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두 이소플라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초

두유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대두 침지액으로부터 이소플라본의 회수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bean Cooking Water Produced during Soymilk Manufacturing Process)

  • 최연배;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22-526
    • /
    • 1997
  • 두유를 제조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대두 침지액 중에 함유된 isoflavone을 흡착수지인 HP-20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회수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두 침지액 중에는 genistein과 daidzein이 각각의 배당체 형태인 genistin과 daidzin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농도는 $0.083{\pm}0.019\;mM$, $0.110{\pm}0.017\;mM$이었다. 흡착수지로 흡착하여 회수하는 데 대두 침지액의 pH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pH 4.0에서 흡착되는 정도가 가장 높았다. daidzin보다는 genistin이 더 강하게 흡착되었다. 또한 용출속도는 SV가 10까지는 회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칼럼의 직경과 높이의 비율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대두 침지액 중에 함유된 genistin과 daidzin을 각각 85%, 70% 정도 회수할 수 있었으며, 이때 대두 saponin도 함께 회수되었다.

  • PDF

대두 이소플라본 당전이 반응 산물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ransglycoslyation Products of Soy Isoflavones on Cholesterol Biosynthesis)

  • 유랑국;최승준;문태화;심재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93-297
    • /
    • 2016
  • HMG-CoA reductase는 체내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있어서 속도제한단계(율속) 효소이다. 본 연구는 HMG-CoA reductase에 대한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저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100{\mu}M$의 농도에서 genistein-7-O-triglucoside(G2-genistin)는 HMG-CoA reductase 활성을 약 18% 정도 저해하였으나, daidzein-7-O-triglucoside는 저해 효과를 갖지 않았다. 시리아햄스터 HMG-CoA reductase의 반응속도 실험에서 G2-genistin은 농도에 관계없이 $V_{max}$의 저해 정도가 일정하였으며, 이것은 G2-genistin이 HMG-CoA reductase의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표고 균사에 의한 탈지 대두박 생물전환 발효물의 이소플라본, 베타글루칸 함량 및 항산화활성 (Isoflavone, β-Gluc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fatted Soybean Powder by Bioconversion with Lentinula edodes)

  • 정태동;신기해;김재민;최선일;이진하;이상종;허인영;박선주;오세관;우관식;임재각;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6-392
    • /
    • 2016
  •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대두의 isoflavone 함량, 총 페놀함량, 항산화능(DPP radical 소거능, ORAC 지수) 및 ${\beta}$-Glucan 함량을 측정하였다. Isoflavone의 경우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배당체가 모두 비배당체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otal isoflavone 함량의 경우 hexane 탈지 대두박 발효물에서 $2577.96{\mu}g/mL$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ethanol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에서 $428.27{\mu}g/mL$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대두 원물에서 39.44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 및 hexane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은 27.07, 27.75 mg GAE/g으로 대두 원물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다. 생물전환된 대두의 총 페놀 함량은 hexane 탈지 대두박 발효물 41.61 mg GAE/g, ethanol 탈지 대두박 발효물 42.34 mg GAE/g으로 비발효물에 비해 약 1.5배 가량 증가된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두 원물에서 51.1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hexane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에서 50.51%, ethanol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은 43.27%의 소거능을 나타냈다. 생물전환된 ethanol 탈지 대두박 발효물에서 59.92%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되었지만 hexane 탈지 대두박 발효물은 31.30%로 비발효물에 비해 낮은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ORAC 지수는 대두 원물이 $384.47{\mu}M\;TE/g$을 보였으며, hexane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 및 ethanol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은 318.52, $247.48{\mu}M\;TE/g$으로 나타났다. 생물전환된 hexane 탈지 대두박 발효물은 $786.36{\mu}M\;TE/g$, ethanol 탈지 대두박 발효물에서 $721.96{\mu}M\;TE/g$으로 비발효물에 비해 ORAC 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Glucan 함량은 0.09~0.1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대두 원물과 ethanol 탈지 대두박 발효물에서 가장 높은 0.11%를 보였고 hexane 탈지 대두박 비발효물과 hexane 탈지 대두박 발효물에서 0.09%로 가장 낮은 ${\beta}$-glucan 함량을 보였지만, 추출용매 및 생물전환에 따른 ${\beta}$-glucan 함량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콩가공부산물을 이용한 눈개승마의 효과 증진 가공연구 (Research on Co-processing Effect of Aruncus dioicus with Soybean Processing by-products)

  • 박채영;천희순;엄병헌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3-103
    • /
    • 2020
  • 눈개승마 (Aruncus dioicus)는 장미과(Rosaceae) 눈개승마속(Aruncus)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잎줄기 채소이다. 독특한 향기가 특징이며, 인삼맛, 두릅맛, 고기맛이 나는 산채로 세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예로부터 삼나물로도 불러왔다. 눈개승마에는 caffeic acid, 1-O-Caffeoyl-β-D-glucopyranose 등의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전초는 해독,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쓰이고 어린순은 탄수화물과 무기물 함량이 풍부하다. 비지는 대두를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대두로부터 수용성 단백질이 추출되었지만 나머지 약 23%의 단백질, 57%의 식이섬유와 이소플라본 등의 유용한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지의 단백질은 다른 식품에는 부족한 황 함유 아미노산과 리신의 함량이 비교적 많고, 두부에 거의 없는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고 식이섬유 소재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콩비지를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건조 미세분말 비지를 제조하고, 이를 산채와의 혼합 가공을 통한 기능증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산채는 쓴맛 제거와 보관성 증진을 위해 데침공정을 주로 하나 산채를 물에 데칠 경우 산채의 유용성분이 대부분 손실된다. 눈개승마의 경우 유용성분이 17.25%, 그 중 폴리페놀 성분이 약 90% 손실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데침공정 대신 찜공정을 이용하여 산채의 유용성분을 보존하고 콩비지를 첨가하여 산채 유용성분의 생이용성 증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눈개승마를 콩비지와 혼합하여 고온고압 가공함으로써 산채의 쓴맛을 줄이고 보관성을 높이는 동시에 눈개승마 폴리페놀의 단량체화를 통해 눈개승마 단독가공에 비하여, 단량체 비율이 약 100~200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비지의 고부가가치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산채의 다이어트·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산업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폐경 후 여성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공급 및 운동처방이 골밀도 및 소변 디옥시피리디놀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Urinary Deoxypyridinoline in Postmenopausal Women)

  • 승정자;윤미은;이재구;김미현;이행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4호
    • /
    • pp.291-301
    • /
    • 2004
  • We studied the effects of soy isoflavones supplementation with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urinary excretion of deoxypyridinoline as an index of bone resorption rates in postmenopausal women. A total of 67 postmen-opausal women were assigned to Isoflavone (90 mg/day) or placebo groups. These group were further divided into groups that undergone a regular exercise or a rather sedentary state performing daily activity only. Four groups were Placebo-control group (n = 16), Placebo-exercise group (n = 16), Isoflavone-sedentary group (n = 19) and Isofla-vone-exercise group (n = 16). After the intervention, we compared anthropometric mesurement, dietary recall, bone mineral density (femoral neck, lumbar spine), urinary deoxypyridinoline between the groups and between the pre and post stud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groups in terms of average age, height, weight, period after menopause at the baselin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ere 55.2 yrs, average height, weight, period after menopause were 154.7 cm, 59.3 kg, 5.58 yrs, respectively. After eight week intervention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groups in bone mineral density, but urinary deoxypyridinoline excre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in Isoflavone-sedentary and Isoflavone-Exercis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sofla-vone supplementation alone or with exercise may be preventive measures through the decrease of bone reabsorption rate in post-menopausal subjects. Whereas exercise alone did not appear to be an effective measure in bone loss with these subjects.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가 흰쥐에서 미로수행능력과 뇌 중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 Isoflavone Intake on Water Maze Performance and Brai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Rats)

  • 오현경;김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19-224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y isoflavones on brain development and function in rats. Forty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provid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soy isoflavones for 6 weeks; 0 ppm (control), 50 ppm (low isoflavone intake; LI), 250 ppm (medium isoflavone intake; MI) and 500 ppm (high isoflavone intake; HI). Learning ability was evaluated by a Y-shaped water maze and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in brain was assayed after decapitation. Food intake and body weights as well as weights of brain, liver, spleen, heart and kidn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which means 500 ppm of isoflavones is safe. In the water maze test, the frequency of error counted when rats entered one end of the alley without platfor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scape latency as swim time taken to escape on the hidden platform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HI group than in the LI and control groups.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of the br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 and MI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isoflavones may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without adverse effects.

농촌지역 일부 폐경기 여성의 일상 식이 중 대두식품을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 및 소변 중 배설량과 갱년기 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 and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Korean Women in Rural Areas)

  • 승정자;최선혜;김미현;박민혜;고병섭;김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0-129
    • /
    • 2000
  •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 between isoflavone intake and menopausal symptoms in Korean woman To find the effect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questionnaires(maternal factors, menopausal symptoms) anthropometric measurement, 24hr dietary recalls, and urinary isoflavones analysis were conducted in 100 postmenopausal women residing in the Kyunggi-do rural area. The average age h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 were 61.5 years, 153.6 cm and 56.2kg. The average age at menarche, menopause, and menstrual cycle were 16.7 years, 47.2 years, 29.8 years, respectively. Most of the postmenopausal women experienced mildly menopausal symptoms. The mean calorie, protein and calcium intake were 1417.6 kcal(74.7% of the Korean RDA) 53.2 g(88.6% of the Korean RDA) and 454.0mg(65.6% of the Korean RDA) respectively. The ration of energy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68: 15: 17 The average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s was 27.27 mg. The major food source of the isoflavone were soybeans and soybean curd. The average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was 2. 78nmol/mg Cr an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soflavone intake.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Therefore, soy foods which contain isoflavone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on menopausal symptoms of women in Korea.

  • PDF

여대생의 대두제품을 이용한 이소플라본섭취 및 혈중 Osteocalcin과의 상관성 (he Correlation of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and Serum Osteocalcin)

  • 안홍석;박윤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8-46
    • /
    • 2004
  • Few studies have conducted the bone health benefits of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in Korean college-student women. To elucidate this benefitial effects and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isoflavone and nutrients intake and bone formation marker (ALPase, osteocalcin),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mineral (Ca, P, Mg)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Fifty three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height, body weight, BMI, body fat content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were 21.43 year, 161.07 cm, 52.81 kg, 20.48 kg/$m^2$, 20.72% and 17.59 mm respectively. Soy food intake frequencies were soybean > soybean curd > soypaste stew > soybean milk. The average calorie, protein and Ca intake were 1766.21 $\pm62.54 kcal\;66.45\pm2.00 g\;and\; 549.62 \pm 27.55 mg$ respectively. Serum ALPase activity and osteocalcin concentration were 115.74$\pm3.6u/L$ and 7.15 ng/$m\\ell$ respectively.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was positively related to calory, protein, Ca, P intake and serum Ca, Mg concentration. Serum osteocalci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soflavone intake ($r^2$=0.28, p < 0.05). In these results, usual dietary isoflavone can support an additive effect to bone health and Ca nutrition.

발효를 통한 적절한 소재(ingredient) 개발

  • 구경형
    • 식품기술
    • /
    • 제15권3호
    • /
    • pp.112-124
    • /
    • 2002
  • 발효란"박테리아,곰팡이,효모의 효소에 의해 일어나는 계속적인 변화"로 규정한다. 발효에 의해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의 예를 들면 우유의 acidulation. 전분의 분해.설탕이 알콜과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는 것과 질소 유기화합물의 산화등이 있다. 배지, 온도, 소금, 산도 배양 용기 및 시간과 같은 몇몇 요인이 발효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실 발효식품 제조에 있어서 제품의 향미,텍스쳐,아로마 기타 다른 요소들이 어느 정도의 발효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기때문에 단순히 급하게 서두를 수도 없다. 빵, 맥주, 사이다, 와인, 치이즈와 요구르트류의 식품과 음료는 발효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들 제품 이외에 어떤 제품은 다른 식품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데, 광의의 이들 식품 소재는 새롭고 기발한 발효기법 뿐아니라 전통적인 기법을 사용해서 생산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잔탄검(xanthan gum)은 고분자 폴리사카라드로 Bacterium xanthomona campestris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통해 생산되는데 기질로서 설탕을 사용한다 젤란검(Gellan Gum)은 수용성 폴리사카이라이드로 Sphingomonas elodea 순수균의 발효에 의해 생산된다. 이와 같은 다중 기능의 하이드로콜로이드는 IFT Food technology 산업 성공상을 수년에 걸쳐 받았고, 제조업자들은 이것을 증점제, 안정제, 조직강화제로 이용했다. 최근 식품, 음료와 의약품에 사용하는 소이이소플라본(soy isoflavone)이 주목을 받고 있다. 소이이소프라본 중 제니스데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zein)과 글라이스데인(glycitcin) 같은 soy sioflavone이 건강에 이익을 준다고 연구되었고, 독자적인 발효 과정으로 건강 증진과 기능성을 준다는 이들 성분이 더 많이 함유하는 대두 제품을 내놓고 있다. 본문에서는 12개 발효소재(ingredients)를 살펴보고 이들의 최근 개발동향을 재조명해 보았다. 이들의 개발동향은 시간이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발효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적절하게 인식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건강, 장점,향미와 관련된 오늘날의 시장경향일 수도 있다.

  • PDF

산 가수분해시 가열방법과 시간 및 추출조건에 따른 대두가공 부산물의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Analysis of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By-products with Acid Hydrolysis Method)

  • 한진숙;홍희도;김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20-1426
    • /
    • 2006
  • 여러 유도체 형태로 존재하는 대두 isoflavone을 산 가수 분해 방법 및 시간을 달리하면서 isoflavone 배당체의 aglycone으로의 전환율 및 aglycone의 분해여부를 실험하였다. 산 가수분해시 가열처리 조건을 $105^{\circ}C$ 항온기, $95^{\circ}C$ 수욕조, $120^{\circ}C$ heating block 및 hot plate로 달리한 결과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고 heating block에서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이 가장 적절한 가수분해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 시간 동안 aglycone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 가수분해 시간인 60분 동안에는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모두 큰 함량변화가 없었다. 가수분해하는 시료의 양과 산의 비율은 시료 $10\sim30mg$당 1 N HCl 용액 1 mL의 비율이 적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정량법은 0.5 g의 대두 시료에 1 N HCl용액 15 mL를 첨가하고 $120^{\circ}C$의 heating block에서 60분간 가수분해시킨 후 methanol로 50 mL로 정용하고 HPLC로 분석하도록 확립하였다. 이에 따라 대두 가공부산물의 iosflavone을 분석한 결과 착유 및 착유 후 hexane 제거를 위한 열처리 공정에서 isoflavone의 손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