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전지역

Search Result 1,39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지상토론회 - 충청권 환경협력 방안모색

  • 대전발전연구원
    • Daejeon Development Forum
    • /
    • s.22
    • /
    • pp.91-94
    • /
    • 2007
  • 대전 충북 충남의 지역혁신협의회에서는 충청권 3개 시도연구원(대전발전연구원, 충남발전연구원, 충북개발연구원)이 참여하는 "충청지역혁신 대장정 2007"의 일환으로 지난 6월 28일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충청권이 하나 되는 충청발전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통로확보를 위하여 충청권 환경협력 방안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지역의 환경전문가와 관련 공무원, 그리고 지역대학이 참여하여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다.

  • PDF

Risk Assessment of Toxic Metals in Taejon 3,4 Industrial Complex (대전 3,4 공단지역의 독성 금속에 대한 위해도 평가)

  • 장미숙;임종명;구부미;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7-248
    • /
    • 2000
  • 본 연구는 대전 3, 4 공단 지역을 대상으로 발암 금속 6종(As Be, Cd, Cr, Ni, 및 Pb)을 포함한 15종의 독성 금속을 선정하여 3, 4 공단과 주변 지역내 5개 지점에서 유도결합 플라스마 분광법(ICP-MS)을 이용하여 계절별 3회씩 1년간 분석하고 이 농도 자료에 근거하여 위해도 평가를 하고자 한다 대전 3. 4공단 지역은 110여개의 생산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대전 1, 2 공단 지역과 더불어 대전시내 대기중 독성 금속의 오염이 가장 심하리라 예상되는 지역이다.(중략)

  • PDF

A Case Study of Selecting Rock Excavation Method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nditions in Daejon Area (대전지역의 토목지질학적 조건을 고려한 암파쇄공법 선정에 관한 사례연구)

  • 윤성현;이광열;안명석;류창하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4
    • /
    • pp.11-22
    • /
    • 2001
  • 토목공사장에서 암파쇄 작업은 경제성과 안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이다. 본 논문은 대전지역에서 수행된 암파쇄 공법 설계 및 시공사례로서, 현장암반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발파공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의 지질현황을 조사·분석하고, 또한 민원이 첨예한 도로개설 공사장에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암절취 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한 사례보고이다. 대전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변성퇴적암류 및 이를 관입한 심성암류와 중생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복잡한 분포를 이루고 있다. 사례연구 대상 현장은 편상구조가 현저한 관입 편상화강암 및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시험발파 및 분석결과를 기초로하여 25.5m이내 지역은 HRS 등 무진동 파쇄공법의 적용을 제안하였고, 25.5∼36m 범위의 대부분 지역은 진동제어를 할 수 있는 제어발파공법을 권장하였고, 기타 진동 영향권에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난 지역은 소발파공법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에 따라 설계를 보완하고 시공한 결과 문제의 발생없이 성공적으로 시공이 완료되었다.

  • PDF

The Effect of Local Industry Policy on the Corporate Innovation Capabilities - Focusing on the Daejeon Techno Park - (지역산업정책이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전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 Kim, Min-Seok;An, Gi-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73-603
    • /
    • 2017
  • 한국정부는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이 시작되는 1999년부터 연평균 약4,970억원을 지역산업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속적인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강화에 기여했는지 알아보기 보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에서 2016년 조사한 '대전지역 혁신자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테크노파크와 기술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 측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기술혁신정량지표인 특허의 결정요인과 슘페터가설 모형에 기초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종속변수로 특허수를 선택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변수(매출액, 매출액제곱, 수출액, 영업이익)와 R&D변수(R&D인력, R&D자금), 그리고 대전테크노파크의 지원여부와 벤처기업지정여부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전테크노파크 지원이 기업의 특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육성정책이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역산업육성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Geochemical Implication of Rare Earth Element from Yellow sand (Asian Dust) at Daejeon Area, Korea: A Preliminary Study for Clarifying Source Area of Yellow Sand (대전지역 황사(아시아 먼지)내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근원지 규명을 위한 초기연구)

  • Lee, Seung-Gu;Youm, Seung-J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44-50
    • /
    • 2008
  • A geochemical technique based on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was used to clarity the source of the Asian dust (Yellow sand) in the Daejeon area. The Asian dusts were collected 4 times during 31th March- 2nd April and 25th May-27th May 2007. The Yellow sand shows PAAS (Post Archean Australian Shale)-normalized REE pattern of the flattened LREE and slightly depleted LREE without Eu anomaly, whereas the Daejeon soil has slightly enriched LREE and depleted HREE with negative Eu anomaly. Our results show that REE patterns of the Asian dust are LREE-flattened similar to those of the sediment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Ordos desert. This suggests that Asian dust in the Daejeon area might be derived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Ordos desert.

Comparison of Ambient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aejon Area (대전지역 대기 분진중 중금속의 농도 비교)

  • 구부미;임종명;장미숙;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63-64
    • /
    • 2000
  • 본 연구는 대전 1,2공단 지역을 대상으로 22개의 원소를 선정하여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한 농도와 도로변 지역인 충남대학교 정문 지역을 대상으로 31개의 원소를 선정하여 NAA를 이용하여 분석한 농도를 가지고 두 가지의 분석방법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된 원소들을 통해 대전의 대표적인 공단지역과 도로변 지역의 농도를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lleges (대학의 행정정보공개와 상대적 효율성 분석)

  • Choi, Ho-Taek;Kang, Ho-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371-379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lleges of Chung Cheong reg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fficiency for CCR, the number of efficient universities(CCR value is one) are five universities. and mean value of CCR fo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Second, the number of efficient colleges(CCR value is one) are three colleges. and mean value of CCR for colleges located in Daejeon region was most high. Third, in case of efficiency for BCC, the number of efficient universities(BCC value is one) are nine universities. and mean value of BCC fo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Fourth, the number of efficient colleges(BCC value is one) are seven colleges. and mean value of BCC for colleg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Financial Ecosystem Development for Venture Capital Activation in Daejeon, Korea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 Choi, Jong-In;Bae, Ka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6
    • /
    • pp.39-48
    • /
    • 2018
  • Despite the fact that Daejeon has excellent technology infrastructures such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Daedeok Innopolis, and KAIST, the infrastructure for initial investment and growth support for technological start-ups is not sufficient. In particular, the amount of venture capital supply in Daejeon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nnovation infra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venture capital ecosystem in Daejeon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evolution process has been undergoing and what improvements and complementary points are needed in the future. First, the role of public finance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stimulate angel investment and private capital inflows to start-up companies. Second, in order to cultivate investment professional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grant local funds to local institutions, and to run investment expert training courses in universities. Thir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is needed to add accelerator functions to existing incubators and to foster new accelerators. Fourth, in order to exp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unds, to open innovation mindset of public officials, and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 central government. Fifth, basic venture ecosystem infrastructures such as inflow of excellent manpower, prevention of technology deception, improvement of rechallenge environment should be expanded. Six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tep-by-step start-up financing policy of 'Establishment - Growth - Exit - Rechalle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grasped the current status of venture start-up financial ecosystem in Daejeon, which is changing rapidly. In particular, it is different in that it identifies financial difficulties venture companies in Daejeon and finds ways to utilize existing financial ecosystem efficiently.

건설안전리포트 - 아파트 건설현장의 기본은 '안전성'과 '친환경' - 대림산업 남대전 e-편한세상 현장 -

  • Yeon, Gi-Seul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4
    • /
    • pp.12-14
    • /
    • 2010
  •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낭월동은 대전에서 손꼽히는 차세대 주거지역이다. 블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중심가에서 멀고 편의시설이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외면 받던 지역이었으나 최근 웰빙 열풍을 타고 이곳의 자연환경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부터 상황이 역전되기 시작했다. 낭월동은 식장산, 보문산 공원, 대전천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거지역으로서는 나무랄 데 없는 자연친화적인 지역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 지역 곳곳에선 대단위 아파트 단지 건설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유독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이 있다. 그곳은 바로 대림산업의 남대전 e-편한세상 현장. 원래 대림산업 자체가 신재생에너지 사용 단지 등으로 인해 친환경적인 아파트를 짓는 건설사로 유명한데 이런 장점이 이 지역의 특성과 맞물려 떨어지면서 더욱 주가를 높이고 있는 것. 게다가 그 시공과정 또한 깨끗하고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믿을 수 있는 아파트'로 지역에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안전'과 '환경' 이 두가지를 통해 지역 최고의 현장으로 불리고 있는 이곳 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