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Infiltrations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s, Mast Cells, and Dendritic Cells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Advanced Gastric Cancer

진행성 위암에서 종양 연관성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의 침윤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

  • Lee, Seung-Bum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Chi, Kyong-Ch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이승범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용산병원 외과학교실) ;
  • 지경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용산병원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Purpose: Angiogenesis has a critical role in tumor prolife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tumor-associated macrophages and mast cells produce angiogenic factors such as VEGF, that inhibit the functional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umor-associated macrophages, mast cells, dendritic cell infiltrations, and microvessel densities (MV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prognosis for gastric-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79 patients selected from those who had undergone a curative gastric resection for stomach cancer. With them, Immune-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using CD34 for the MVD, CD68 antigen for macrophages, and S-100 protein for dendritic cells, and toluidine blue staining was done for mast cells. Results: Macrophage infilt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istologic differenti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vasion depth, nodal metastasis, and stage. S-100 (+) dendritic cells and mast cell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istologic differentiation, invasion depth, nodal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stage, and MVD. As survival,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the variables. Conclusion: Tumor-associated macrophages should be evaluated as possible prognostic markers in gastric-cancer patients.

목적: 신생혈관형성은 암의 증식, 침습, 전이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위선암에서 대식세포, 비만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통한 신생혈관형성 작용을 보이고 가지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기능이 억제된다. 이들 세포의 조직 침습이 조직병리 및 임상예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진행성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79명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 및 미세혈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고, 이들의 발현과 임상병기 및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식세포의 수는 분화도가 낮을수록, 조직침습이 깊을수록, 림프절전이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미세혈관 밀도 및 생존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만세포와 가지세포의 침윤정도는 조직병리 및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종양연관성 대식세포가 위암환자에 있어 예후인자로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 인지와 대식세포의 침습부위에 따른 임상적 관련성에 대해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