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ilica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canthamoeba meningoencephalitis with reference to the macrophage role in mice

Acmthmoeb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silica 투여의 영향 - 대식세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

  • 이홍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 신호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4.12.01

Abstract

The role of macrophages was observed In intranasally infected CSH/HeJ mice with trophozoites (3 ×105) of Acnnthomoeba culbertsoni which was a kind of free-living amoebae inducing meningoencephalitis in human and experimental animals. The mortality was 60% in the group of intraperitoneally injected mice with silica (0.5 mg/0.5 ml). I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10% in the group of amoeba infected mice without silica administration. The phagocytic index of peritoneal macrophages co-cultured with Toxoplasma gondii was estimated daily. In contrast to the control and amoeba infected group which didn't show significant fluctuation of the phagocytic indices, the silica administrated group revealed under 3% until day 3, and gradual increase up to 24.7% in day 5 which was same level of amoeba infected group without silica administration. The level of interleukin- lb (IL- lb) measured by ELISA was the highest in the amoeba infected group without silica injection and the lowest in the amoeba infected group with silica administration. In the test of the amoebicidal activity of mice peritoneal macrcphages Dl uitro, silica administration revealed reducing effect on amoebicidal activity of macrophages. In conclusion, macrophages were prove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fense mechanism against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ly induced Acnnthamoebo menigoencephalitis.

CSH/HeJ 마우스에 Acanaamoeba culbertsoni영양형 $3{\;}{\times}{\;}10^5$개를 비강으로 접종하 여 실험적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킬 때 숙주의 방어기작에 대식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대식세포 억제제인 silica를 마우스 복강 내로 투여한 경우의 사망율이 60.6%로 아메바만을 접종한 마우스의 사망율이 10.0%와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하여 죽인 Toxoplasma gondii tachyzoites의 in vitro탐식능 관찰에서 기능을 억제시킨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3% 이하로써 아메바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기능의 저하로 인한 수막뇌염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A. culbertsoni에 대한 대식세포의 살해활동의 in vitro 실험에서 silica투여한 실험군의 복강대식세포의 뚜렷한 기능 저하를 관찰하였고, 효소표지 면역 검사법(ELISU)을 이용한 마우스 혈청 내의 $interleukin-1{\beta}(IL-1{\beta})$의 흡광도는 아메바 접종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silica투여를 수반한 실험군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대식세포가 억제되었을 때 실험적 수막뇌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식세포가 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