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대순환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출자총액제한제도와 순환출자금지제도

  • Park, Gil-Jun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28
    • /
    • pp.2-5
    • /
    • 2006
  • 출자총액제한제도는 그 순기능.정기능이 논의되는 와중에서도 소기의 임무를 완수하고 정리단계에 들어섰다. 그 대안으로 순환출자금지제도가 유력하게 부각되고 있으나 그 논리적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각계각층의 의견 상충으로 확실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한편 우리 회사법에 규정된 상호출자금지규정도 대규모기업집단의 상호출자 규율에는 역부족이다 아무쪼록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시장감시장치가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새로운 제도의 모색에 온 국민이 지혜를 짜 모아야할 때이다.

  • PDF

Long-term Precipitation Series Prediction Using Global Climate Indices in South Korea (장기 강우 예측을 위한 전지구적 기상인자 선정 및 시계열 모형 구축)

  • Kim, Taereem;Seo, Jungho;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16
    • /
    • 2017
  • 기후 시스템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 현상인 강우는 수문학적 분석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장기 강우를 예측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에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강우는 장기적으로 지구의 대기-해양 순환 패턴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엘니뇨와 라니냐와 같은 기상 이변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순환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강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순환 패턴 특성을 수치화한 전지구적 기상인자 중에서 우리나라 장기 강우를 예측하기 위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시계열 모형 구축을 통하여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에 내재된 다양한 대기-해양 순환 패턴으로부터 나타나는 주기적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사용하여 강우를 분해한 후, 각 분해된 강우자료와 전지구적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높은 상관성을 가진 기상인자를 선별하고 단계식 변수선택법으로부터 유의미한 기상인자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상청 60개 지점의 월별 강우자료 중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선정된 기상인 자로 구축된 시계열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장기 강우를 예측하였다.

  • PDF

Influence of Large-Scale Environments on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A Case Study for 2009 (대규모 순환장이 북서태평양 태풍활동에 끼치는 영향: 2009년의 예)

  • Choi, Woosuk;Ho, Chang-Hoi;Kim, Hyeong-Seo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2
    • /
    • pp.133-145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TC)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WNP) in 2009. Twenty-two TCs formed in 2009, which is slightly below normal(1979~2009 average: 25.8) and most of these occurred during the months of July to October. Most TCs in 2009 was formed over the northern Philippines and the eastern part of the WNP and they moved towards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of Japan, resulting in less TC affecting the East China Sea and Korea. The TC activity in 2009 is modulated by the large-scale circulations induced by the El $Ni{\tilde{n}}o$ and vigorous convection activity over the WNP.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 $Ni{\tilde{n}}o$ year, the difference in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central Pacific and the eastern Pacific causes an anomalous westerly winds, expanding the WNP monsoon trough farther eastward. Accordingly, TC formation has relatively increased in the east part of the WNP. Active convection activities over the subtropical western Pacific excite a Rossby wave propagating from the South China Sea to mid-latitudes, resulting in an anomalous easterly steering flow in the South China, anomalous northwesterly over the East China Sea and Korea, and anomalous southwesterly over the east of Japan. Summing up, the TCs cannot enter the East China Sea and Korean region and instead they move towards the South China Sea or south-east of Japan. There were no effects of TCs in Korea in 2009.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hich analyzed unusual TC activity and large-scale circulations in 2009 would help the predictability of TC effects to increas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East Asia.

출자총액제한제도는 효과가 있는가?

  • Kim, Chang-S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4 no.1
    • /
    • pp.57-81
    • /
    • 2008
  • 본 논문은 현재 존폐의 논란이 일고 있는 출자총액제한제도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한다. 상호출자제한기업과 출자총액제한기업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어 출자총액제한제도가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켜 국내 대기업에게 불리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는 재계의 주장은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독립기업의 투자가 출자총액제한기업을 포함한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투자보다 많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투자 저해 문제는 출자총액제한제도만의 문제이기보다는 대기업집단을 규제하는 제도 전체의 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자총액제한제도가 대규모기업집단의 순환출자구조를 개선시켜 소유-지배 괴리도를 낮추고 기업의 지배구조를 향상시킨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장도 지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출자총액제한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4층 준지균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U-Jin;Lee, Cheon-U;Seong, Hak-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4.07a
    • /
    • pp.77-85
    • /
    • 1984
  • 와도 방정식과 오메가 방정식을 이용한 4층 경압 수치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 때 헬렘홀쯔(Helmholtz)미분 방정식을 수치 계산 하기 위해 블럭-사이클릭-리덕션 (Block-Cyclic-Reduction)방법을 적용하였고, 완화법(relaxation method)과 비교할 때 상기 방법이 해의 정확도, 안정도, 시간절약의 종합적 측면에서 보다 우수함이 판명 되었다. 모델의 신뢰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가상적 초기자료를 모델에 입력하여 와도 이류, 온도 이류 효과를 살펴 보았고, 필립스(Phillips,1956)의 대기대순환 실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경압대기의 발달에 따른 에너지 변환 과정을 살펴 보았다.

  • PDF

Reproduction of Ocean Circulation around Korean Peninsula by using a Mesoscale Ocean Circulation Model (중규모 해양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순환 재현)

  • Lee, Hae-Jin;Ahn, Joong-B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5 no.3
    • /
    • pp.186-194
    • /
    • 2000
  • In this study, the oceanic responses to given atmospheric boundary conditions are investigated using a mesoscale ocean circulation model.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so called, spin-up experiment and the other is reproduction experiment. The spin-up experiment simulates climatic state of ocean by integrating the ocean model with upper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nthly mean atmospheric climate dat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for the reproduction of major oceanic changes aroun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1980-1998 (19 years), the model has been integrated under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19year monthly mean atmosphere data. The spined-up state of ocean generated from the spin-up experiment is assigned to the initial boundary condition of the reproduction experiment. In the spin-up experiment, the model properly simulates the major features of circulation structure around Korean Peninsula; such as separation of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formation of the polar front, cold water band associated with the small scale eddies in the East Sea, the formation of front along west coast,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circulation pattern caused by changing upwind current in the West Se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the model has shown the interannual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and a warming trend of about 0.5$^{\circ}$C during the period around Korean Peninsula, as in the case of the observ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is capable of simulating not only the mean states but also the variabilities of ocean under the given atmosphere boundary conditions.

  • PDF

태풍 진로의 기후학적 유형 분류와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 허창회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59-64
    • /
    • 2003
  • 열대 서태평양에서는 연평균27개 정도의 태풍이 발생하고, 그 중 75% 이상이 6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한다(Ho et al. 2002). 태풍 활동은 해수면 온도가 26.5'c 이상, 약한 연직 바람 시어, 평균 이상의 대류권 중층의 습기, 조건 불안정한 대기, 하층 소용돌이도가 강한 환경 조건에서 활발해진다(Gray 1979; Frank 1987). 이러한 환경에서 발생한 태풍은 주변 대규모 순환과 해수면 온도, 그리고 그 내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매우 다양한 진로 유형을 보이는데, 태풍의 진로를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중략)

  • PDF

Gasification Process Characteristics of Scrap Tire in an Internally Circulating Fluidized Bed with a Draft Tube (드래프트 관을 갖는 내부순환유동층 반응기에서의 폐타이어 가스화 공정의 특성 연구)

  • 이승엽;김용전;김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71-74
    • /
    • 1999
  • 최근 들어 자동차 보유대 수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폐타이어의 발생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폐타이어의 발생량이 적었을 때는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타이어를 처리해도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폐타이어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한 요즈음은 발생된 폐타이어가 합법적으로 처리되어지지 못하고 야적, 방치, 불법 매립 및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됨으로써 환경적인 오염뿐만 아니라 시각적 공해, 대기 오염 등의 문제를 심각하게 야기 시키고 있다.(중략)

  • PDF

Analysis 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ver Asia under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따른 아시아 지역의 수문기상성분 분석)

  • Kim, Jeong-B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7-327
    • /
    • 2022
  •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는 기후위기에 직면해있다. 특히, 아시아의 경우 복사강제력과 대규모 대기순환인 몬순이 지역기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적 위치 및 계절에 따라 폭염, 홍수, 가뭄 등 다양한 기상이변 및 수재해 문제를 겪고 있다. 더욱이, 아시아 지역은 온난화가 심화됨에 따라 식량 및 물 안보위기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와 직결되는 기후 및 수문특성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온상승 조건을 고려하여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수문모형(VIC)을 활용하여 수문전망을 수행하였다. 미래 기후전망을 위해 적정 CMIP6 기후모델과 공통사회경제경로(SSP5-8.5)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시나리오로부터 산출된 기온자료 및 CPC (Climate Prediction Center) 전 지구 관측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화 이전 대비 잠재적인 전지구 기온상승(1.5℃~5.0℃) 조건을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아시아 지역에 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상세화하고, 기후구분법을 적용하여 기후대를 구분하였다. 미래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아시아 지역의 기후특성을 전망하고 기후대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전 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지역별 기후특성이 변화하였으며, 이는 기온 및 강수량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고 및 최저기온은 모든 기후대의 전 지역에서 상승하며, 이는 평균적으로 전 지구 평균 기온을 상회하였다. 강수량 및 강수일수는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기후특성에 따라 지역별 편차를 보였다. 기상성분의 변화로 기후대별 수문성분(증발산량, 유출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극한 유출량의 변화경향은 모든 기후대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는 아시아 지역의 수문순환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며, 기후대별 수문기상성분의 변화는 지역의 기후특성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구온난화 조건별 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 및 수문기상성분 변화 특성은 기상 및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Downscaling climate simulation using spatio-temporal random cascade model in Korea region (시공간적 Random Cascade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지역 기후모의 상세화기법)

  • Kwon, Jin-Woo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0-1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기대순환모형(GCM) 모의결과를 활용하여 한반도 지역의 강수량과, 온도에 대하여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과 상세화기법(downscaling)을 적용하였다. GCM 모의자료는 캐나다기후센터(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의 CGCM2 A2, B2시나리오의 $2001{\sim}2100$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GCM 모의결과값과 국내관측값과의 계통적오차(systematic bias)를 보정하기 위하여 분위사상법을 적용하였다. 강수자료의 경우 한반도의 강수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홍수기, 비홍수기로 구분지어 감마분포를 이용하였고, 온도자료의 경우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봄/가을, 여름, 겨울로 구분지어 표준정규분포를 이용하여 분위사상법을 적용하였다. 강수자료의 경우 과거($1965{\sim}1989$:25개년)의 31개소의 일평균강우 자료를, 온도자료의 경우 과거($1965{\sim}1989$)의 11개소의 일평균온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위사상법의 적용으로 GCM 모의결과값과 관측값사이의 계통적오차를 보정하였으며, 그 결과 강수자료의 홍수기의 경우 모의결과값과 관측값의 차이가 3.79mm/day에서 0.62mm/day로, 비홍수기의 경우 0.24mm/day에서 0.02mm/day로 각각 83%, 92% 보정된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확률분포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Random Cascade 모형의 자기유사성 및 무작위 변동성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2002년 8월 6일 00:10부터 8월 9일 24:00까지 432장의 레이더 스캔을 사용하여 스케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적용결과 연평균 강우량의 변화는 A2의 경우 797.89mm에서 1297.09mm로 B2의 경우 815.02mm에서 1383.93mm로 나타났다.

  • PDF