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 공간

검색결과 907건 처리시간 0.038초

종합병원 체감 대기시간과 의료서비스공간의 건축계획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ible Waiting Time and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 of Medical Service Space in General Hospital)

  • 임양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20-8829
    • /
    • 2015
  • 최근 질병 치료과정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면서 의료기관의 서비스 공간과 대기시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 시 방문자의 장시간 대기가 불가피하고, 이것은 환자에게 심리적 불안 및 부정적 감정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는 의료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중시키고, 병원의 재방문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원의 마케팅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대기시간의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의 변수인 대기 환경과 대기 환자의 태도가 체감 대기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 병원 계획의 대안을 제시한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주택가격(住宅價格)에 내재(內在)된 대기질(大氣質)의 가격측정(價格測定) - 공간계량경제모형(空間計量經濟模型)을 이용한 접근(接近) -

  • 김종원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7권1호
    • /
    • pp.61-84
    • /
    • 1997
  • 본 연구는 기존의 특성가격기법(特性價格技法)(hedonic price technique)에 공간(空間)개념을 도입한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공간시차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달리 특성변수의 변화에 따른 직(直) 간접효과(間接效果)를 동시에 포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간시차모형의 회귀진단 및 가설검정 결과는 공간시차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공간시차를 고려하지 않은 OLS 회귀분석 결과의 계수들은 편기추정(biased)된 동시에 효율적(efficiency)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회귀분석 결과는 주택에 자본화된 대기오염에 대한 잠재가격(潛在價格)(marginal implicit price)은 주택평균가격의 약 1.5%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서울시 일부 지하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AQ(Indoor Air Quality) for Underground Environments in Seoul)

  • 정진원;김윤신;권성안;홍승철;박원석;이상복;이홍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375
    • /
    • 1999
  • 오늘날 경제적 생활 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제한된 공간에서 인간 활동은 지하생활공간이라는 새로운 활동영역을 창출하였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의 거주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지하생활공간이라는 용어가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지하생활공간이라 함은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지하철,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지하 보ㆍ차도, 지하터널 등을 말하며 개인의 생활 양식에 따라 단시간 이용하거나 또는 생활터전으로 장시간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수질인자 추출을 위한 대기 보정 방법의 선정 (A Selection of Atmospheric Correction Methods for Water Quality Factors Extraction from Landsat TM Image)

  • 양인태;김응남;최윤관;김욱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1-110
    • /
    • 1999
  • 강과 호수와 같은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수질조사를 실시할 경우, 주기적이고 동시적인 관찰과 분석이 요구되고 있으며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 기법은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 영상으로부터 수질인자를 추출하고자 할 때, 대기 산란의 영향이 포함된 위성영상의 화소 값은 분석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수질 인자를 분석하고자 할 때, 대기의 산란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대기 보정방법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기 보정방법 중 클로로필-a 부유물질, 투명도에 대한 상관성이 가장 높은 밴드의 조합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대기 보정방법과 밴드 조합을 사용하여 1984년, 1989년, 1993년, 1995년에 각각 관측된 인공위성 영상으로부터 수질 인자간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종합병원(綜合病院) 대기공간(待期空間)에 관한 건축설계적(建築計劃的) 연구 - 공간이용행태(空間利用行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 권혁기;김길채;최강석;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05-112
    • /
    • 1995
  • This study proposes the basic data on the waiting space in general hospital through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nd seat arrangements in the waiting spac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activities in the waiting space, this study is to awaken user to the influence environment, to suggest the planning guideline fo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refore, by observation over the waiting space in the general hospital, the realities, theories and problems can b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hospital planning throughly.

  • PDF

복합영화관 대기공간의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 대기공간내 관람객의 분포현황과 경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Waiting Areas in Multiplex Cinema - Focused on Audience distribution and their routes within Waiting Areas -)

  • 우은영;최준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203-210
    • /
    • 2001
  • Major companies have launched into the film industry since 1990s, which resulted in competition in facilities. In addition, restriction for the number of the prints was remov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inema has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established one-hall cinema into multiplex cinema with large-scaled halls. Contrary to the established cinema, modern cinema are a cultural place within easy access. They accommodate diverse social and cultural needs and their functions have been extending gradually. The waiting areas should not function only as the waiting space for the audience but also the places to attract the audience and provide them with various cultural and art information, and temporary restful break. For this stud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area and the audience are identified objectively by analyzing audience distribution and their routes within the a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esign of the waiting area based on the findings abo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