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두유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3초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배양에 의한 젖산발효 조건

  • 유주현;오두환;공인수;박영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9.1-519
    • /
    • 1986
  • Lactobc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두유에서 혼합 배양시켜 최적 젖산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대두유에서의 혼합배양시 20시간 이상 배양했을 때 산생성이 촉진되었고 배양온도는 34$^{\circ}C$ 부근으로 했을 때 가장 좋았다. 대두유에 sucrose와 skim milk가 젖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sucrose 는 1.5% 첨가시 skim milk는 2.0% 첨가시 첨가하지 않고 배양할 때 보다 2배 정도의 산생성을 보였다.

  • PDF

음식물쓰레기의 고온호기성처리시 보조열량원의 첨가에 따른 효과

  • 장성호;서종환;박진식;문추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42-3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고온호기성공정으로 처리시 수분증발량을 증대시키기위한 보조열량원으로 대두유를 첨가할 경우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식물쓰레기부하를 50kg/$m^3$ d, 열량원으로 대두유를 0%, 5%, 10%, 15% 각각 첨가한 중량제거율에 근거한 음식물쓰레기 제거효율은 0% 첨가시는 94.5%, 5% 첨가시 97.6%, 10% 첨가시 91.7%, 15% 첨가시 87.2%로 나타났다. 대두유 첨가에 따른 열량비는 C/W비로 0.67, 1.52, 2.37, 3.21이었으며, 대두유를 5% 첨가한 경우의 음식물쓰레기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고온호기성공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경우 적정한 C/W비는 1.52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고추씨유, 캡사이신 및 토코페롤의 첨가가 돈지와 대두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Pepper Seed Oil, Capsaicin, and Alpha-Tocopherol on Thermal Oxidative Stability in Lard and Soy Bean Oil)

  • 이치호;한규호;김아영;이슬기;홍고은;변장원;최강덕;양철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60-6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용유지로 사용되는 돈지, 대두유 및 고추씨유를 $10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열안정성을 비교하고, 캡사이신의 첨가가 대두유 및 돈지의 산화안정성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돈지>대두유>고추씨유의 순서로 고추씨유가 가장 열에 안정적임을 밝혔다. 가장 열에 안정한 고추씨유를 돈지와 대두유에 혼합했을 때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비교하였는데, 돈지에서는 고추씨유 30% 이상에서 산화가 억제되지만, 대두유에서는 그보다 많은 60% 이상이 혼합되어야 산화가 억제되었다. 또한 고추씨유의 주요 성분인 캡사이신을 고추씨유에 함유된 양만큼을 대두유와 돈지에 각각 첨가하여 열처리 했을 때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200 ppm과 2,400 ppm의 캡사이신, 또는 0.3% 알파-토코페롤을 대두유에 첨가하였을 때 캡사이신은 대두유의 산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알파-토코페를은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켰다. 하지만 돈지에 동량의 캡사이신이 첨가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추씨유 또는 캡사이신은 돈지를 소재로 하는 튀김유나 분말유지의 가공에 이용하면 매우 좋은 산화억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 처리 홍삼을 함유한 오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Oil Containing Cellulase-Treated Red Ginseng.)

  • 김현정;양선아;임남경;지광환;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3-328
    • /
    • 2008
  • 홍삼의 유효 활성 성분을 함유한 오일을 제조하고자, 세절한 홍삼을 여러 효소로 처리하여 항산화능을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효소를 선정하여 홍삼을 효소처리하고 10배 비율의 대두유 및 올리브유를 각각 첨가하여 $40^{\circ}C$ 에서 15일간 숙성하면서 홍삼유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0.5% cellulase로 처리한 홍삼액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홍삼을 0.5% cellulase로 처리하여 제조한 홍삼유의 과산화물가는 오일 자체만 보관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홍삼의 항산화 활성 성분의 용출은 올리브유보다 대두유에서 더 증가하였고, 특히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의 TBA가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홍삼유의 DPPH radical 소거능도 홍삼만으로 추출한 대두유에 비해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에서 더 큰 DPPH 소거능을 보였다. 대두유로 제조한 홍삼유의 항산화비타민 함량 분석에서는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 E 함량은 대두유보다 홍삼 첨가 대두유에서 1.7배 정도 증가하였고, 0.5% cellulase를 처리한 홍삼첨가 대두유에서 2.3배 정도 증가되어 홍삼의 0.5% cellulase 처리에 의해 비타민 E의 용출이 더 증가하였다.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이용한 감 껍질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otenoid-enriched extract prepared from persimmon peels b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with soybean oil solvent)

  • 정헌식;윤광섭;이수원;문혜경;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2-131
    • /
    • 2023
  •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병용하여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 함유 대두유를 제조하고 그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ox-Behnken design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카로티노이드 농도 기준 최적 추출조건(온도 62℃, 시간 32 min, 대두유/감 껍질 비율 3.1)을 결정하였고, 이 조건에서 얻은 추출물(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과 무처리 대두유(control)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의 총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강화되었고, 이러한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색도는 대조구보다 명도는 낮았지만 높은 적색도와 황색도값을 보였다. 대두유의 산화 및 가열 안정성에 대한 초음파 처리와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점도와 활성화 에너지는 대조구보다 약간 높았다. 이로써 감 껍질에 초음파-대두유 용매 추출법을 적용하여 황적색의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이는 일반 유지 대체제는 물론 첨가물로서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백유의 산화안정성과 관능평가 (Oxidative Stabil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Camellia Oil)

  • 양화영;표영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7-371
    • /
    • 1996
  • 실험실에서 제조한 동백유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은 요오드가가 78.2로 나타나 불건성유로 분류되었고,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가 총 지방산함량 중 84.7%를 차지하여 Mono unsaturated fatty acid의 함량이 매우 높은 기름으로 측정되었다. 40$\pm$5$^{\circ}C$의 항온저장시 산화안정성은 동백유가 대두유에 비해 과산화물가와 산가 측정에서 모두 저장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180$\pm$5$^{\circ}C$에서 튀김시의 동백유 시료의 산가는 튀긴 횟수의 증가에 따라 대두유 시료와 별 차이 없이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요오드가의 변화는 동백유 시료에 비해 대두유 시료가 2배 이상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백유, 대두유, 옥배유로 튀긴 Potato chips의 관능평가는 맛, 색, 냄새 등의 종합적인 기호도 측정에서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5% 수준에서 인정되었으며, 동백유의 튀김시료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두유로부터 Lipase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의 합성 및 특성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with Capric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in a Stirred-Batch Type Reactor)

  • 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75-1179
    • /
    • 2004
  • Scale-up하기 위하여 24시간동안 1:2:2의 몰 비율로 stirred-batch type reactor에서 합성된 재구성지질은 capric acid와 CLA를 각각 4.9 mol%와 4.1 mot% 함유하였다. 기능성 지방산인 capric acid와 CLA는 주로 TAG의 sn-1,3 position에 분포하였고, sn-2 position에는 linole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재구성지질과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6와 114이었고, 비누화가는 각각 190과 194로 측정됨으로써, 재구성 지질의 TAG에서 capric acid의 함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두유와 재구성지질의 tocopherol함량은 각각 74.6 mg/100 g과 18.2 mg/100 g으로, 재구성지질의 tocopherol 함량은 대두유보다 약 76% 감소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과 대두유간에 백색도(L*)와 적색도(a*)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0.05),황색도(b*)에서 재구성지질이 대두유보다 좀더 yellowness를 보이며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p<0.05). Reversed-phase HPLC 분석 결과, 재구성지 질에서 capr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TAG형태의 partition number (PN)는 25∼37로 약 12.57 area%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대두유의 주된 crystallization peak는 -57.86$^{\circ}C$C이었으나, capric acid를 4.9 mol% 함유하고 있는 재구성지질의 crystallization peak는 -52.78$^{\circ}C$로 대두유보다 결정화가 좀더 고온에서 일어났다.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에 따른 동부 묵의 기계적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bu-Mook (Cowpea Starch Gel) by the addition of Soybean Oil and Salt)

  • 구미영;이재경;김기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5-279
    • /
    • 2002
  • 동부 묵가루 제조 방법과 대두유 첨가량과 소금의 첨가 유무를 달리한 묵을 제조하여 기계적인 texture특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대두유와 소금의 첨가가 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금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대두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hardness, chewiness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cohesiveness, springiness는 대두유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시판 묵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묵이 실험실 제조 묵가루를 이용한 묵보다 hardness는 높았고, cohesiveness는 낮았으며, springiness, chewiness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관능검사 결과 대두유를 첨가할수록 노르스름하고, 불투명하며, 느끼하고, 부드럽게 평가되었으나, 전반적인 바람직성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소금을 첨가하였을 경우 소금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보다 대두유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므로 묵 제조 시 대두유와 소금을 첨가하여 부드러우며, 기본적인 간을 나타내는 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지의 종류를 달리한 호박냉동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ced Pumpkin Paste Cookies Prepared Using Different Fat and Fatty Oils)

  • 신동선;유선미;박보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9-516
    • /
    • 2014
  • 소비자의 건강지향적인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기능성 제품 개발에 응용하기 위해 버터, 대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의 유지를 달리하고 호박페이스트 첨가냉동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특성으로 반죽의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버터가 pH 6.55로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및 포도씨유가 각각 pH 6.47, 6.43 및 6.46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죽의 밀도는 버터가 1.37 g/mL로 가장 높았고 수분함량은 버터가 14.65%로 가장 낮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의 수분함량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쿠키의 퍼짐성을 측정한 결과 버터 쿠키가 가장 높았고 대두유 쿠키가 가장 낮았다. 쿠키의 색도의 경우 L값은 올리브유 쿠키, a값은 대두유 쿠키, b값은 포도씨유 쿠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경도는 대두유 쿠키가 698.26으로 가장 높았으며 버터 쿠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쿠키의 관능적 기호도 평가에서 모든 평가항목에서 포도씨유 쿠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산화안정성으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식물성 유지가 버터보다 낮은 산가를 나타내어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버터 쿠키에 비해 포도씨유 쿠키가 증가의 폭이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쿠키 재료 중 버터를 대신하여 식물성 유지인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모두 대체 이용 가능하며 특히 건강기능성에 부합하고 산화안정성으로 효과적인 포도씨유 쿠키가 좋을 것으로 보인다.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어유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Crude gingerol의 영향 (The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Palm Fish oil and Lard affected by Crude Gingerol)

  • 백숙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8-302
    • /
    • 1993
  • 항산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유지의 $85^{\circ}C$저장중에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유도기간은 어유, 대두유, 돈지 및 팜유에 대하여 5.0, 17.0, 38.4 및 57.6시간으로 어유의 산화가 가장 먼저 일어났다. Gingerol이 첨가된 각 유지의 상대적항산화 효과는 돈지,대두유, 어유 및 팜유에 대하여 219, 176, 160 및 146%로 나타나 gingerol은 돈지의 산화를 가장 안정시켰으며, 대두유 및 어유에 대하여 BHT보다 산화를 안정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