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 시료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5초

GC/FPD를 이용한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Major Reduced Sulfur Gases Emitted from Wastes Stored in Environmental Facility Using GC/FPD)

  • 이태윤;이제근;이준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3
    • /
    • 200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하수종말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들 시설들은 상수원 수질보전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과 같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악취문제를 유발해 인근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탈수슬러지케잌 및 음식물쓰레기샘플을 채취, 황화수소 발생 가능량을 예측함과 동시에 발생 가능량이 많을 것으로 나타난 1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Flux Chamber 실험을 통해 대기 시료를 포집하여 GC/FPD분석을 실시, 혐기성 상태일 때 이들 처리장폐기물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황계열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농도 측정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화수소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료는 녹산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샘플로 농도가 156.18mg/kg이었고, GC/FPD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악취농도지수(Odor Quotient)를 산정해 본 결과 개별 악취물질중 $CH_3SH$(methylmercaptan)이 총악취농도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3%로 가장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다.

  • PDF

이온보조 반응법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Polyimide (PI) 표면과 구리박막의 접착력 향상 (Enhancement of adhesion between Cu thin film and Polyimide modified by ion assisted reaction)

  • 석진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30
    • /
    • 1997
  • 고분자 Polyimide (PI) film 표면을 반응성 가스 분위기에서 1KeV의 에너지를 가지 는 여러 종류의 이온빔으로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하였다. PI표면의 친수성과 표면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접촉각 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개질 된 표면의 화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사용하였다. 표면 개질을 위한 이온조사량은 5 $\times$1014 -1$\times$1017 ions/cm2이며 반응가스는 0-8scm까지 변화시켰다. 아르곤 이온빔으로 표면 개질시에는 67。에서 40。까지 감소하였고 표면에너지는 46 dyne/cm에서 64dyne/cm까지 증가하였다. 산소를 6sccm 주입하면서 산소 이온빔으로 표면 개질시 물과의 접촉각은 67。 에서 최대 12。까지 감소하였으며 표면에너지는 46dyne/cm에서 72dyne/cm까지 증가하였고 이때의 이온조사량은 5$\times$1014 -1$\times$1017 ions/cm2 이였다. 여러 종류의 반응성 가스와 이온을 사용하여 개질하여 본 결과 산소분위기에서 산소 이온을 이용하여 개질 하였을 때 접촉각이 8。인 표면을 얻을수 있었다, 산소분위기에서 아르곤 이온빔으로 1$\times$1017 ions/cm2 의 이온 조사량으로 개질 된 Pi 시료를 대기 중에 보관하였을 때에는 110시간 후 65。로 증가하였고 물속에서 보관하였을 때에는 46。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산소 이온빔에 산소분위기에서 개 질 된 시료의 경우 물속에 보관할 경우 접촉강의 증가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온조 사로 개질된 시료의 화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XPS 사용하였다. 표면 개질 전의 PI 시료와 산소 분위기에서 1$\times$1017 ions/cm2의 아르곤 이온빔으로 개질한 XPS peak 결과로 보아 Cls의 spectra를 보면 C-C, C-N 그리고 C=O의 결합들은 intensity가 감소하였고 C-O 의 intensity는 증가하였다. Nls peak로 보아 imide N 성분은 이온빔의 조사로 인하여 감소 하였고 C-O의 intensity는 증가하였다. Nls peakk로 보아 imide N성분은 이온빔의조사로 감소하였고 Ols peak로 보아 C-O는 증가하였고 C=O는 약간의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이온 보조 반응법을 이용하여 처리한 시료의 경우 접착력이 증가하는데 이는 주로 C-O 결합의 산소와 Cu와의 상호작요에 의한 것임을 알수 있었다.

흡착관/열탈착 GC/MS 방법에 의한 모사시료 중의 미량 페놀 분석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 of Trace Phenols by Adsorption/Thermal Desorp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TD/GC/MS) in Artificial Air)

  • 허귀석;이재환;황승만;정필갑;유연미;김정우;이대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7
    • /
    • 2002
  • Phenolic compounds in air are toxic even at their low concentrations. We had evaluated a total of five phenolic compounds (Phenol, o-Cresol, m-Cresol, 2-Nitrophenol and 4-Chloro-3-methylphenol) in artificial air using a combination of ATD/GC/MS. To compare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these phenolic compounds, three adsorbents (Tenax TA, Carbotrap and Carbopack B) were tested. Tenax TA adsorbent was most effective of all the adsorbents used for the efficiency test.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found to be very stable on adsorbent tubes for 4 days at room temperature. Detection limit of five phenolic compounds ranged from 0.05 to 0.08 ppb (when assumed to collect 10 L air). The calibration curve was linear over the range of 22∼ 164 ng. The reproducibility was less than 4%. Sampling of duplicate pairs (DPs) was made to demonstrate duplicate precision and sampling efficiency.

테들러 백을 이용한 대기 중 황성분의 채취: 보정인자의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The Collection of Atmospheric Sulfur Gases Using Tedlar Bag: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rrection Factors)

  • 임계규;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5-26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황성분을 채취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인 테들러 백 방식의 채취와 관련된 오차요인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시료를 백과 백간에 이동시켜 주므로서, 백의 벽면을 통해 초래될 수 있는 성분별 손실율을 비교하였다. 상대습도 0 %, 실온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황화수소와 멀캡턴과 같은 성분들은 백과의 접촉이 일어나면서, 20 %에 가까운 손실율이 확인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이들에 비해 반응성이 높지 않은 DMS, DMDS와 같은 성분들도 10 %내외의 손실율이 확인되었다. 이들 성분의 정확한 정량을 위해서는 테들러 백의 흡착손실 등에 대한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습도나 온도와 같은 환경조건의 변화에 대한 고려도 동시에 수반되어야 할 것이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모니아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제지공장 내 암모니아 공간분포 측정 (The Analysis of Ammonia Spatial Distribution of Ammonia at Paper Mill Using Passive Sampler)

  • 김학민;노태옥;이범진;김선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2-343
    • /
    • 2000
  • 다양한 배출원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악취유발물질이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감각기관을 이용하는 관능측정법과 화학성분을 분석하는 기기분석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간의 감각기관을 이용하여야 하는 관능측정법의 경우 판정인이 장시간에 걸쳐 악취현상을 평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기기분석법의 경우도 측정방법의 특성상 장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있어 풍향 및 풍속 등 기상조건에 따라 순간적으로 감지되는 취기수준이 다른 악취현상을 명확하게 규명하는데 일정부분의 한계를 갖게된다. (중략)

  • PDF

SnO$_2$ 후막형 센서를 이용한 H$_2$S 감응특성연구 (H$_2$S Sensing Characteristics of SnO$_2$ thick-film devices)

  • 김한수;김선태;이철효;김헌;한상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54
    • /
    • 2002
  • 현재 환경분야의 측정은 주로 분광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분석기기법과 $CO_2$, NH$_3$, H$_2$S, HCl 등의 몇몇 유독가스 측정을 위한 이온 선택성전극을 사용한 화학센싱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기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 및 시료가스의 채취시 가스를 용액에 흡수시킨 뒤에 분석하는 간접적인 방범이 취해지기 때문에 다근 가스의 영향을 극소화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중략)

  • PDF

총탄화수소의 계측에서 표준시료성분의 선택에 따른 오차 발생 연구 (The Analytical Bias of Total Hydrocarbon (THC)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of Standard Gas Compound)

  • 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9-452
    • /
    • 2010
  • In this article, the performance of the THC analyzer was inspected using two different span gases of methane ($CH_4$) and propane ($C_3H_8$). To explore the effect of standard gas selection, MicroFID system was test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Initially, the system is spanned by propane gas of 60 ppm (or 180 ppmC). The system is then run against methane standards prepared at 5 different concentrations of 200, 250, 300, 400, and 500 ppm.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the KMOE's test procedure to use multiplying a factor of 3 (for propane), the resulting THC values derived by methane standards were systematically biased with ~500% error relative to true value. This paper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procedures to obtain the least biased THC values for a given span set-up.

군집분석법과 분산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한 대기분진시료의 분류 (Classification of Ambient Particulate Samples Using Cluster Analysis and Disjoin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유상준;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63
    • /
    • 1997
  •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in the ambient air were analyzed for eight chemical elements (Ca, Co, Cu, Fe, Mn, Pb, Si, and Zn) using a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XRF) at the Kyung Hee University - Suwon Campus during 1989 to 1994. To use these data as basis for source identification study, membership of each sample was selected to represent one of the well defined sample groups. The data sets consisting of 83 objects and 8 variables were initially separated into two groups, fine (d$_{p}$<3.3 ${\mu}{\textrm}{m}$) and coarse particle groups (d$_{p}$>3.3 ${\mu}{\textrm}{m}$). A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was examined to obtain possible member of homogeneous sample classes for each of the two groups by transforming raw data and by applying various distances. A disjoin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then used to define homogeneous sample classes after deleting outliers. Each of five homogeneous sample classes was determined for the fine and the coarse particle group, respectively. The data were properly classified via an application of logarithmic transformation and Euclidean distance concept. After determining homogeneous classes,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eight chemical variables within all the homogeneous classes for calculated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precipitation) were examined as well to intensively interpret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for each group. According to our analysis, we found that each class had its own distinct seasonal pattern that was affected most sensitively by wind direction.ion.

  • PDF

형광 X선에 의한 대기 부유분진중의 미량 성분의 측정 (I): -거름종이 표준시료에 의한 부유분진중 금속성분의 형광 X선 분석-

  • 이용근;맹현재;이보경;황규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29
    • /
    • 1989
  • The metals present in atmospheric particulate come from various sources; natural or anthropogenic. Among various metals Fe, Zn, Pb, Cu, and Mn are of particular concern in as much as they are not only present in large quantity, but toxic to human body. A simple, fast, and non-destructive analytical method for these metals in atmospheric particulate was developed and the analytical details were described herein. The method involves the measurements of X-ray fluorescence of sample contained in filters and comparing it with those for standards. The standard filters were prepared by applicating premeasured standard solution to the filters and then drying. The accuracy of the method was tested by analyzing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and by independently analyzing samples using a different, previously accuracy-proven method,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and comparing the results obtained. Analytical sensitivities and detection limits of the present method were 62.9, 178.2, 82.9, 146.1, 37.2, 120.3 cps/$\mug/cm^2$ and 39.0 35.6, 137.5, 125.9, 182.6, 72.8 $ng/cm^2$ for Fe, Zn, Pb, Cu, Mn, and Ni respectively. The method was applied to Seoul atmospheric particulate and some results were reported.

  • PDF

Andersen 시료채취기를 이용한 도시대기중 부유입자상 물질의 입도분포 측정 (Determination of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aticulates in Urban Air Using Andersen Sampler)

  • 이용근;김만구;원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98
    • /
    • 1985
  •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s were measured using an Andersen using an Andersen sampler in urban air. The atmospheric particulates were fractionated in eight stages of an Andersen sampler operating at 28.4$\ell/min$ and collected on polyester sheets. A quartz filter was placed behind the last stage collect permeated partculates. The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s were divided around 1-2 $\mu$m into two groups, coarse and fine particulates regardless of sampling times. The variation of course particulates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fine particulates among sampling times. Different meterorological conditions and natural phenomena brought high variation of course particulates' concentration. The rain caused removal of coarse particulates seriously and the yellow and may take part in a increase of the course particulates in sp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s to be collected by Andersen sampler was 170.8 $\mug/m^3$ during 3 times of sampling. Among them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s which could penetrated under a bronchi and alveoli were 70.4$\mug/m^3$ and 36.6$\mug/m^3$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