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식세포

검색결과 1,044건 처리시간 0.041초

질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waginazis)에 대한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resident and Iymphokine-activat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 against yrichomonas vaginalis)

  • 유재숙;안명희;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85-90
    • /
    • 1990
  • 질트리코모나스(Trichomenas vaginalis)에 대한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 및 림포카인으 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을 각각 관찰하였다. 세포독성은 질트리로모나스를 3H-TdR로 label시킨 후 대식세포와 반응시켜 사멸한 원충에서 방출되는 방사능 양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원충에 대한 비율을 1 : 1, 5 :1, 10 : 1, 20 : 1 및 50 : 1로 증가시키고 반응시간을 12시간 및 24시간으로 변화시켰을 때, 대식세포와 원충의 비율 10 : 1 및 24시간 반응의 경우 가장 놓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마우스 비장세포를 phytohemagglutinin으로 자극시켜 얻은 림포카인으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서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 대식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세포독성이 림포카인의 희석정도와는 비례하지 않았다. 또한 질트리코모나스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세포는 주로 플라스틱에 부착하는 대식세포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NO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n effector of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 박건채;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1997
  •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가 질편모충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질소 중간산물에 영향을 주는 약제를 첨가한 후 nitrite 생산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식세포로는 마우스(BAkBlc) 복강 대식세포와 마우스 복강 내 종양세포인 RAW264.7 세포로 LPS(lipopolysaccharide)나 $rIFN-{\gamma}$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독성의 측정을 위해서 질편모충을 methyl-[$^3H$]-thymidine으로 표지하였고 NO의 측정은 Griess reagent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는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RAW264.7 세포는 $rIFN-{\gamma}$ 또는 $rIFN-{\gamma}$ 및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 및 nitrite 생산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로 활성화시킨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와 $rIFN-{\gamma}$로 활성화시킨 RAW264.7 세포에 NO 생산에 영향을 주는 NG-monomethyl-L-arginine(L-NMMA), NC-nitro-L-arginine methyl ester(NAME), arginase를 첨가하였을 때 약제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 생산이 감소하였다. NO synthase coractor인 tetrahydrobiopterin($H_4B$)을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넣었을 때 질편모충 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였다. Ferrous sulfate를 두 종류의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생산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NO 생산 및 세포독성이 증가하였고. NO 생산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은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 및 RAW264.7 세포에 의한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NO는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숙주 방어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LTRASTRUCTURAL FEATURES OF MACROPHAGES IN PERIODONTAL DISEASE

  • 최상묵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8권1호통권130호
    • /
    • pp.55-58
    • /
    • 1980
  • 치주질환 발생시의 대식세포의 형태적 변화 및 기능적인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저 성견 5마리를 사용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을 전신마취한 후 상하악 우측 제 1 및 제 2 소구치의 치경부에 1.3mm굵기의 wire를 4주간 결찰하여 인위적으로 치주염을 유발시켜 실험적으로 하였고, 동일동물의 좌측 제 1 및 제 2 소구치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치아협측치은을 0.5 0.5 1mm의 형태로 절제하여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한 통법의 조직처리를 한 다음 관찰하였다. 그 관찰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았다. 1. 실첨군의 치은의 고유층에 탐식성 돌기를 가진 많은 대식세포들이 출현하였다. 2. 변성된 교원 섬유군 인접부위에 phagocytic vesicle을 가진 대식세포들의 세포질내에 지방과립 및 잔존물을 볼 수 있었다. 한편 RER 및 Golgi complex는 매우 적었다. 3. 세포막은 그 기능상으로 많은 ruffles or folds를 나타냈으며 이 물질을 포식하는 양식을 뛰기도 하였다. pinocytotic activity를 띄는 대식세포들도 보였다. 4. 신생섬유아세포 주위에 밀접한 관계를 띄고 대식세포가 나타났으며 상호 유사하다. 대식세포에는 많은 residual body가 나타났고 RER은 매우 적었다.

  • PDF

대식세포의 식세포활동과 화학주성에 대한 인삼분획물의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on Phagocytosis and Chemotaxis of Murine Macrophages)

  • 신은경;김세창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7-34
    • /
    • 1996
  • 쥐의 복강과 폐포 대식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효모에 대한 식세포활동 및 화학주성을 관찰하였다. 식세포활동이 일어나는 양상을 wright-Giemsa로 염색하여 사진으로 확인하였다. 복강 대식세포의 경우 diol saponin 처리군에 의해 약 48%까지 식세포활동이 증가되었고 total saponin 처리군에 의해 약 35%까지 식세포활동이 감소되었다. 폐포 대식세포의 경우 모든 인삼분획물 처리군에 의해 최고 50%까지 섭식이 증가되었다. 화학주성은 복강 대식세포의 경우 인삼분획물 처리군 모두 약 17%까지, 폐포 대식세포에서는 diol saponin만 약 16%까지 이동되었다. actin의 증감을 SDS-PAGE로 확인해 보았으나 변화가 없었다.

  • PDF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 (Immune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Wheat Arabinoxylan)

  • 최은미;임태수;이혜림;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0-517
    • /
    • 2002
  • 밀 배아에서 제조된 arabinoxylan(A1: low MW, A2: medium MW, A3, high MW)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을 invitro에서 마우스 비장 림프구와 복강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밀 arabinoxylan으로 처리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생존능을 살펴보았을 때 50, $100\;{\mu}g/mL$ 농도에서 A3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증가시켰고 비장 림프구에 $10\;{\mu}g/mL$ LPS를 첨가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20\;{\mu}g/mL$ arabinoxylan을 처리한 결과 A1과 A3이 대조군에 비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생존율 관찰한 결과 $10{\sim}100\;{\mu}g/mL$ 농도에서 A1과 A3은 대식세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대식세포의 암세포 살해능을 살펴보았을 때 $5\;{\mu}g/mL$ 농도의 A3이 암세포독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phagocytic index를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을 $2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밀 arabinoxylan이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arabinoxylan은 대식세포의 lysosomal phosphatase와 myeloperoxid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p<0.05)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H_2O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은 유의적인 $H_2O_2$ 생성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NBT 환원법으로 대식세포의 $O_2$ 생성 지표를 측정하였을 때, arabinoxylan은 유의적으로 대식세포의 NBT 환원을 증가시켰다(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lysosomal enzyme 및 반응성산소종(ROI)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NQO1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억제 (Inhibitory Effect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 훙지;장펑;윤이나;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73-878
    • /
    • 2017
  • 본 연구는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에서 NQO1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는 배양액으로 분비하는 IL-6와 $TNF-{\alpha}$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NQO1 WT 생쥐와 NQO1 KO 생쥐에서 각각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특이하게도 NQO1 KO 복강대식세포가 NQO1 WT에 비해서 더 높게 활성화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 생쥐의 복강대식세포에 NQO1 억제제(dicumarol)을 처치한 경우에도 강한 활성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Dicumarol을 처치한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서도 강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NQO1이 대식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억제하는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dicumarol을 처치하여 NQO1의 기능을 억제시킨 다양한 대식세포에서 $I{\kappa}B$ 단백질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매개하는 주요 신호분자가 $NF{\kappa}B$이며 이 분자에 대한 억제자가 $I{\kappa}B$라는 사실들을 감안할 때, NQO1의 기능이 $I{\kappa}B$ 단백질변성 억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차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향 후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조절하는 NQO1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결과가 될 것이다.

진행성 위암에서 종양 연관성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의 침윤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Infiltrations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s, Mast Cells, and Dendritic Cells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Advanced Gastric Cancer)

  • 이승범;지경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206-212
    • /
    • 2005
  • 목적: 신생혈관형성은 암의 증식, 침습, 전이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위선암에서 대식세포, 비만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통한 신생혈관형성 작용을 보이고 가지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기능이 억제된다. 이들 세포의 조직 침습이 조직병리 및 임상예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진행성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79명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 및 미세혈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고, 이들의 발현과 임상병기 및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식세포의 수는 분화도가 낮을수록, 조직침습이 깊을수록, 림프절전이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미세혈관 밀도 및 생존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만세포와 가지세포의 침윤정도는 조직병리 및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종양연관성 대식세포가 위암환자에 있어 예후인자로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 인지와 대식세포의 침습부위에 따른 임상적 관련성에 대해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돼지 황체에서 황체용해와 대식세포와의 관계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crophages During Luteolysis in the Pig)

  • 김원식;한승로;손성경;박창식;양윤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91-202
    • /
    • 2006
  • 황체내에서 대식세포는 자신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을 통해 황체형성기에는 황체형성세포들의 증식과 성장에 관여하고 황체용해시기에는 황체세포들의 아포토시스와 그들의 제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돼지에서 최대성숙황체 시기와 황체의 용해에 따른 대식세포의 역할과 작용기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황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에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포식하는 대식세포들이 관찰되지 않았고, 최대 황체시기와 황체용해시기에 대식세포들은 미세구조와 그것들이 위치하는 부위가 각기 다른 2가지 아형들이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 아포토시스 소체들이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에 의하지 않고 자체 혈관을 통해 제거되는 것으로 보이며, 황체에는 각 시기별로 각기 다른 임무를 띤 아형의 대식세포들이 혈류로부터 들어와 시기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과씨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 조절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Apple Seed Extracts on Macrophage)

  • 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513-1517
    • /
    • 2013
  • 본 연구는 사과씨로부터 추출한 사과씨 에탄올 추출물이 1차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의 면역기능에 관하여 면역기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지에 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과씨 추출물을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활성화 관련 지표인 nitric oxide와 cytokine(IL-6, TNF-${\alpha}$)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과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활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사과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면역 활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과정에 관하여 연구해 본 결과, 사과씨 추출물의 처리는 대식세포 내 MAPKs(ERK, p38) 및 $I{\kappa}B-{\alpha}$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신호전달 과정을 경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etrahymena pyriformis에 의한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의 활성화 (Effect of in vivo administration of Tetrahymena pyriformis on the in vitro toxoplasmacidal activity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김정태;정평림;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1991
  • 자유생활 담수 섬모충류의 일종인 Tetrahymenn Pyriformis는 비특이적으로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미생물 살멸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한국에서 순수분리 배양된 GL주(주)에 대한 평가는 시행된 바 없어 본 섬모충의 추출액을 ICR 마우스 복강 내로 주사하여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한 다음 실험실 내에서 표적 기생 원충인 Toxoplasma gondii (RH 주)를 접촉시켜 시간별로 Togoplasma 살멸 효과를 보아 대식세포의 환성도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적 기생 원충으로서 살아있는 Toxo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식세포 활성제 처리 실험군은 물론 대조군에서도 모두 처리 1분 이내에 Toxoplasma가 숙주세포내로 침입 내지 탐식되었으며 이때 탐식지수 범위는 15∼51%였다. 대조군에서는 배양 시간에 따라 100개의 대식세포당 총 탐식 표적 기생충 수가 증가하였으나 활성제 처리군에서는 배양 20시간에 그 수가 모두 줄었고 Tetrahymena 처리군에서는 총 표적 기생충 수가 14, 탐식지수 10%로서 가장 왕성한 대식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화학 함성 활성제로서는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가 Tetrakymena와 대차 없는 대식세포 활성효과를 보였다. 표적 기생 편충으로서 열처리 Tonx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 1분 이내에 역시 Toxoplasma 가 숙주 세포에 의해 탐식되었으며 탐식지수 범위는 8∼25%여서 살아있는 영양형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낮은 범위를 보였다. 이때 Tetrakymena 처리군에서는 탐식지수 4%, 대식세포 100개당 표적 세포 총수가 4로서 Texoplasma 추출액 처리군과 함께 가장 우수한 활성제로 평가되었으며 화학합성 활성제로서는 DDA, dextran sulfate, complete Freund's adjutant 순으로 환성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 pyriformis (GL 주)는 화학합성 활성제보다 우수한 Toxoplasma 살멸 효과를 나타내었고, 실험실 내에서 대량 무균 배양될 수 있어 앞으로 대식세포 활성제로서, 나아가 Toxopzasma 감염 억제제로서 널리 이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