체부의 운동성은 주로 근위부 식도체부에서, 수축력, 수축기간 및 연동파의 전파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되었고, 연동운동시 동시 수축도 3례에서 관찰되었다. 하부 식도괄약근의 기능은 환자군과 대조군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대조학습을 활용한 새로운 의도 카테고리 발견 (Novel Intent Category Discovery using Contrastive Learning)

  • 서승연;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07-112
    • /
    • 2023
  • 라벨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에 따라 라벨이 없는 데이터로 학습하는 준지도학습, 비지도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일환으로 Novel Intent Category Discovery(NICD) 문제를 제안하고 NICD 연구의 베이스라인이 될 모델을 소개한다. NICD 문제는 라벨이 있는 데이터와 라벨이 없는 데이터의 클래스 셋이 겹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준지도학습의 문제들과 차이가 있다. 제안 모델은 RoBERTa를 기반으로 두 개의 분류기를 추가하여 구성되며 라벨이 있는 데이터셋과 라벨이 없는 데이터셋에서 각각 다른 분류기를 사용하여 라벨을 예측한다. 학습방법은 2단계로 먼저 라벨이 있는 데이터셋으로 요인표현을 학습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차 엔트로피, 이항교차 엔트로피, 평균제곱오차, 지도 대조 손실함수를 NICD 문제에 맞게 변형하여 학습에 사용한다. 논문에서 제안된 모델은 라벨이 없는 데이터셋에 대해 이미지 최고성능 모델보다 24.74 더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다.

  • PDF

BPA의 투여가 태아의 성비 및 산자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박동헌;장현용;정희태;박춘근;김정익;양부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36
    • /
    • 2001
  • 임신기의 자성 생쥐에 저 농도의 BPA의 투여가 태아의 체중, 태아수 및 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태어난 자손의 번식기관무게, 정액성상, 조직검사 및 혈액의 혈구 성분분석등 번식효율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성 생쥐에 corn oil(대조구), 0.05, 0.5 및 5.0mg BPA/kg b.w의 용량으로 1회 투여하고 투여 당일 날 웅성 생쥐와 교배 시켰으며,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하였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체중에 미치는 결과는 각각 30.72, 30.80, 29.80 및 26.80g으로 5.0mg 투여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체중을 나타냈으며(P<0.05), 정소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다소 높은 무게를 나타냈다.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P>0.05). BPA의 투여후 태어난 웅성 산자의 총정자수, 생존율, 유효정자수 및 기형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또한 웅성 산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는 BPA 투여구가 각각 10.60, 10.96 및 10.35$\times$$10^{6}$㎣로서 대조구의 9.78$\times$$10^{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P<0.05), WBC, Hb, HT, MCV, MCH, MCHC 및 PLT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자성 산자의 체중에 미치는 결과는 각각 25.56, 25.38, 25.83 및 23.86g으로 5.0mg 투여구가 다소 낮은 체중을 나타냈다. 자궁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각각 0.0915, 0.0904 및 0.1016g으로 대조구의 0.0801g에 비해 다소 높은 무게를 나타냈으며, 난소의 무게도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BPA의 투여가 자성 산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WBC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자손의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 병리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정소와 난소의 조직에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에서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에서 자궁내막층이 현저하게 증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산만 수중 방류수의 계절별 근역희석률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Near-Field Dilutions of Submerged Multiport-Diffuser Discharges in Masan Bay)

  • 강시환;박광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해양 수중 다공확산관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에서 1차 처리된 하·폐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만에서 방류수의 근역 희석률에 대한 계절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방류수역에서 관측된 수온·염분의 수직분포와 대조기·소조기의 유속 자료를 입력하여 CORMIX 모형으로 계절별 희석률을 구하였다. 수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직적 등밀도 혼합이 전 층에서 형성되는 겨울철과 가을철 순으로 방류수의 근역 희석률이 가장 높았으며, 수온약측이 점차 깊어지는 여름철에는 희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주변해수의 유동성에 따른 난류확산이 작은 소조기 정체시에는 여름철의 희석률이 겨울철보다 약 1/4정도로 작으며, 유속이 큰 대조기에는 두 계절의 차이가 30%정도로 적었다. 이는 여름철의 조류가 약한 정체시에 방류하수로 인한 수질오염이 마산만 방류수역에 가장 심하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키토산 처리가 제주산 가을감자의 생육 및 저장중 체내성분변화 (The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Growth, content of Sugars of Autumn Potatoes in Jeju Island)

  • 양국남;박용봉;김기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5-66
    • /
    • 2001
  • 제주도의 감자재배면적은 전국의 30.6%를 차지하고 있으며 본도 제2의 소득작물로 자리잡고 있는데 최근 국내외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안전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유기농업자제를 이용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키토산을 \circled1토양처리 (1kg/a), \circled2키토산침지 (0.2%/30분), \circled3토양처 리+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4토양처리+생육기처리 200배 (2회), \circled5생육기처리 100배 (2회), \circled6생육기처리+200배 (2회), \circled7무처리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처리, 생육기 200배처리한 것이 다소 높은 편이었고, 경장 경수 및 복지수는 시일이 경과할수록 많은 편이고 그 중에서 종서침지가 가장 양호한 편이었다. 그리고 10a당 총수량, 상서수량 및 설서수량(30g이하인 괴경)은 역시 종서침지, 토양관주+생육기 200배 (2회)처리 및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 순서로 상서수량이 많은 편이었다. 처리별 상서수량은 종서침지한 것이 71%, 29%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생육기 100배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많은 경향이었다(Table 1).

  • PDF

수온과 광주기에 의한 볼락(Sebastes inermis)의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와 성숙 조절

  • 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9-40
    • /
    • 1998
  • 수온과 광주기를 조절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해 GSI의 peak가 2개월 늦어졌으며, 난소의 발달도 지연되었다. 암컷 혈중의 $E_{2}$와 T 농도도 성숙 단계의 지연에 따라 peak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온과 광주기를 조절한 그룹의 일부개체는 성숙이 지연되지 않았으며, 수컷의 GSI나 수컷 혈중의 T 농도도 수온과 광주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균질기를 이용한 물리적 변성 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by Homogenizer)

  • 한명륜;김명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00-706
    • /
    • 2005
  • 본 연구는 물리적 전분 변성방법으로서 유체전단 균질기와 초음파 균질기를 이용하여 쌀 전분의 크기 감소로 인한 물리적 변성 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물 대 전분의 비가 5:1이고, 20,500 rpm조건의 유체전단 균질기와 5초의 파동과 40 kHz의 주파수조건의 초음파 균질기로 각각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생전분과 호화전분의 크기를 1/3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동시에 균질화시 킬 수가 있었다. 균질화된 전분과 균질화된 호화전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값의 비표면적, 광투과도, 용해도 및 팽윤력을 나타내었으며, 매우 큰 폭의 겉보기 점도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초음파 균질기로 처리한 변성전분의 호화과정은 대조구에 비하여 어려웠으나 유체전단 균질기의 경우는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토천궁(土川芎)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Stress on Yield and Quality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강병화;김석동;이상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1997
  • 토양수분(土壤水分) 부족(不足)이 토천궁(土川芎)(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상(氣象) 여건상(與件上) 한발(旱魃)이 자주 발생되는 유식물기(幼植物期), 개화기(開花期) 및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에 토양수분(土攘水分) 부족(不足)을 유발시킨 처리구와 전(全) 생육기간동안 포장용수량 수준으로 관수를 하여준 대조구를 두어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경(根莖)의 수량(收量)은 대조구에 비해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9.1%,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8.2%, 개화기(開花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7.6%가 각각(各各) 감소(減少)되어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감소정도(減少程度)가 가장 컸다. 2. 상품율(商品率)(생근경(生根莖) 20g이상(以上) 비율(比率))은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85.0%, 개화기(開花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81.7%,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78.3%, 대조구(對照區) 93.4%로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가장 낮았으며, 엑스 함량은 대조구(對照區) >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 개화기(開花期) >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處理)의 순으로 높았다. 3. 근경(根莖)의 수량(收量)은 세근(細根)의 수량(收量)과 유의적인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엑스함량은 줄기의 건물중(乾物重) 및 세근수량(細根收量)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되었다.

  • PDF

Chlamydomonas의 Polyamine 함량변화와 엽록체 DNA Methylation (Changes in Polyamine Level and Chloroplast DNA Methylation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109
    • /
    • 1994
  • Chlamydomonas reinhardtii 배우체 유도기 동안에 polyamine 생합성 억제제인 MGBG[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SAMDC 억제제] 1mM 처리구와 정상 대조구에서의 polyamine 함량 변화와 Chlamydomonas의 ct-DNA methylation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137C(+)와 137C(-)의 정상 대조구에서 polyamine 수준은 배우체 유도기 전반에 걸쳐서 감소추세로 나타났으나, 특히 137C(+)가 137C(-)보다 polyamine 함량이 많았으며 동시에 감소량도 컸다. 1mM MGBG 처리구에서는 137C(+)의 spermidine 함량이 정상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In vitro에서 ctDNA methylation에 대한 MGBG의 영향은 정상 대조구에서보다도 1mM MGBG 처리구에서 약 20-30%의 ctDNA methylation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MGBG는 in vitro에서 DNA methylase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어TEk.

  • PDF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Retina and Liver Using a Novel Artificial Rearing System)

  • 임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66-4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 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 동안 n-3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 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 (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 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