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오염관리시스템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7초

주요 항만도시의 배출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Emission Gas Monitoring System for Major Port Cities)

  • 김우선;천민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56
    • /
    • 2018
  • 국내 주요항만도시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관련 법 제도적 기반 구축 및 관리를 위한 담당기관, 지역항만청, 항만공사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항만기인 대기 오염물질 배출의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배출원 목록(Inventory)과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을 통해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선박, 항만하역장비, 트럭 등 배출원별 대기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적극적 대처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요 항만도시의 대기질을 개선하고 청정항만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

  • PDF

GIS와 GPS를 이용한 서울시 대기측정시스템 설치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alling Air Pollution Emission Systems in Seoul Using GIS and GPS)

  • 이봉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63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GIS와 GPS를 이용하여 서울시 대기측정시스템인 상시 자동측정망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국내의 경우 차량 등의 이동배출원에 관한 이동오염원(mobile source)과 면오염원(area source)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대기오염을 관리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저감대책을 수립하려면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의 시간적, 공간적 배출현황데이터와 이를 토대로 구축된 배출목록시스템(Emission Inventory System)과 대기오염확산모델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수치지도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Visual Basic을 사용하여 서울시 상시 자동측정망 배출원의 배출현황데이터에 관한 가시화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보여주고 있다.

  • PDF

KRM 대기확산모델의 수행능력 (Performance of KRM Dispersion Modelling System)

  • 김용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7
    • /
    • 1999
  • 컴퓨터가 일반화됨에 따라 대기질 관리 및 연구 분야에서 수치모델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대기오염 수치모델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구동에 필요한 전산시스템의 규모도 다양하다. 연구용 및 대형 모델들은 활용 분야가 넓고 신뢰도가 높은 반면 대형 전산시스템과 고도의 전문 인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대기질 관련 기관의 사용 가능한 전산시스템과 담당 인력을 고려할 때 대형 모델의 사용이 일반화되기에는 한계가 있다.(중략)

  • PDF

사물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of Fine Dust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김태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26
    • /
    • 2022
  • 최근 대기환경오염의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물 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기환경오염 중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원인인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기환경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 측정된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 대기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시각화 분석이 가능하도록 관리자용 통합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용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하여 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응답속도, 센서 데이터의 전송속도, 센서의 측정오차를 이용하여 제안한 사물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물인터넷 기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기환경정보를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 장치로 측정한 후 대기오염상태를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 호버크래프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nmanned hovercraft system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유성구;임진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25-530
    • /
    • 2024
  •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공공수역 수질관리의 경우 법적으로 수동측정과 자동측정을 통해 상시 관리를 진행해야 하며, 대기오염도 탄소중립 실현과 연관하여 미세먼지, 배기가스 저감을 위한 상시 측정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측정을 위한 도구로 육상과 수상을 동시에 이동 가능한 호버크래프트를 활용하였다. 호버크래프트 본체에 수질측정 및 대기오염측정 센서를 장착하고 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장착하였다. 환경측정용 호버크래프트의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실시간 정보전달 통신 모듈로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oRa 모듈을 적용하였다. 실제 하드웨어 구현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의 동작 성능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스모그 저감정책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mog Reduction Strategies in China)

  • 전소현;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3-75
    • /
    • 2015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전후하여, 그리고 2013년 1월 베이징을 중심으로 중국 전역에서 발생한 스모그 현상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 동안 도시화와 산업화가 빠르게 추진되며 중국경제는 급속하게 성장하였으나, 이는 에너지 과소비와 환경오염을 동반하는 성장이었다. 특히 중국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보면 석탄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 대기오염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도시화 과정에서 도시 인구가 늘어나고,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자동차 보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대기오염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어 도시 인구와 교통시스템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중국은 다양한 대기오염 관리정책을 실시하여 현재 중국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2000년대 들어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오염심각지역인 베이징의 경우 $PM_{10}$,$SO_2$,$NO_2$의 농도가 2000년에 각각 $162{\mu}g/m^3$, $71{\mu}g/m^3$, $71{\mu}g/m^3$에서 2013년 $108{\mu}g/m^3$, $27{\mu}g/m^3$, $56{\mu}g/m^3$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각각의 수치들을 대기환경기준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여 중국의 대기질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대기오염 방지와 억제를 위한 저감대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중국 국무원에서 2013년 9월 12일 '2013~2017년 대기오염방지 행동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듬해 환경보호법과 대기오염방지법을 개정하였다. 행동계획에서는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장강삼각주(상하이 일대) 및 주강삼각주(광동 일대) 등 3대 대기오염 심각지역을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3대 대기오염 심각지역에서는 $PM_{2.5}$농도를 2012년 대비 각각 25%, 20%, 15% 감축을 하고 이 중 베이징은 $PM_{2.5}$연평균 농도를 $60{\mu}g/m^3$ 수준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지역을 중심으로 $PM_{2.5}$저감을 목표로 하여 석탄 규제, 자동차 규제를 포함한 에너지, 공업, 교통, 건설, 농업, 생활 분야 등에서 대기오염방지 행동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17년 말까지 목표 달성을 위하여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개정된 환경보호법의 경우 2015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으며 대기오염방지법의 개정은 2015년에 확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풍하지역으로 중국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관계를 만들기 위하여 일본과 더불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동북아시아의 정치역학상 동북아 환경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면,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현황의 정확한 파악과 함께 동북아시아 전지역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국의 스모그 대응 방안이 중요한 의제가 될 수 있다. 현재 동북아시아에서는 국제적인 협력체계를 만들기 위하여 LTP(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 EANET (Acid Deposition Monitoring Network in East Asia)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간의 공식 협력체로 구성되지 못하거나 낮은 수준의 합의만 이루어지는 등 포괄적인 협력체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우에도 '한-중 양국협력: 한-중 환경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지난 2014년 7월 체결하여 협력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 체결을 통한 한-중 양국의 추가적인 이득은 많지 않은 상태다. 또한 이러한 협력관계도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환경에 따라 혹은 중국의 판단에 따라 협력 수준이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동북아시아에서 대기환경관련 협력에 있어서 특정 국가의 영향이 압도적이지 않도록 다자간의 대기환경 협력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와의 대기환경 관련 협력에 참여하는 국가에 실질적인 이득이 되도록 우리나라의 대기환경 산업과 연구, 정책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중국을 비롯한 일본, 러시아, 몽골, 북한의 참여 또한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산업환기용 에어필터의 특성비교 및 시험방법 소개

  • 양성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6호
    • /
    • pp.19-23
    • /
    • 2002
  • 최근 사회는 첨단산업화 속에서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직장 및 작업현장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작업능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각종 유해물질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도시의 대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사회적문제로서 관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작업장과 실내생활공간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외기에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으로 실내공기의 질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질을 쾌적하게 하기 위해서 환기장치의 설치와 지속적인 유지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환기장치설비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핵심 장치이며 입자상.가스상 물질에 따라 그 종류와 기능이 서로 다르다. 특히 공기정화장치 설비에 보펀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 는 것이 여과기(filter) 이며 사용목적에 알맞는 에어 필터(air filter)의 선정은 전체환기시스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산업환기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에어필터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 및 환기장치 설계상의 에어필터에 관한 이론과 적용기술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대기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 시스템 설계 (Design of Measurement System for Atmospheric Pollution Monitoring)

  • 박경석;;황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80
    • /
    • 2017
  •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IoT 기술이 적용되어 편의성과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응용 서비스의 일환으로 대기 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안하여 이를 위한 측정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측정 시스템은 아두이노와 미세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한 장소에서 실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공데이터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과 위치에 따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푸른하늘과 영향평가 - 인도네시아 아젠다21 도심 대기질 전략의 사례를 통하여 - (Blue Sky Project and Impact Assessment - Examples of Urban Air Quality Management of Agenda 21 in Indonesia -)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529-536
    • /
    • 2013
  • 인도네시아 정부의 아젠다21은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정부-기업-시민 3자 시스템이다. 국가의 경제개발과 환경적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국가의 의지이다. 인도네시아는 대기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도시대기질관리전략은 1992년 대도시환경개성프로그램으로 채택되었다. 도시대기질프로그램(UAQP)는 '푸른하늘'을 목표로 하며 UAQP는 각 전략단계에 대기오염의 원인을 찾아내고 실행전략으로 유도한다. 아젠다21을 대기질 유지를 위해 수행하는 좋은 예이며 푸른하늘전략은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그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