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장경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 및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s of Chojo Tripitaka Koreana and Chojo Print Held by Horim Museum)

  • 김성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05-428
    • /
    • 2006
  •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대장경의 인본(초조본)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6개 사항의 초조본의 특징 및 의의를 도출하였다. 둘째, 재조대장경의 목록인 $\lceil$대장목록$\rfloor$에 기반하여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셋째,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 10종 21권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초조본들이 각각 입장(入藏)되는 함차명(函次名)들이 $\lceil$대장목록$\rfloor$의 그것들과 거의 동일함을 규명하였다. 그리하여 제3장에서 수립한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가 합당함을 입증하였다. 넷째, <효림박물관> 소장의 초조본 $\lceil$화엄경$\rfloor$ 중 이른바 $\lceil$50 화엄경$\rfloor$이 5권이나 존재함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재조대장경에서는 이 $\lceil$50권 화엄경$\rfloor$의 자리(위치)에 $\lceil$60권 화엄경$\rfloor$이 강제로 입장되었음을 밝혔다.

  • PDF

대장내시경검사의 최신지견

  • 정인섭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1호
    • /
    • pp.13-16
    • /
    • 2004
  • 대장내시경검사는 역사적으로 돌아보면 원래 히포크라테스의 치루치료과정에서 직장경 사용으로부터 유래되며 그 후 Kelly의 25 cm 표준 S상 결장경의 발견으로 진전되었고 조명 및 각종 부속기구들이 많이 개선되면서 직장암의 발견에 기여해 왔다. 1911년에 독일 뮌헨의 Michael Hoffman이라는 광학 기술자가 프리즘을 여러 개를 연결하면 직선이 아닌 곡선에서도 빛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를 기초로 하여 1958년에 미국에서 Hirschowitz가 처음으로 섬유경(fiberscope)을 선보였고 그 이후 이용한 상부소화관에 대한 내시경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기초로 1969년부터 ACMI, Olympus, Fujinon, Pentax 등 세계 유수의 내시경 회사들이 대장내시경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1983년에 미국의 Welch-Allyn사가 CCD(Charge Coupled Device)라는 집광 장치를 만들어서 마치 내시경의 눈과 같은 작용을 해서 이것을 내시경 선단에 장치하고 전파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달하여 이 상이 TV 모니터에 비치는 것을 보게 되는 전자내시경을 개발하여 현재는 상부내시경 뿐 아니라 대장내시경도 대부분이 전자 내시경으로 대체되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PDF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 김성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63-288
    • /
    • 2012
  • 이 논문은 고려 초조대장경 조조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1) 초조대장경의 조조(雕造)는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즉 '진병대장경(鎭兵大藏經): 거란과의 전쟁을 진압한 대장경'이라는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증거와 발원지(發源地) 및 발원일(發願日)을 규명함으로써 그 가치와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부여하고자 하였다. 2) 형태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 판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목판 판각에 있어서 중국 개보칙판대장경의 인쇄본을 단순하게 복각(復刻)한 것이 아닌, 이른바 독창적이고 탁월한 예술성(藝術性)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형태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체계서지학적인 측면에서의 초조대장경의 편성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중국 역대의 모든 불전목록을 빠짐없이 편입한 것으로 보아, 문종시대 이후의 초조대장경의 편성에는 개개 불전 또한 목록학적(目錄學的)인 철저한 검증을 거쳐서 대장경에 편입시켰을 것이라는 점에서 보면, 포괄성(包括性)과 누적성(累積性)을 지닌 체계서지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고여재조대장경에 수용된 계단대장경 (The Tripataka Qidan(戒壇大藏經) that was accommodated at the Tripataka Koreana(高麗再雕大藏經))

  • 유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3-94
    • /
    • 2004
  • 본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재조장에 기록된 여러 가지 교감 기록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재조장에 수용된 거란장의 성격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구명되었다. 첫째, 재조대장경에 편입된 거란장은 모두 18건이었다. 둘째, 재조대장경에서 교정의 저본으로 수용된 거란장은 모두 42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오류가 지적된 거란장은 모두 11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에서 대교본으로 수용된 경전은 모두 57이었다. 넷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거란장에 미 입장된 것으로 확인된 경전은 4건이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거란장은 일부분이 아닌 거의 대부분이 재조대장경의 대교본으로 수용되었으며, 또한 종래의 견해대로 거란장은 매우 우수한 판본이었지만, 또한 적지 않은 오류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 질환과 대장 용종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of Colorectal Polyps and Fatty Liver Disease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 이혜남;임청환;정홍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45-352
    • /
    • 2014
  • 지방간은 초음파검사에 의해 진단되는 임상적으로 흔한 간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간과 대장암의 전구병변인 대장용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지방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3년 1년 동안 청주소재 소화기내과전문센터에서 복부초음파와 대장내시경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만성간질환이나 대장질환이 없는 성인 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간과 대장용종의 Chi-Square test에서 지방간이 있는 사람이 지방간이 없는 사람보다 유의미하게 용종이 많이 발생하였다(p<.001).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지방간과 대장용종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p<.001).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지방간(OR 3.80; 95% CI 1.93.-7.50), 공복 시 혈당(OR 2.51; 95% CI 1.12-5.62), 나이(OR 2.12; 95% CI 1.27-3.54) 이 대장용종의 발생에 유의미하게 작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지방간이 대장용종의 발생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어 지방간으로 진단되었을 때에는 대장내시경검사를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고려(高麗)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 나타난 교정(校正)의 흔적(痕迹) (Traces of Revision are in the Vol.60 Abstract of Tripitaka Koreana Hwayemgyeong)

  • 유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7
    • /
    • 2008
  • 본고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판각(板刻)이 완료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을 하여 보각(補刻)한 흔적(痕迹)을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서 찾아내어 분석한 것이다. 문제의 교정 흔적은 "건립지혜당(建立智慧幢) 견고불동요(堅固不動搖) '지(知)'천변화법(天變化法) 이현변화사(而現變化事)"의 내용 가운데 '지(知)'자(字)에서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문제의 '지(知)'자(字)는 여타의 문자보다 상당히 크고 묵색(墨色) 또한 다른 글자보다 매우 진했다. 이 현상에 의거해서 필자는 이 '지(知)'자(字)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판각(板刻)이 완료(完了)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되어 보각(補刻)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교정이 상당히 완벽했음을 입증해 주는 하나의 단서가 되는 것이다.

  • PDF

가상 대장 내시경 시스템을 위한 고속 경로 생성 알고리즘 (A Fast Flight-path Generation Algorithm for Virtual Colonoscopy System)

  • 강동구;이재연;나종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2
    • /
    • 2003
  • 삼차원 CT 영상을 이용하여 대장 내부의 병변을 관찰하고 진단하기 위한 비침습적 검사 방법인 가상 대장 내시경을 위하여 가상 카메라의 관찰점과 관찰 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경로가 필요하다. 특히. 인간의 대장은 매우 길고 복잡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경로를 생성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고 정확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계산량이 많아 약 수 분에서 수 십분 이상의 수행 시간이 걸리고. 사람의 대장이 가지는 대표적인 구조인 두께가 급격히 변하거나 곡률이 큰 영역에서 적절한 중앙선을 얻기 어려우며. 끊김이 있는 부적절한 경로를 생성하고, 평활화된 경로가 대상체의 표면과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계산량이 적은 거리 지도 및 제안된 순서 지도를 이용하여 끊김이 없고 적절한 중앙선을 얻는 고속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순서 지도는 대상체 내부의 각 복셀에서의 가능한 경로의 방향을 나타내며 거리 지도는 대상체 내부의 각 복셀과 가장 가까운 배경 복셀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두 지도들을 이용하여 끝점에서 출발하여 시작점을 향하는 동시에 더욱 넓은 영역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얻으므로, 대상체의 두께와 곡률의 크기에 관계없이 적절한 중앙선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경로의 충돌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평활화 방법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람의 대장의 특징을 가진 팬텀(phantom)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사람의 대장 CT 데이터를 이용하여 800MHz PC에서 1분 이내에 적절한 경로를 얻었으며 이를 따라 이동하는 가상의 카메라로부터 만족할만한 가상 대장 내시경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소아 선혈변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의 역할 (The Role of Colonoscopy in Children with Hematochezia)

  • 위주희;박현석;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2호
    • /
    • pp.155-160
    • /
    • 2011
  • 목적: 소아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선혈변의 진단에 대장 내시경 검사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선혈변으로 부산대학교병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은 277명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190명(68.6%), 여자가 87명(31.4%)으로 남녀비는 2.2:1이었다. 진단 시 평균 연령은 $6.0{\pm}4.4$세였고, 첫 혈변의 발생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까지의 평균 기간은 $4.9{\pm}12.1$개월이었다. 혈변의 양상은 선홍색 또는 검붉은 색의 혈변 65.1%, 변을 닦을 때 휴지에 묻는 양상 12.8%, 변기 물이 붉게 변하는 양상 11.9%, 선홍색 혈액이 뚝뚝 떨어지는 양상 10.2%였다. 내시경 스코프가 대장의 최근위부에 도달한 위치를 보면 회장말단 84.5%, 맹장 9.4%, 간 굴곡부 3.2%, 비장 굴곡부 2.9%였다. 내시경 검사에서 혈변의 원인을 찾을 수 없었던 경우가 30.6%였다. 혈변의 원인으로는 용종이 26.4%로 가장 많았고, 식이 단백 유발 직결장염 6.9%, 감염성 대장염 5.4%, 혈관 확장증 5.1%, 림프모낭염 4.7%, 비특이성 대장염 4.7%였다. 그 외 궤양성 대장염, 호산구성 대장염, 자가절제 용종, 크론병, 호중구 감소성 소장결장염,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 Peutz-Jeghers 증후군, 허혈성 대장염, 혈관종, 고립성 직장 궤양,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blue rubber nevus 증후군 등이 진단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직장 24.0%로 가장 많았으며, 직장-S상 결장 접합부 18.1%, S상 결장 13.5%, 상행 결장 14.2%, 횡행 결장 11.3%, 하행 결장 7.8%, 맹장 8.1%, 회장 말단 3.1% 등이었다. 대장 내시경 시행 이후에 혈변이 재발한 환자는 19.1%였고, 5명의 환자에서 내시경적 지혈술이 시행되었다. 94.6%의 환자가 의식하 진정 상태에서 내시경 시술을 받았으며 내시경 검사나 진정으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소아에서의 선혈변은 원인과 정도가 다양하다. 대장 내시경 검사는 선혈변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전한 검사 방법이다. 출혈 병소가 다양하므로 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