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체

Search Result 3,486,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Accuracy analysis of the terrestrial laser scanner for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대상체의 반사 특성에 따른 지상레이저 스캐너의 정확도 분석)

  • Cho, Hyung-Sig;Kim, Seong-Sam;Sohn, Hong-Gyoo;Yun, K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06-309
    • /
    • 2008
  • 지상레이저 스캐너는 장비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대상체에 반사되어 온 시간차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를 결정하는 장비로, 3차원 지형정보 취득 및 시설물 모델링 등 건설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레이저 스캐너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상체를 선정하여 관측거리와 재질별 반사각 변화에 따른 관측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체의 입사각이 $90{\sim}45^{\circ}$일 경우에는 대상체 반사특성과 관측거리에 따른 오차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체의 재질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과대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arget-objects with The Deep-learning Model in The Vision-images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비전이미지 내의 대상체 분류에 관한 연구)

  • Cho, Youngjoon;Kim, J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20-25
    • /
    • 2021
  • The target-object classification method was implemented using a deep-learning-based detection model in real-time images. The object detection model was a deep-learning-based detection model that allowed extensive data collection and machine learning processes to classify similar target-objects. The recognition model was implemented by changing the processing structure of the detection model and combining developed the vision-processing module. To classify the target-objects, the identity and similarity were defined and applied to the detection model. The use of the recognition model in industry was also considered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gnition model using the real-time images of an actual soccer game. The detection model and the newly constructed recognition model were compared and verified using real-time images. Furthermore, research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recognition model in a real-time environment.

The Reconstruction of the Stereo X-ray Image for Overlay Objects (중첩 물체에 대한 스테레오 X-선 영상의 3차원 형상복원)

  • Hwang, Young-Gwan;Lee, Nam-Ho;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56-659
    • /
    • 2011
  • X-선 검색장치는 대상체의 단면을 스캔하여 결과를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낮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로 스테레오 X-선 검색장치를 개발하여 단일 대상체에 대하여 윤곽선 정합 및 볼륨기반 형상복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X-선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중첩된 대상체를 스캔하여 형상을 분리 복원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첩 대상체에 대한 분리 복원을 위해 벡터정보의 거리값을 계산하여 내 외부 복셀을 분리하고 중첩부분에 대한 제거는 Z축을 기준으로 임계치를 두어 분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3차원 스테레오 X-선 검색장치에 대한 스캔영상의 형상복원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제한된 스캔환경에서 집적화된 대상체의 검색을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PDF

Recognition of Roads and Districts from Maps (지도에서 도로와 블록 인식)

  • Jang, Kyung-Shik;Kim, Jai-Hi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9
    • /
    • pp.2289-2298
    • /
    • 1997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o recognize map. In order to minimize the ripple effect of one recognition result affecting another, the structur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with a hierarchical model. and the model is used in both the recognition and verification process. Furthermore, lines related to an entity are searched in a used in both the recognition and verification process. Furthermore, lines related to an entity are searched in a reduced search space by defining some relations between lines. When there is a mis-recognition after verificaiton, recognition process will be retired. In the process, the accurate result can obtain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arameter values used in the algorithm. As a result, the search space is reduced effectively, and even objects that embodies the broken lines and the crossed lines are recognized.

  • PDF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detective instrument development using laser and computer vision (레이저와 비전을 이용한 3차원 정보 추출 계측기 구현)

  • Chun, Y.S.;Suh, Y.S.;Ro, Y.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504-2506
    • /
    • 2005
  • Cross Laser 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정보를 통해 대상체의 3차원 정보를 구하는 3차원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주변에서 값싸게 구할 수 있는 USB Web 카메라를 이용하여 50nm 정밀도를 가지는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카메라와 레이저광 사이의 보정도 실시하였다. Cross Laser을 사용함으로써 대상체의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가 있어 대상체의 기울어짐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 PDF

정사각형 평판의 진동 진폭 측정을 위한 스트로보스코픽 ESPI 기법 적용

  • 정현철;김경석;강기수;이유황;지창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4-17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4변이 고정된 정사각형 알루미늄 평판의 진동 진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위상 이동 ESP떼 스트로보스코프식 조사를 적용한 스트로보스코픽 ESPI 기법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시간평균 ESPI를 이용하면 진동하고 있는 대상체의 정성적인 진동 패턴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평균 ESPI로는 진동하고 있는 대상체의 두께방향으로의 진폭량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위상이동법을 적용시킬 경우, 대상체가 진동을 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진동 진폭을 측정하기 어렵다.(중략)

  • PDF

Image Processing in Deciphering the Letter Written in Rocks by Experiment of Sample Texts (영상신호처리에 의한 금석문 음각문자 판독 - 샘플시료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 Hwang,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c
    • /
    • pp.765-768
    • /
    • 2003
  • 금속이나 암석에 음각(陰角)으로 각인된 문자나 그림들은 날씨나 주변 빛 환경에 따라 시각으로 입력되는 정보에 큰 차이를 보인다. 이를 이미지검출장치를 통해 읽어드려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만들고자 할 때는 더욱 그 정도가 심하여 대상체가 위치하는 빛 환경이나 검출기 특성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한다. 자연광이나 전구 그리고 기후나 날씨에 의해 조성되는 빛 환경은 조도(照度), 조사각도(照射角度), 그림자 및 대상체 표면 상태 등이 중요한 결정 인자들이다. 빛 환경이 디지털 이미지 질(質)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험실 차원의 빛환경조정실을 구축하였다. 외부 유입 광선을 모두 차단하고 지향성이 있는 조명에 의해서만 대상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디지털 카메라로 대상체의 이미지를 담았다. 음각 문자를 새긴 샘플석문(石文)을 제작하고 실험실 안의 정량화된 빛환경 하에서 석문의 이미지를 취득하였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미지의 질을 향상시켰다. 처리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문자영역과 바탕영역의 신호패턴을 추출한 다음 룩업 테이블, 조도 레벨 슬라이징, 중첩의 원리 및 Morphology 등의 기법을 알고리즘화하여 2진 형태의 음각문자를 판독 및 복원하는데 성공하였다.

  • PDF

MEMS 센서대상 오류주입 공격 및 대응방법

  • Cho, Hyunsu;Lee, Sunwoo;Choi, Wonsuk
    • Review of KIISC
    • /
    • v.31 no.1
    • /
    • pp.15-23
    • /
    • 2021
  •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 무인이동체는 운용환경에 따라 공중, 해상, 육상 무인이동체로 분류할 수 있고 모든 분야에서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인이동체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되어 외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해 상황을 판단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무인이동체는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안 (Security) 분야에서는 무인이동체에 탑재되는 센서를 대상으로 신호 오류주입을 수행하여 해당 무인이동체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연구결과들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신호 오류주입공격은 물리레벨 (PHY-level) 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공격 수행 여부를 소프트웨어 레벨에서 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현재까지 신호 오류주입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은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는 센서퓨전 (Sensor Fusion)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하나의 무인이동체에 동일한 기능을 하는 센서 여러 개를 중복해서 탑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단일 센서만을 이용하여 신호 오류주입 공격을 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이동체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MEMS 센서를 대상으로 신호 오류주입 공격을 재연하고, 단일 센서 환경에서 해당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질감 메카니즘 해석을 위한 손끝의 접촉이론 연구

  • 한은경;권영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39-443
    • /
    • 1998
  • 인간은 시각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경우 촉감을 이용하여 정보를 받아들이며 피부와 대상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서 질감을 느낀다. 피부는 대뇌의 체성감각 피질과 관련이 있다. 피부에는 여러 가지 감각 수용체들이 산재되어 있어 손끝이 대상체 표면과 접촉했을 때 손끝의 압력변화에 의해 부드러움, 매끄러움, 딱딱함 들의 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손끝에서의 접촉 반응은 질감을 느끼는데 있어서 중요하므로 기본적인 접촉 이론에 의한 현상을 해석하여 질감 메카니즘 현상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The Study for the Efficient scanning of Stereo X-ray System (스테레오 X-ray 시스템 검색기능 개선 연구)

  • Hwang, Young-Gwan;Lee, Nam-Ho;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4-886
    • /
    • 2012
  • As the existing radiation Scanning systems use 2-dimensional radiation scanned images, the low accuracy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of it. Two-dimensional radiation images which have different disparity values are acquired from a newly designed stereo image acquisition system which has one additional line sensor to the conventional system. In this paper, we enhanced the scanning efficiency of the stereo X-ray inspection system using the precision control modu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