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식(大式)

검색결과 2,227건 처리시간 0.029초

Cytokine이 Toxopla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tokines in the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from mice infected with Toxopluma gondii)

  • 이영하;신대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1994
  • T. gonnii의 Beverley주를 감염시킨 마우스(감염군)로부터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에 cytokine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복강대식세포 단세포층에 medium, 조제 Iymphokine, 재조합 tumornecrosis $factor-{\alpha}{\;}(TNF-{\alpha})$. 재조합 $interferon-{\gamma}{\;}(IFN-{\gamma})$, 및 재조합 $IFN-{\gamma}와{\;}TNF-{\alpha}$를 함께($IFN-{\gamma}/TNF-{\alpha}$) 처치한 후, 각 처치군별 $H_2O_2{\;}생산량,{\;}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염군의 복강대식세포에 $IFN-{\gamma}{\;}처치시{\;}NO2^{-}$ 생산량은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외의 처치군에서는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염군 대식세포에 $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H_2O_2$ 생산량이 medium처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NO2^{-}$ 생산량은 $TNF-{\alpha},{\;}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감염군에 cytokine 처치시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은 medium 처치시보다 모두 증가되었다 또한 정상군과 감염군의 $H_2O_2$ 생산량, $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상호 비교시 $IFN-{\gamma}$ 처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그 외의 cytokine 처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IFN-{\gamma}$가 Toxoplo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 (Immune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Wheat Arabinoxylan)

  • 최은미;임태수;이혜림;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0-517
    • /
    • 2002
  • 밀 배아에서 제조된 arabinoxylan(A1: low MW, A2: medium MW, A3, high MW)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을 invitro에서 마우스 비장 림프구와 복강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밀 arabinoxylan으로 처리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생존능을 살펴보았을 때 50, $100\;{\mu}g/mL$ 농도에서 A3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증가시켰고 비장 림프구에 $10\;{\mu}g/mL$ LPS를 첨가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20\;{\mu}g/mL$ arabinoxylan을 처리한 결과 A1과 A3이 대조군에 비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생존율 관찰한 결과 $10{\sim}100\;{\mu}g/mL$ 농도에서 A1과 A3은 대식세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대식세포의 암세포 살해능을 살펴보았을 때 $5\;{\mu}g/mL$ 농도의 A3이 암세포독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phagocytic index를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을 $2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밀 arabinoxylan이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arabinoxylan은 대식세포의 lysosomal phosphatase와 myeloperoxid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p<0.05)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H_2O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은 유의적인 $H_2O_2$ 생성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NBT 환원법으로 대식세포의 $O_2$ 생성 지표를 측정하였을 때, arabinoxylan은 유의적으로 대식세포의 NBT 환원을 증가시켰다(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lysosomal enzyme 및 반응성산소종(ROI)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 황체에서 황체용해와 대식세포와의 관계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crophages During Luteolysis in the Pig)

  • 김원식;한승로;손성경;박창식;양윤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91-202
    • /
    • 2006
  • 황체내에서 대식세포는 자신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을 통해 황체형성기에는 황체형성세포들의 증식과 성장에 관여하고 황체용해시기에는 황체세포들의 아포토시스와 그들의 제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돼지에서 최대성숙황체 시기와 황체의 용해에 따른 대식세포의 역할과 작용기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황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에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포식하는 대식세포들이 관찰되지 않았고, 최대 황체시기와 황체용해시기에 대식세포들은 미세구조와 그것들이 위치하는 부위가 각기 다른 2가지 아형들이 관찰되었다. 이같은 결과로 볼 때, 돼지에서는 황체용해시 아포토시스 소체들이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에 의하지 않고 자체 혈관을 통해 제거되는 것으로 보이며, 황체에는 각 시기별로 각기 다른 임무를 띤 아형의 대식세포들이 혈류로부터 들어와 시기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과씨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 조절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Apple Seed Extracts on Macrophage)

  • 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513-1517
    • /
    • 2013
  • 본 연구는 사과씨로부터 추출한 사과씨 에탄올 추출물이 1차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의 면역기능에 관하여 면역기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지에 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과씨 추출물을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활성화 관련 지표인 nitric oxide와 cytokine(IL-6, TNF-${\alpha}$)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과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활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사과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면역 활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과정에 관하여 연구해 본 결과, 사과씨 추출물의 처리는 대식세포 내 MAPKs(ERK, p38) 및 $I{\kappa}B-{\alpha}$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신호전달 과정을 경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에 관한 연구 (Spontaneous and Stimulated Release of the TNF-$\alpha$, IL-1$\beta$, IL-6 and IL-8 of Alveolar Macrophages in the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42-952
    • /
    • 1998
  • 연구배경: 결핵균(m. tuberculosis)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능에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중요하며, 항 결핵반응은 주로 T-림프구와 대식세포에 의하여 매개된다. 결핵균이 대식세포에 탐식되면 특징적인 cytokine이 분비되며 이 cytokine이 잠재적인 면역조절반응과 결핵감염시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특히 육아종 형성, 건락성 괴사, 및 지연형 과민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의 기관지폐포 세척액에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cytokine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와 interleukin-8의 자발 및 LPS 자극 후의 분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결핵 환자 10예와 대조군 5예를 대상으로 기관지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여 폐포 대식세포를 분리한 후 RPMI 1640 배양액에 폐포 대식세포가 mi당 $1 {\times}10^6$개가 되도록 희석하여 LPS 0.1 ${\mu}g/ml$, 1 ${\mu}g/ml$, 10 ${\mu}g/ml$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37^{\circ}C$, 5% CO2 하에서 24 시간 및 48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에서 TNF-$\alpha$, IL-1$\beta$, IL-6와 IL-8의 분비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폐포 대식세포에서 측정한 24 시간 자발적 TNF-$\alpha$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 $1149{\pm}805.5$ pg/ml, 대조군 $125{\pm}109.7$ pg/ml, 비병변 $127{\pm}135.6$ pg/ml, IL-6의 분비는 이환된 병변이 $20.6{\pm}16.12$ ng/ml, 대조군 $0.91{\pm}0.58$ ng/ml, 비병변 $1.10{\pm}1.38$ ng/ml로 병변에서 유의하게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p<0.05). 폐포 대식세포에서 LPS 10 ${\mu}g/ml$로 48 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TNF-$\alpha$와 IL-6 분비능은 결핵의 이환된 병변에서 대조군이나 비병변에 1:11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IL-1$\beta$와 IL-8의 24시간 자발적 분비능 및 LPS 10 ${\mu}g/ml$로 48시간 동안 자극한 후의 분비능은 결핵 병변의 대식세포에서는 측정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 비병변에서 얻어진 대식세포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TNF-$\alpha$의 분비는 대부분이 처음 24 시간에 분비되었으나 IL-1$\beta$, IL-6 및 IL-8의 분비는 48시간까지 점차 증가되었다. TNF-$\alpha$, IL-1$\beta$ 및 IL-6는 자발적 분비에 비하여 LPS를 0.1 ${\mu}g/ml$, 1 ${\mu}g/ml$, 10 ${\mu}g/ml$로 증가시킬 수록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IL-8은 LPS 1 ${\mu}g/ml$ 시 분비가 고평부를 이루었다. 결핵 비병변에서 얻어진 폐포 대식세포에서 TNF-$\alpha$, IL-1$\beta$ 분비능은 초치료 환자에서 재발환자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IL-6와 IL-8의 분비능은 초치료와 재치료 환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폐결핵 환자의 폐포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이는 직접 이환된 부위의 폐포 대식세포에 국한되었다. 또한 폐포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 IL-1$\beta$가 특히 결핵의 초감염시 균에 대한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암미세환경에서 종양관련대식세포의 역할 (Role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 in Tumor Microenvironment)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92-998
    • /
    • 2018
  • 암세포는 종양의 성장을 지지하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자란다. 암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주요 세포등은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면역세포들이며 이들세포들은 암세포들과 서로 소통을 하고 있다 종양조직에 유입된 면역세포중에서 대식세포가 종양미세환경의 주요성분으로서 다양한 면역현상들을 조절한다. 면역세포유입에 의한 암촉진과 항암효과 간의 복잡한 균형은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필요한 만성염증 환경을 생성시킬 수 있다. 대식세포는 M1과 M2 극성화로 규정된 미세환경 신호에 반응하여 기능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종양관련대식세포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단백질분해효소들을 분비함으로써 암 신생혈관형성, 증식, 전이 및 면역억제를 촉진시킨다. 최근에, 종양관련대식세포는 암줄기세포와 상호작용하여 종양의 진행, 전이 및 항암제 내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양관련대식세포는 암미세환경을 유지하기위해 면역억제 기능을 획득하며, 종양의 이질성과 가소성의 특성을 갖고 있어 암관련인자 및 감염등의 노출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형질로 리프로그래밍된다. 종양관련대식세포는 기질인자의 자극에 의해 암특이적인 케모카인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케모카인은 질병의 활성을 반영하는 바이오마커로 작용할 수 있다. 종양조직에 종양관련대식세포가 많이 유입될수록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으며 항암치료에 대한 저항성이 생긴다. 따라서 종양에서 대식세포를 표적화하는 항암치료는 유망한 치료전략이 될 수 있다.

유산균발효애엽이 독성물질들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생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pentosus-Fermented Artemisiae Argi Folium on Nitric Oxide Production of Macrophage impaired with Various Toxicants)

  • 박완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9-96
    • /
    • 2009
  •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발효애엽 물추출물이 에탄올 등으로 약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애엽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시료(AFL)를 만들고 만들어진 시료를 10, 50, 100, 200, 400 ug/mL의 농도로 에탄올, 갈릭산,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알데히드, 니코틴과 함께 24시간동안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 NO 생성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갈릭산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2.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에탄올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3.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니코틴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4.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5.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결론:유산균발효애엽추출물(AFL)은 에탄올, 갈릭산, 니코틴,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아미노펜 등에 의해 약화된 대식세포의 NO생성을 회복시킴으로서 다양한 독성물질에 의하여 약화되는 식세포의 항병능력을 회복시키는 면역강화물질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Acmthmoeb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silica 투여의 영향 - 대식세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ilica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canthamoeba meningoencephalitis with reference to the macrophage role in mice)

  • 이홍수;신호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59-266
    • /
    • 1994
  • CSH/HeJ 마우스에 Acanaamoeba culbertsoni영양형 $3{\;}{\times}{\;}10^5$개를 비강으로 접종하 여 실험적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킬 때 숙주의 방어기작에 대식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대식세포 억제제인 silica를 마우스 복강 내로 투여한 경우의 사망율이 60.6%로 아메바만을 접종한 마우스의 사망율이 10.0%와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하여 죽인 Toxoplasma gondii tachyzoites의 in vitro탐식능 관찰에서 기능을 억제시킨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3% 이하로써 아메바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기능의 저하로 인한 수막뇌염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A. culbertsoni에 대한 대식세포의 살해활동의 in vitro 실험에서 silica투여한 실험군의 복강대식세포의 뚜렷한 기능 저하를 관찰하였고, 효소표지 면역 검사법(ELISU)을 이용한 마우스 혈청 내의 $interleukin-1{\beta}(IL-1{\beta})$의 흡광도는 아메바 접종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silica투여를 수반한 실험군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대식세포가 억제되었을 때 실험적 수막뇌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식세포가 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 반응성 단백질이 사람 Macrophage 탐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Human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y by C-reactive Protein)

  • 김용호;강신원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2
    • /
    • 1998
  • 치료목적으로 채취한 사람 복수에서 C반응성 단백질 (CRP)을 분리 정제하여 사람 대식세포 탐식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RP는 p-diazonium phenyl-phosphoryl choline 혹은 C-polysaccharide coupled sepharose 4B와 hydroxylapatite affinity chromatography법으로 분리 정제 시켰다. 대식 세포는 ficoll hypaque 밀도 원심 구배법으로 분리시킨 다음 부착법으로 정제시키고 탐식 시험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CRP가 대식 세포의 시험 관내 미생물 탐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촉진 혹은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즉, CRP와 대식세포 미생물 탐식능과의 관계는 반응시킨 시간, 반응계에 가해준 CRP량, 미생물ㆍ탐식세포 및 CRP상호간 반응시킨 순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대식세포의 시험관내 탐식활성에 미치는 CRP 자극의 특성은 한계자극 특성을 보였다.

  • PDF

구절초(九折草)가 LPS로 염증유도(炎症誘導)된 대식세포주(大食細胞柱)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on the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from LPS-stimulated mouse macrophages)

  • 이정호;김이화;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9-221
    • /
    • 2008
  • 목적 :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가을에 줄기와 잎을 가을에 채취한 것을 한약재로 사용하여 대한, 월경불순 등 각종 여성질환과 함께 위냉증, 소화불량, 감고, 폐렴, 기관지염, 배뇨장애 및 신경퇴행성 질환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염증유도된 대식세 포주를 활용하여 구절초의 항염증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구절초 추출물의 항염증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MTT cytotoxic assay, iNOS 및 COX-2 발현, NO와 PGE2 생성 및 $NF-{\kappa}B$ 활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 세포독성실험을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의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LPS로 염증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증가된 iNOS의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F-{\kappa}B$ 활성도를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NF-{\kappa}B$ pathway를 조절해 줌으로써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