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용량 어휘 연속 음성인식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with Limited word (제한된 단어를 갖는 우리말 연속 음성 인식)

  • 김석동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87-90
    • /
    • 1998
  • 이 논문에서 우리는 대규모 어휘를 갖는 연속 음성 인식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말은 영어와 구조적으로 달라서 대용량 어휘를 갖는 연속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언어모델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 언어 모델을 우리말 문장에 적용하기 위해 신문의 사설을 3-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우리의 인식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공학 연구소에서 제공한 낭독 음성을 대상으로 인식률을 계산하였다. 589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총 20명이 발음한 3,156개의 문장에 대하여 남자 92.2%, 여자 87.9%의 인식률을 얻었다. 발음사전은 낭독음성과 신문 사설에서 추출한 10K 크기이며 uniphone의 음성모델을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Variabl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in the Vocabulary-Independent Environments (어휘독립 환경에서의 가변어휘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황병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69-372
    • /
    • 1998
  • 본 논문은 어휘독립(Vocabulary-Independent) 환경에서 별도의 훈련과정 없이 인식대상 어휘를 추가 및 변경할 수 있는 가변어휘(Variable Vocabulary)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를 다룬다. 가변어휘 인식은 처음에 대용량 음성 데이터베이스(DB)로 음소모델을 훈련하고 인식대상 어휘가 결정되면 발음사전에 의거하여 음소모델을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훈련과정 없이 인식대상 어휘를 변경 및 추가할 수 있다. 문맥 종속형(Context-Dependent) 음소 모델인 triphone을 사용하여 인식실험을 하였고, 인식성능의 비교를 위해 어휘종속 모델을 별도로 구성하여 인식실험을 하였다. Unseen triphone 문제와 훈련 DB의 부족으로 인한 모델 파라메터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state-tying 방법 중 음성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tree-based clustering(TBC) 기법[1]을 도입하였다. Mel 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MFCC)와 대수에너지에 기반을 둔 3 가지 음성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인식 실험을 병행하였고, 연속 확률분포를 가지는 Hidden Markov Model(HMM) 기반의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인식 실험에는 22 개 부서명 DB[3]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어휘독립 환경에서 최고 98.4%의 인식률이 얻어졌으며, 어휘종속 환경에서의 인식률 99.7%에 근접한 성능을 보였다.

  • PDF

Efficient Search Algorithms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대용량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탐색 알고리즘)

  • 박형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75-78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대용량 연속음성 인식에서 인식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음성인식에 있어서 많은 양의 계산을 요하는 부분은 관측 확률의 계산과 탐색에 필요한 계산이다. 탐색에 필요한 계산을 줄이기 위하여 빔 탐색법과 phoneme look-ahead기법을 통해 탐색 공간을 줄였으며, 관측 확률을 계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입력 특징 벡터와 이웃 관계에 있는 가우시안 성분들만 정확한 계산을 하는 VQ에 의한 계산량 감축 방법과 tree-structured pdf 방법을 구현하였다. 3천개의 어휘와 2천여개의 트라이폰 모델로 구성된 연속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보통의 Viterbi 빔 탐색법을 적용한 경우에 실시간의 2.73배의 인식 속도로 93.39%의 단어 인식률을 얻을 수 있는데 phoneme look-ahead 기법과 tree-structured pdf 방법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비슷한 인식 성능에서 1.55배의 인식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SPHINX : Hidden Markov Model 기반 음성인식 시스템

  • Kim, Myeong-Won;Lee, Yeong-Jik;Jeon, In-He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5 no.2
    • /
    • pp.63-77
    • /
    • 1990
  • HMM(Hidden Markov Model)은 음성을 기술하는데 적합한 model이다. 본 고는 최근 CMU에서 개발한 HMM에 기반을 둔 화자독립, 연속음성 system인 SPIHNX에 대하여 기술한다. SPHINX는 단순한 음소의 HMM model을 적용한 baseline SPHINX로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지식의 추가 및 음성단위의 조정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그 성능이 개선되어 왔다. SPHINX의 최종 version은 어휘 약 1000단어 정도의 재원 관리에 관한 질문 형태의 문장을 인식하는데 96%의 높은 인식율을 보인다. SPHINX는 가장 발전된 음성인식 시스템의 하나이며 이는 화자독립, 대용량어휘의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recognition of word b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technic (연속 음성 인식 기법을 이용한 단어 음성 인식)

  • 조영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91-94
    • /
    • 1998
  • 우리만은 영어와는 달리 단어를 공백으로만 구분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용량 어휘를 갖는 연속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언어모델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 N-gram의 언어 모델을 우리말 문장에 적용하기 위해 하나의 문장을 한 단어로 구성하여 처리하였다. 우리의 인식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공학 연구소에서 제공한 음성을 대상으로 인식률을 계산하였다. 단어의 종류는 452개이며 한명이 이 단어들을 2번씩 발음하고 총70명이 발음한 총 63,280개의 단어에 대하여 92.8%의 인식률을 얻었다. 일간지 사설로부터 추출한 단어를 대상으로 발음 사전을 10K 크기로 만들었다. 음성 모델은 uniphone을 사용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Morphological Analyzer Based on Pseudo-morpheme for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zing (대어휘 음성인식을 위한 의사형태소 분석 시스템의 구현)

  • 양승원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4 no.2
    • /
    • pp.102-108
    • /
    • 1999
  • It is important to decide processing unit in the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system we propose a Pseudo-Morpheme as the recognition unit to resolve the problems in the recognition systems using the phrase or the general morpheme. We implement a morphological analysis system and tagger for Pseudo-Morpheme. The speech processing system using this pseudo-morpheme can get better result than other systems using the phrase or the general morpheme. So, the quality of the whole spok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can be improved. The analysis-ratio of our implemented system is similar to the common morphological analysis systems.

  • PDF

Phonetic Question Set Generation Algorithm (음소 질의어 집합 생성 알고리즘)

  • 김성아;육동석;권오일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73-179
    • /
    • 2004
  •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raining data i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imilar context dependent phones can be clustered by decision trees to share the data. When the decision trees are built and used to predict unseen triphones, a phonetic question set is required. The phonetic question set, which contains categories of the phones with similar co-articulation effects, is usually generated by phonetic or linguistic experts. This knowledge-based approach for generating phonetic question set, however, may reduce the homogeneity of the clusters. Moreover, the experts must adjust the question sets whenever the language or the PLU (phone-like unit) of a recognition system is changed. Therefore, we propose a data-driven method to automatically generate phonetic question set. Since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the phone categories using speech data distribution, it is not dependent on the language or the PLU, and may enhance the homogeneity of the clusters. In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found to reduce the error rate by 14.3%.

A Study on the Korean Syllable As Recognition Unit (인식 단위로서의 한국어 음절에 대한 연구)

  • Kim, Yu-Jin;Kim, Hoi-Rin;Chung, Jae-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64-72
    • /
    • 1997
  • In this paper, study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for finding recognition unit fit which can be used in large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 Specifically, a phoneme that is currently used as recognition unit and a syllable in which Korean is well characterized are selected. From comparisons of recognition experiments, the study is performed whether a syllable can be considered as recognition unit of Korean recognition system. For report of an objective result of the comparison experiment, we collected speech data of a male speaker and processed them by hand-segmentation for phoneme boundary and labeling to construct speech database. And for training and recognition based on HMM, we used HTK (HMM Tool Kit) 2.0 of commercial tool from Entropic Co. to experiment in same condition. We applied two HMM model topologies, 3 emitting state of 5 state and 6 emitting state of 8 state, in Continuous HMM on training of each recognition unit. We also used 3 sets of PBW (Phonetically Balanced Words) and 1 set of POW(Phonetically Optimized Words) for training and another 1 set of PBW for recognition, that is "Speaker Dependent Medium Vocabulary Size Recognition." Experiments result reports that recognition rate is 95.65% in phoneme unit, 94.41% in syllable unit and decoding time of recognition in syllable unit is faster by 25% than in phone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